•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Addict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학습장애, 우울증 및 주의력결핍장애 연관성 (Smartphone Addiction and Learning disorder, Depression, ADHD association)

  • 김은엽;박래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99-7606
    • /
    • 2015
  • 연구에서는 자기 통제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SPA)에 따른 학습장애(LD), 주의력결핍장애(ADHD), 우울증(Depression)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학습장애 상관분석 결과 46의 상관을 보였다(p<0.001).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주의력결핍장애 상관분석 결과 48의 상관을 보였다(p<0.001). 한편, 학습장애와 주의력결핍장애 전체 점수간의 상관분석 결과 64의 상관을 보였다(p<0.001). 학습장애(LD) 다중비교 결과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낮은 그룹의 학습장애(LD)이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은 그룹보다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낮은 그룹의 주의력 결핍(ADHD)이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매우 높은 그룹보다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낮은 그룹의 우울증(Depression)이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은 그룹보다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mart Phone Addiction Model for Adolescent)

  • 이종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33-44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심화시키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4년 자료를 가지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의 요인으로 스마트폰 중독 모형을 구성하고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로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임상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한방음악치료가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불안과 분노표현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orean Medicine Music Therapy on Anxiety, Anger Expression, and Concentration of Smart phone Addicted Adolescents)

  • 이미희;이승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3-141
    • /
    • 2017
  • Objectives : As of 2013, South Korea ranked number one in the world in smartphone penetration rate with 67.6%. Unfortunately, with the rise of smart phone use, side effects such as fraud, loss of personal information, identity theft, formation and widening of a mobile information gap, and last, but not least, smart phone addiction, also increased. Methods : Seventh (7th)graders from a girls' junior high school in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we reevaluated th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S-scale). Among the 9 students classified as high risk users, 5 were randomly selected for a study group, and the remaining 4 students, meanwhile, were designated as a control group. The study group received Korean medicine music therapy (KMMT) in a total of 8 sessions,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Both pre- and post-interventions, the two groups completed the S-scale, Harris and Harris' concentration grid exercise, STAI, and STAXI-K. We analyzed the data by t-test and paired t-test using IBM SPSS Statistics. Results : KMM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neness to smart phone addiction (t=3.130, p=.035). KMMT had positive effects on concentration improvement (t=-2.935, p=.043), trait-anxiety symptoms improvement (t=2,992, p=.040), and anger-expression control (t=4.416, p=.012). Conclusions : KMMT had positive, improving effects on trait anxiety and anger expression, which in turn enhanced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decrease of smart phone-addiction proneness.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ocial Iso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 이혁준;임진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82-498
    • /
    • 2019
  •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련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사회적 고립감에 초점을 맞추어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거주하는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04명의 자료를 수거하였으며, 최종 4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의존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연구를 제고시킴은 물론, 함의 및 관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신경증-스마트폰 중독-학교적응의 매개관계에 대한 자기 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of 'Neuroticism - Smart Phone Addiction - School Adaptation')

  • 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43-251
    • /
    • 2017
  •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신경증-스마트폰 중독-학교적응에 이르는 매개과정에 대한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 즉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해서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인식되고 있는 중학생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중학생 1,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자기 통제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학교적응의 세부 요인에 대해서는, 학교만족과 학업성취가 종속변인일 때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대인관계가 종속변인일 때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자기 통제력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자기 통제력의 수준이 높을 때에 신경증의 수준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자기 통제력의 수준이 낮을 때보다 스마트폰 중독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과 결과를 하나의 연결된 과정으로 검증하였다는 것과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 신경증과 자기 통제력이라는 2개의 성격 변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이 결론 및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Neural activity during simple visual imagery compared with mental rotation imagery in young adults with smartphone overuse

  • Hwang, Sujin;Lee, Jeong-Weon;Ahn, Si-Na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4호
    • /
    • pp.164-169
    • /
    • 2017
  • Objectiv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on neural activity of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by measuring their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irty people with a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as selected and then were evaluated for their neural activation patterns using EEG after reminding them about simple visual imagery and mental rotation imagery. A simple visual image was applied for 20 seconds using a smartphone. This was followed by a resting period of 20 seconds. Mental rotation imagery was applied for 20 seconds. During mental rotation imagery, the rotational angle was selected at random. We compared activ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analyzed EEG with hemisphere reminding them about imagery. Results: On the EEG, theta rhythm from the left hemisphere parietal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mental rotation imagery, and sensorimotor rhythm from close to the left hemisphere area increased when the subjects were reminded of simple visual imagery. Conclusions: Neural activation from the left hemisphere occurs for motor imagery in adults who are at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These results identify a neural mechanism of adults who a have high risk of smart phone addiction, which may provid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tor rehabilitation for smartphone users.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충동성,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Smart Phone Addiction o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 오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98-1012
    • /
    • 2015
  • This study is smartphone addiction impulsiveness, stress, self-efficacy, and examine any changes to appear self-control. This study is a response to the results obtained for 310 people targeting high school in Pusan, the second grade students.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by using the SPSS 22.0 program was the analysis of the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mart phone addic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Second, sex is found to be significant in impulsivity, str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Third, grades are significant in impulsivity,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Fourth, the model for impulsivity indicates 4% of explanatory power, which is significant. Fifth, explanatory power for stress is 4%, which is significant. Sixth, the model for self-efficacy shows 14% of explanatory power, which is significant. Meanwhile, smart phone addiction, sex, and grade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self-efficacy. Seventh, the model for self-control indicates 20% of explanatory power, which is significant.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지정도 및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Status and Degree of Recognition for Smart Phone Syndrome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태희;강문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941-948
    • /
    • 2014
  •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정신과 신체 건강, 학업, 대인관계 등 일상생활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스마트폰 증후군도 어느 사이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증후군의 인식 정도와 디지털 건망증, 스마트폰 중독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 대표적인 증후군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1일 평균 5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증후군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디지털 건망증 및 카카오톡 의존도 등을 포함한 스마트폰 증후군이 매우 심각한 상태로 분석되어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해야 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 김지민;이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85-10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31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진로장애, 우울, 스마트폰중독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장애와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 각각 매개를 확인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고 청소년 코칭에서의 개입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on personal relationship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이성숙;전수경;김동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75-782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on personal relationship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75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from May 9 to June 10, 2016. Except incomplet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martphone addiction, and personal relationship. Results: The percentage of smart phone was 23.0% in a risk group and 77.0% in a general group. The level of smartpho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ersonal relationship(p<0.05). Smartphone addiction resulted in bad personal relationship. Conclusions: Smartphone addiction problem interrupts personal relationship.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a variety of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