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검색결과 2,429건 처리시간 0.043초

관광객의 스마트폰 이용 행위 요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중심 (Behavioral Factors Affecting Tourists' Smartphone Usage: Focus on Mobile Banking Service)

  • 구효천;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7-13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서비스에 대한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모바일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인해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뱅킹에 대한 관심과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로서 기대 성과,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인지된 재정적 비용, 습관, 인지된 보안 수준을, 그리고 종속변수로서 사용자의 이용행동의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국제공항에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203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Smartpls 3.0으로 독립변수들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된 보안 수준 및 습관이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지된 보안을 최근에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의 중요한 이슈라는 점에서 본 연구 결과에 부합된다. 본 연구는 관광객 대상으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뱅킹 서비스의 행위 요인에 대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PCA 얼굴인식을 활용한 전자출결 환경 구축 (Establishment of electronic attendance using PCA face recognition)

  • 박부열;진은정;이분진;이수민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74-179
    • /
    • 2018
  • 현재 지문인식, 얼굴인식 등 다양한 보안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들을 접목시킨 분야가 상당히 제한적이다. 특히 기존에 디지털 방식의 시스템에 현대 보안기술들을 접목시키기는 쉽지만,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던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식의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그 시스템이 널리 사용될 수 있다면 아날로그 시스템을 디지털 시스템으로 바꿀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선택한 주제가 전자출결 시스템이다. 본 논문은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출입문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얼굴 감지를 위한 Haar-like feature방식의 트레이닝과, 주성분 분석(PCA)방식 중의 Eigenface 방식의 얼굴인식으로 실시간 얼굴인식을 수행하여 출결을 수행한다. 출결 된 데이터들은 무선통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에선 그 정보들을 받고 관리할 수 있는 관자용 어플리케이션 제작까지 완료하였다.

스마트폰에서 펜 방식과 터치 방식의 사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between Pen and Touch Method in SmartPhone)

  • 한상근;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8-519
    • /
    • 2014
  • 최근 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펜을 입력 방식의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손을 이용한 터치방식과 동시에 펜을 입력도구로 하는 입력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에서 펜 방식과 터치 방식간의 사용자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보자 5명, 전문가 5명을 모집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터치방식의 과제와 펜 방식의 과제를 순차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예행연습과 같은 초기 연구로서 과제수행후 구조화되지 않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시된 과제의 성격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발견하였지만 전반적으로 터치방식을 선호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초보자 집단이 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펜 입력 방식의 확장성에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 이를 통한 제품개발에 중요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요소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wearable device)

  • 심현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3
    • /
    • 2014
  • ICT 분야에서 2014년의 주목할 만한 이슈 중 하나가 "입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 즉 "Wearable Device" 시대의 개막이다. 삼성 갤럭시 기어, 구글 글래스, 그리고 애플 워치와 같은 제품들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라고 한다. MIT 미디어 랩의 정의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지칭하며 일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 포함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또 하나의 두뇌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대중화되면 달라지는 것이 수없이 많아질 것이다. 일단 두 손이 자유로워진다. 내 몸이 24시간 인터넷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단지 스마트폰이나 디바이스를 몸에 붙인다는 수준이 아니라 디바이스가 바로 우리 몸의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두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요소를 관련 기업들 별로 분석해 본다.

  • PDF

뇌파데이터 기반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Device Control System based on Brain Wave Data)

  • 이소현;이예정;이석철;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3-815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뇌파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구현한다. Brain-Computer Interface(BCI) 기술은 언어나 신체의 동작을 거치지 않고 직접 시스템에 전달할 수 있다. 상태의 변화에 따른 뇌파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수험생, 멀티태스킹이 필요한 사람 등 다양한 서비스 대상자에게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홈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등 응용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 구현한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은 뇌파 측정 헤드셋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전원 및 오디오를 제어한다. 집중도에 의해 전원 ON/OFF 동작을 제어하고, 명상도와 눈 깜빡임에 의해 오디오를 제어하는 서비스 기능을 지원한다. 실험실 테스트를 통해 뇌파데이터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가 성공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항로표지 충·방전조절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of AtoN Charge and Discharge Controller)

  • 예성현;한순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9-642
    • /
    • 2014
  •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광파표지에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공급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시스템에서는 충전과 방전을 관리하는 충 방전조절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항로표지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IT기술도입은 광파표지에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를 추가하게 됨으로서 충 방전조절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항로표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충 방전조절기의 점검은 접근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점검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충 방전조절기에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여 접근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점검이 가능한 모니터링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도입비용이 낮고 구성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충 방전조절기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점검비용과 점검 간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PDF

스마트폰 NFC 기반의 출입관리 시스템 (Smartphone NFC based Access Control System)

  • 배상중;전순영;이상화;이찬호;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6-597
    • /
    • 2016
  • 최근 빅데이터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기업들이 대규모의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기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보다 나은 제조환경과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기업 내 외의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대규모의 비정형 데이터는 기업 내 외의 기밀사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원들의 입, 출근 시간을 데이터화 하여 수집하고 스마트폰의 NFC UID를 사원정보와 연동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해당 사원의 출근 여부를 판단하여 기업 내의 데이터베이스나 자원에 자동으로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업 내의 데이터베이스나 자원으로의 접근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안드로이드 통신모듈 및 센서를 이용한 가속에 따른 이동방법 산출 시스템 (Using the Android Communication Module and Sensor the Movement Method Output System of According to Accelerated)

  • 박성현;장기만;육정수;허태상;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72-674
    • /
    • 2014
  • 모바일 통신 기술의 하나인 GPS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스마트폰, 테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에 GPS기능이 필수적으로 탑재되고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GPS 센서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앱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길 찾기, 현재 자신의 속도 등 여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통신 모듈인 Wi-Fi 및 Mobile Network, GPS, 가속 센서를 이용하여 2차원적 위치 및 3차원적 고도에 따른 알고리즘을 분석 및 산출하여,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이동수단의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특정 이동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광고시스템이나 재난정보시스템, 의료분야 등 각종 분야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Jeonbuk Tri-Pull Taping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어깨관절 가동범위, 통증, 아탈구, 팔 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Effect of Jeonbuk Tri-Pull Taping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Exercise on Shoulder Active Range of Motion, Pain, Subluxa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A Case Study-)

  • 김범룡;강태우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167-17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Jeonbuk tri-pull taping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exercise on the shoulder's active range of motion, pain, subluxati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In this study, Jeonbuk tri-pull taping and PNF exercise were applied to three patients with stroke and subluxation. The tape was removed and new tape applied for two days every Monday, Wednesday, and Friday over six consecutive weeks. PNF exercise was applied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a smart phone clinometer application was used, and the degree of pain was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VAS). A jig measuring method was employed to measure the distance of subluxation. The Fugl-Meyer Assessment (FMA) was used to evaluate arm function,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The shoulder's active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in the patients compared to the range of pre-tests, and the pain and subluxation distance were reduced compared to those of pre-tests. Arm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pre-test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verified that Jeonbuk tri-pull taping and PNF exercise are useful when applied to patients with subluxation and stroke.

Head-up CPR 시 처치자의 위치에 따른 심폐소생술 정확도 비교 (Comparing the accuracy of saddle position and traditional position in head-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윤병길;박정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9-10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osition for the most accurate head-u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by comparing saddle position CPR (SPCPR) and traditional CPR (TCPR). Methods: Sixty certified persons who completed a basic life support provider course between May 1 and June 21, 2019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2 minutes of CPR, and the depth of chest compression, rate, position, full release, and hands off time were assessed. Accuracy was evaluate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smart phone application connected to the manikin via bluetooth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hi}^2$. Results: The accuracy of chest com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SPCPR, 63.03%[${\pm}8.75$] for SPCPR and 55.50%[${\pm}10.17$] for TCPR [t=3.074, p=.003]. The depth of chest com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reater for SPCPR, 4.51cm[${\pm}0.45$] for SPCPR and 4.16cm[${\pm}0.61$] for TCPR [t=2.503, p=.015]. The rate of chest com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TCPR, 105/min[${\pm}10.79$] for SPCPR and 111/min[${\pm}11.57$] for TCPR [t=-2.008, p=.049]. Accuracy of position of chest com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SPCPR, 96.10%[${\pm}13.73$] for SPCPR and 79.93%[${\pm}30.34$] for TCPR [t=2.659, p=.011]. Accuracy of full release was higher with SPCPR, with 86.30%[${\pm}30.53$] for SPCPR and 71.10%[${\pm}36.05$] for TCP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762, p=.083]. Conclusion: Saddle position CPR was found to be more accurate than TCPR in the performance of manual head-up C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