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Home Service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2초

IoT Delegate: Smart Home Framework for Heterogeneous IoT Service Collaboration

  • Kum, Seung Woo;Kang, Mingoo;Park, Jong-I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8호
    • /
    • pp.3958-3971
    • /
    • 2016
  • With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home environment becomes smarter than ever. Not only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 or smart TV, but also various IoT devices including sensor, smart thermostat, and smart scale has now become very common on the market. These devices have connectivity to the Internet, so that user can read data from the device or control the device using Internet technology. However, due to diversity of smart home requirements, device collaboration in smart home remains a challenging task still. Usually smart home is built with various technologies to fulfill its own purpose, and these purposes cover very wide area from controlling low-power sensor devices to controlling high-performance devices like smart TV and smart phone. This variety of smart home requirements makes smart home very complicated due to mixed network architecture, protocol and technology. In this paper, a framework to enable managing and collaborating heterogeneous IoT devices in smart home environment is proposed. Several programming models are defined in the proposed framework to mak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heterogeneous devices more intuitive. The proposed framework has been implemented as a web service, and a case study with real-world smart home IoT devices is presented.

스마트홈 서비스 환경에서의 보안 위험 분석을 위한 위협 모델링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Threat Modeling for Security Risk Analysis in Smart Home Service Environment)

  • 이윤환;박상건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6권2호
    • /
    • pp.76-81
    • /
    • 2017
  • In this paper, the risk analysis of smart home services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reat modeling. Identified possible threats for safe deployment of smart home services and identified threats through the STRIDE model. Through the creation of the Attack Tree, the attackable risk was analyzed and the risk was measured by applying the DREAD model. The derived results can be used to protect assets and mitigate risk by preventing security vulnerabilities from compromising and identifying threats from adversely affecting services. In addition, the modeled result of the derived threat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performing the security check of the smart home service.

Consumers' Responses to Smart Home Services: The Role of Self-Regulation Systems

  • Kim, Moon-Yong;Cho, Heay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28-39
    • /
    • 2021
  • In the new era of IoT, a deeper and richer understanding of consumer characteristics is required to accelerate the acceptance and popularization of different types of smart home services (e.g., hedonic or utilitarian smart home services). In the current research, self-regulation systems are considered one of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consumers'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in their responses to smart home services, particularly when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services.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consumers' attitudes toward utilitarian/hedonic smart home services differ according to their regulatory focus, particularly when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servi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smart home services have more favorable attitudes toward hedonic smart home services when they are promotion-focused (vs. prevention-focused). In contra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ttitudes toward utilitarian smart home servi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focused consumers. Our findings imply that regulatory focus may be an effective marketing and segmentation tool in promoting new smart home services and facilitating low-familiarity consumers' receptiveness to the services.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about Impact of Smart Hom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on National Economy)

  • 김규남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4호
    • /
    • pp.97-126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홈 관련 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그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literature review)를 통해 스마트홈 관련 산업을 제조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외생화하였다. 그리고 201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이들 산업이 유발하는 생산, 부가가치, 고용 및 취업효과와 산업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홈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각 산업 영역에서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유발효과를 보였으며 스마트홈 산업 내부적으로는 제조업의 서비스업 생산 견인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4차 산업혁명기술을 활용하는 산업답게 기술집약적인 산업과의 연관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카, 핀테크 등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부문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스마트홈 제조업은 후방파급효과가 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최종 수요적 산업인 반면 스마트홈 서비스업은 전방파급효과가 후방파급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간재 산업으로서 타 산업으로의 공급 기능이 높은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U-City 주거 환경 서비스의 사용자 가치 분석 : 스마트 홈을 중심으로 (User Requirement Elicitation for U-City Residential Environment : Concentrated on Smart Home Service)

  • 김향숙;김효창;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7-182
    • /
    • 2015
  • 고령자, 장애인의 삶의 질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미래의 주거 형태인 스마트 홈은 인간 생활 전반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적 공간이 융합된 곳으로서,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끼칠 잠재력을 가진 공간이다. 따라서 삶의 공간에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실제 니즈를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스마트 홈 내의 사용자 가치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광범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를 명확히 분류하고 서비스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가치를 제시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홈 서비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분류하고,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가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 중심적 관점에서 스마트 홈을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 홈의 기능 및 서비스 분류 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스마트 홈 서비스의 기술, 서비스 영역에서의 사용자 요구가치를 도출하고, 앞서 수립된 서비스 분류 체계와의 연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스마트 홈 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스마트홈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가치 인식 및 사용의도에의 영향 요인: "MZ세대"와 "X세대 및 베이비붐 세대" 간 차이 분석 (The Factors Influencing Value Awareness of Personalized Service and Intention to Use Smart Home: An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 MZ" and "Generation X and Baby Boomers")

  • 이상걸;이애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3호
    • /
    • pp.201-223
    • /
    • 2021
  • 스마트홈(Smart Home)은 일상생활에서의 편의성을 높이고 가정에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첨단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이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홈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그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홈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 선점을 위해, 기업들은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홈 사용을 보다 촉진할 수 있는 핵심 서비스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홈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가치 인식과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 요인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홈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가치 인식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으로 4가지 차원의 동기화된 혁신성(인지적, 기능적, 쾌락적, 사회적 혁신성)과 프라이버시 위험 인식에 초점을 두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형태적으로 차별화된 특징을 보이고 있는 MZ세대(10후반~30대의 젊은 층)와 40~50대 이상의 X세대 및 베이비붐 세대 간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성세대와 다른 MZ세대가 보이는 차별적 특징을 도출하고, 스마트홈 서비스 사용 활성화를 위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서비스 로봇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환경 구축 (Construction of a Sensor Network-based Smart Environment for Service Robots)

  • 백승호;박재한;고재한;백문홍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334-340
    • /
    • 2007
  • This paper introduces a prototype smart home environment that is built in the research building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a robot-assisted future home environment. Localization, navigation, object recognition and handling are core functionalities that an intelligent service robot should provide. A huge amount of research effort has been made to make the service robot perform these functions with its own sensors, actuators and a knowledge base. With all complicated configuration of sensors, actuators and a database, the robot could only perform the given tasks in a predefined environment or show the limited capabilities in a natural environment. We started a smart home environment for service robots for simple service robots to provide reliable services by communicating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In this paper, we introduce various types of smart devices that are developed for assisting the robot in the environment by providing sensor and actuator capabilities. In addition, we present how the devices are integrated to constitute the smart home environment for service robots.

  • PDF

ETSI M2M 표준의 스마트 홈 적용 및 적합성 평가 (Adaption and Assessment of ETSI M2M Standard in Smart Home Environments)

  • 박윤정;우혁;백형구;민덕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1-255
    • /
    • 2012
  • Recently, smart home environments which provide complex services through smart appliances are becoming realized, due to the advances in connected devices and network technologies. Current smart home environments are mostly restricted, because of difficultly of integration of heterogeneous smart appliances. Therefore radical service integration is impracticable.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implement Machine-to-Machine (M2M) standards which are established by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 for integrating heterogeneous devices and services. Smart Home is one of the areas covered by ETSI M2M standards, however these standards are just standardized, so adaption and assessment in smart home are not proved ye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 ETSI M2M standards by focusing the data transport model and evaluate by selecting the most commonly used smart home scenarios and by implementing ETSI M2M standards compatible smart metering system. In some points ETSI M2M standards are not efficient because of its complexity of structure, however ETSI M2M provides sophisticated features for integrating M2M which are appropriate to adopt diverse smart home environments.

스마트 홈 환경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추론 모델 (Intelligent Service Reasoning Model Using Data Mining In Smart Home Environments)

  • 강명석;김학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B호
    • /
    • pp.767-7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홈 환경에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추론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들 중에 하나인 C4.5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서비스 추론에 쓰이는 서비스 트리를 생성하고, 정량적 특성 규칙과 정량적 판별 규칙을 이용하는 정량적 가중치 산정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서비스를 추론한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안전한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그룹키 관리 기법 (Group Key Management Method for Secure Device in Smart Home Environment)

  • 류호석;곽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79-487
    • /
    • 2015
  • IT 발전에 따라 스마트홈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원격 서비스, 모니터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홈 환경에서는 악성 디바이스를 통한 데이터 위 변조, 불법 인증, 프라이버시 침해 등과 같은 보안 위협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보안 위협들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보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스마트홈 환경에서의 그룹키 관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홈 환경에서 안전한 디바이스 관리를 위한 그룹키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