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Health Care Service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초

개인맞춤형 스마트 홈 헬스케어 IoT 서비스디자인 연구: LH 스마트 홈 헬스케어 플랫폼 사례분석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onalized Smart Home Health-Care IoT Service Design)

  • 박의정;최재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1-37
    • /
    • 2022
  •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cal care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edical paradigm is shifting towards patient-centered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 technolog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changing into a residential space that cares for and heals the lifestyles and the healthcare of families. As lifestyle changes, the concept of supporting smart home care based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aking it possible to build a smart home IoT service design with enhanced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or medical appointments and well-being lifestyle care. This paper is a study on user-centered health care smart home IoT service design suitable for family members based on the health care, beauty care, exercise care, and customized diet care beyond the conventional concept of health care monitoring.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a personal care coordinate smart home service design in a human-centered wellness clinic care smart home service design environment. Human-centered wellness clinic smart home IoT service design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vision for research on smart home service design that links hospital-linked and care-linked service industri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smart hom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고령자의 감성 만족과 정신건강을 위한 스마트폰 응용 기술 (Application Technologies of Smart Phone for Emotional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care of the Elderly)

  • 조면균;김식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1-42
    • /
    • 2013
  • Considerations of how to facilitate aging-in-place(AIP) are becoming increasingly pertinent as care-givers are overwhelmed by an aging population. Aging friendly home-care services combined with IT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elderly suffer from chronic diseases such as depression and dementia. Therefore, we propose future smart phone services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which can estimate emotional states of the aged and respond to the desire to be happy with mental health, connectedness and consolation from peoples. Firstly, we introduce depression measurement techniques to estimate the severity of depression using multiple sensors. At second, the emotional responding services are categorized to four parts and the details are described. Lastly, we propose the process to implement emotional communication and the application techniques(services) to fulfill the emotional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care for AIP using smart phone as a mediator.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Structural Model for Users's Accepting Smart Health Care Services by Moderating the User Types)

  • 최영남;김근형;오성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41-55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첫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Smart Health Care Services)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고, 둘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이 의료인과 비의료인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로는 개인혁신성, 자기효능감, 촉진조건, 보안성을 적용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종속변수로는 수용의도, 조절변수로는 사용자유형(의료인 vs. 비의료인)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수립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사용자들의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과 비의료인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촉진조건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경우 그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보안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용이성과 유용성은 각각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고 유용성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스마트케어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mart-care services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 정복례;홍성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5-10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mart-care services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health. Methods: A quasi-experimental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Subjects were recruited in D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7 to February 2018. The experimental group (n=24) participated in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whereas the control group (n=26) received conventional management.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consisted of addressing cognitive function problems arising from chemotherapy, diet, exercise, head/neck massage and self-monitoring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and smart bands. All participants underwent assessments at baseline, at 6 weeks, and at 12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 chi-squared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After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cognitive function (F=18.91, p<.001) and sleep time (F=9.25,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caloric consumption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nd sleep tim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The use of this smart-care services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might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o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 behaviors.

IoT-based Digital Life Care Industry Trends

  • Kim, Young-Ha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87-94
    • /
    • 2019
  • IoT-based services are being released in accordance with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demand for well-being pursuit needs. In addition to medical device companies, companies with ideas ranging from global ICT companies to startup companies are accelerating their market entry. The areas where these services are most commonly applied are health/medical, life/safety, city/energy, automotive and transportation. Furthermore, by expanding IoT technology convergence into the area of life care services, it contributes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service models in the public sector. It also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IoT-related companies to open up new markets. By addressing the problems of life care services that are still insufficient. We are providing opportunities to pursue the common interests of both users and work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establish IoT-based digital life car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vergence technologies using cloud computing systems, big data analytics, medical information, and smart healthcare infrastructure.

Proposed ICT-based New Normal Smart Care System Model to Close Health Gap for Older the Elderly

  • YOO, Chae-Hyun;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37-44
    • /
    • 2021
  •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uper-aged society, the health problem of the elderly is becoming more prominent due to the rapid digital era caused by COVID-19, but the gap between welfare budgets and welfare benefit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is still not narrowed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ergency medical access. In response, this study proposes an ICT-based New Normal Smart Care System (NNSCS) to bridge the gap I n health and medical problems. This is an integrated system model that links the elderly themselves to health care, self-diagnosis, disease prediction and prevention,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purpose is to apply location-based technology and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under smartphones and smartwatches (wearable) environments to detect health care and risks, predict and diagnose diseases using health and medical big data, and minimize treatment latency. Through the New Normal Smart Care System (NNSCS), which links health care, prevention, and rapid emergency treatment with easy and simple access to health care for the elderly, it aims to minimize health gaps and solve health problems for the elderly.

노인 건강과 재활을 위한 디지털 실버케어 (A Disital Siver Care for the Health and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1-86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구현하는 실버케어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노인건강과 재활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을 기술함으로서 향후 디지털 기반의 실버케어 상용화 가능성을 살펴보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활동장애나 건강상의 문제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에브리데이 테크놀러지(Everyday Technology)를 활용한 건강관리와 재활을 위한 실버케어로는 첫째, 자신이 살던 집에서 독립생활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디지털기술이나 IT기술을 통해 가능한 스마트 주거 서비스인 건강지원 스마트 홈(Health smart home)을 들 수 있다. 둘째, 인공지능과 로봇을 활용한 기술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고도화된 지능에 기반한 로봇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보조하고, 건강상태를 체크하며, 양질의 의료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지원하여 노인들의 건강과 재활을 위한 보조역할이 가능하다. 이들 실버케어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노인의 신체적 능력과 건강상태 등 현재 상황에 맞는 정보와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디지털 소외계층인 노인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실사용 노인들의 요구를 반영한 필수적인 기술 활용을 시작으로 점차 확대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접근제어 기법 설계 (A Design of Access Control Method for Security Enhance based Smart Device)

  • 박중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20
    • /
    • 2018
  • Smart devices refer to various devices and control equipment such as health care devices, imaging devices, motor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that us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e.g., Wi-fi, Bluetooth, LTE). Commercial services using such devices are found in a wide range of fields, including home networks, health care and medical services, entertainment and toys. Studies on smart devices have also been actively undertaken by academia and industry alike,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grew and the technological progress mad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 about great convenience for users. While services offered through smart devices come with convenience, there is also various security threats that can lead to financial loss or even a loss of life in the case of terrorist attacks. As attacks that are committed through smart devices tend to pick up where attacks based on wireless internet left off, more research is needed on related security topics. As such, this paper seeks to design an access control method for reinforced security for smart devices. After registering and authenticating the smart device from the user's smart phone and service provider, a safe communication protocol is designed. Then to secure the integrity and confidentiality of the communication data, a management process such as for device renewal or cancellation is designed. Safety and security of the existing systems against attacks are also evaluated. In doing so, an improved efficiency by approximately 44% compared to the encryption processing speed of the existing system was verified.

생체신호를 통한 헬스케어 디바이스 기술 동향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Healthcare Device Technology by Biometric Signal)

  • 최경호;양은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65-176
    • /
    • 2020
  • 최근 개인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활용하여 적시에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제공하는 맞춤형 의료 및 서비스가 가능하며, 사용자의 헬스케어에 활용되고 있다. 실시간 건강관리 서비스로 개발하여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을 활용하여 각 개인에게 정보를 제공·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경보하고 관리자에게 분석 데이터 및 결과를 알려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며, 이에 따른 건강관리를 구성할 수 있는 시점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신호를 통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실시간 건강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술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기술개발 특허 출원에 대비하고자 한다.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술 관련 특허는 연구개발 집중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석 구간 전반에 걸쳐 한국은 실시간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특허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미국 및 유럽은 생체기술을 통한 헬스케어 디바이스에 대한 특허 활동을, 일본은 생체기술을 통한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시스템 전반에 걸쳐 특허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기술을 통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실시간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특허는 최근 한국에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에 대한 특허 및 시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술은 시장진입 장벽이 높은 분야로 판단된다. 향후 기술을 상업화시킬 계획이 있다면 제품의 형상, 제조방법 및 기타 관련 기술 시스템에 대한 특허권을 획득하여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RBAC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건강 정보 제공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RBAC-based health care service platform for individual recommended health information service)

  • 송제민;김명식;정경지;신문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40-1748
    • /
    • 2014
  • 개인 맞춤형 헬스 케어 서비스 플랫폼은 개인별 건강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건강정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고 건강정보 제공 및 건강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헬스 케어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보호를 전제조건으로 서비스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역할에 따른 보안서비스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된 개인 맞춤형 헬스 케어 서비스 플랫폼은 병원에서 측정하는 기초 임상, 영상, 약물 데이터에 대한 저장 및 관리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건강 정보, 즉 스마트 기기에서 측정 및 입력 가능한 음식물, 수면, 감정, 운동에 대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일상생활에서 개인별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현대인들의 스마트한 건강생활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을 적용하여 개인의 사생활 및 개인 정보 침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된 RBAC 기반의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 플랫폼은 구현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와 사용자의 역할 및 권한 등을 설정하여 유연하게 개인 정보보호를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