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Government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8초

스마트그리드 갈등양상 및 조정방안 연구 (Study on Conflicts and Coordination in Smart Grid)

  • 박찬국;용태석
    • 정보화정책
    • /
    • 제19권4호
    • /
    • pp.27-45
    • /
    • 2012
  • 다양한 기술의 융합 형태인 스마트그리드는 결국 다양한 기술부문 산업주체의 협력과 공정한 경쟁을 통해 구축 가능하다. 산업 및 기업 간 갈등이 조정되지 않고 심각하게 유지된다면 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투자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 사업이 추진되면서 발생하는 갈등 원인과 관련 사안을 살펴보며, 주요 이슈별 정책방안을 제시한다. 스마트그리드 부문의 주요 갈등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AHP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문 응답자들은 스마트그리드 분야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역할과 권한의 모호성'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두었다. '역할과 권한의 모호성' 다음으로는 '가치의 차이'와 '의사소통 장애'를 주요 갈등원인으로 지적하였다. 스마트그리드 갈등 조정과 관련해서는 현 시점에서는 특히, 스마트그리드 이해관계자 간 이해 조율에서 정부의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정부는 스마트그리드 시장 활성화 차원에서 법제도 개선과 함께 이해관계자 간 이해 조율에 주력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해관계자간 바람직한 역할에 대한 공감대 형성의 장을 제공해야 한다.

  • PDF

What are the Risks of using Smart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Phase?

  • Lee, Baul;Park, Seung-Koo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03-110
    • /
    • 2022
  •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technology being considered to improve productivity breakthroughs is in the spotlight as a means to replace traditional construction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various problems are occurring in construction sites using smart technology and causing negative impacts on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that occur when smart technologies are used in construction proj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iculties at construction projects using smart technology, and risk 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site surveys and literature. The risk factors were measured by experts, and then a total of 19 risk factors was deriv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risks were classified as 5 factors, the institutional factor is the most difficult response, and the government needs anticipative system improvement and a long-term plan.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nstruction experts trying to apply smart technology in construction sites and construction policy-makers to revitalize smart technology.

  • PDF

ICT환경과 경영성과의 관계분석 -조직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CT Environment on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 여운종;권혁대
    • 산업진흥연구
    • /
    • 제4권2호
    • /
    • pp.9-18
    • /
    • 2019
  • 본 연구는 "ICT환경과 경영성과의 관계분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한국의 주력산업의 경우 대기업들은 이미 상당한 수준의 스마트공장을 구축, 운영함으로써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나 전체 기업의 95%를 차지하는 중소 중견기업은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공장 구축 정부지원 기업수는 총 4,891개 기업(구축완료는 3,984개 기업, 구축중인 기업은 907개)으로 구축가능 공장수의 2.9%, 미 구축기업은 97.1%(166,344개 기업)로 매우 미약한 실정으로 개선해야 할 커다란 문제점 있다. 연구결과,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여, 도전적이고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기업혁신의 일부분인 스마트공장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경영자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이론적 체계를 제시하는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목적이 달성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 위한 자금조달은 자체자금 충당뿐만 아니라 정부의 자금지원이 스마트공장 구축의 핵심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스마트구축에 필요한 기술은 자체기술 이외에 정부의 기술지원, 외부기술 컨설팅 지원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내부 조직원의 조직참여도는 협조적이고 원활한 긍정적인 참여도 또한 성공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로는 기업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4M1E 기법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실시해본 결과, 개선전후를 비교하고 개선된 사항을 표준화하고,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논연구는 기업의 ICT환경과 경영성과의 관계분석을 통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그린&스마트IT 정보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K연구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for Green & Smart IT i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Focused K Research Institute)

  • 조성남;김재성;정철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37-50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정보기술 변화의 대표적인 트렌드라 할 수 있는 그린&스마트IT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정보전략계획의 수립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과학기술 정보 유통 분석 분야의 대표적인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라 할 수 있는 K연구원을 대상으로 관련 정책동향 및 유관기관 사업추진 현황에 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그린&스마트IT 환경에 적합한 정보전략계획을 수립하였고, 이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이행과제의 도출 및 중장기 로드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이행과제들을 대상으로 사업중요도와 실행가능도를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 평가를 통해 총 12개의 중점 이행과제를 선정하였고, 개별 중점 이행과제 별로 목표시스템과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성공적인 그린&스마트IT의 도입과 추진을 위한 올바른 방향성 수립에 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스마트도시계획간 연결성 연구 - 광명시와 춘천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Planning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Gwangmyeong and Chuncheon Smart City Services)

  • 김홍광;이미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01-609
    • /
    • 2018
  • 스마트도시계획은 스마트도시 건설사업의 기본방향, 추진전략, 서비스 구축 및 운영방안 등을 제시하여야 하고, 상위계획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의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스마트도시계획 위계에 따라 계획 내용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스마트도시계획이 국가 차원의 마스터플랜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은지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스마트도시계획이 승인된 광명시와 춘천시를 대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제2차 스마트도시종합계획에서 108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키워드와 스마트도시계획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결과, 광명시의 스마트도시계획의 총연결수가 371개로 춘천의 307개 보다 높았고, 키워드당 평균 연결정도와 네트워크 밀도도 광명 스마트도시계획이 춘천 스마트도시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마트도시계획은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았으며 연결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지자체마다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가 수립한 스마트도시계획이 상위계획과 계획간 연관성이 높은지 판단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농촌지역 스마트빌리지 사업의 우선순위 서비스 도출과 추진 전략 - 충청남도 금산군을 중심으로 - (Smart Service and Progressive Strategies of a Smart Village Project in Rural Area - A Case Study of Geumsan-gun -)

  • 남윤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7-44
    • /
    • 2022
  • In this paper, for the smart village project in Geumsan-gun, the problems of the village were derived for the residents. And the business model of the smart village wa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we looked at domestic cases related to the smart village project. And In November 2019, this paper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resident survey(314) and extracted important smart services using the IPA metho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government's smart village project aims to increase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ion and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Geumsan residents want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develop tourism. The smart village model in Geumsan-gun is promoted in three directions. (1) Smart villages require smart services for crime prevention, parking lots, and public transportation. (2) Smart villages need ICT-based ginseng festivals, smart farms, and tourism services. (3) Smart villages need ICT-based culture and welfare services. The rural areas in Korea ar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ing environment through the smart village project.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건설기계분야 국내 정부 R&D 연구동향 분석 (Text-Mining Analysis of Korea Government R&D Trends in Construction Machinery Domains)

  • 윤봄;배준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spc호
    • /
    • pp.1-8
    • /
    • 2023
  • To investigate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direction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machiner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projects selected as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itiatives by the government. Assuming that the project titles contain key keywords, text mining was employed to substantiate this assumption. Project information data spanning nine years from 2014 to 2022 was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To observe changes over time, the years were divided into three-year sections. To analyze research trends efficiently, keywords were categorized into groups: 'equipment,' 'smart,' and 'eco-friendl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keyword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domestic government R&D in the construction machinery field primarily focuses on smart-rel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fically, investments in monitoring systems and autonomous operation technologies are increasing.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analyzing objective research trends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ning, strategic formulation, and project management.

What Drives Residential Consumers Willingness to Use Green Technology Applications in Malaysia?

  • OTHMAN, Nor Salwati;HARUN, Nor Hamisham;ISHAK, Izzaamira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0호
    • /
    • pp.269-283
    • /
    • 2021
  • The government policies and initiatives to guarantee sustainable energy and clean environmental conditions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green technology electricity appliances in the market.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physiological and socio-economics-demographic factors driving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ers to use green technology electricity appliances, mainly solar PV, smart meter,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storage technology. By understanding consumer intention, the investors of solar PV, battery storage, electric vehicle, and smart meter can estimate the demand and upscale the market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s. For that purpose, the intention to use the solar PV, smart meter,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storage function is developed by utilizing the combin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echnology acceptance, and reasoning action. A reliable and valid structured online questionnaire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re used to identify the possible factors that drive consumer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social influence, knowledge on RE, and perceived price significantly influence residential consumers' willingness to adopt the technologies offe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volvement of NGOs, public figures, and citizens' cooperation are all necessary to spread information about the government's objectives and support Malaysia's present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ies.

ICT 융합 스마트공장의 분석 및 추진전략 (Analysis of ICT Converged Smart Factory and its Driving Strategy)

  • 문승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235-240
    • /
    • 2018
  • 독일의 Industry4.0에서 출발한 ICT 융합 스마트공장은 4차 산업혁명의 견인차가 되어왔고 주요 국가의 제조업 혁신의 중심에 서 있다. 또한 국가 별 산업 특성에 맞는 방식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한국의 경우 경쟁국 대비 뒤늦은 출발로 인해 정부는 빠른 시간 내에 중소 중견업체 중심으로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해 정책 수립 및 각종 지원을 하고 있다. 스마트공장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중소 중견업체에 대한 획일적인 지원보다는 유사 제조업종별 카테고리화 및 디지털 기반의 생산정보 공유가 필요하다. 또한 대기업도 개별적인 스마트공장 확충보다는 중소 중견기업과 함께 동종 산업 간 클라우드 기반의 생산 예측 시스템 구축 및 공유를 통한 스마트공장 협력기반 마련에 동참하여야 제조 산업의 동반 발전을 이룰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문제점 분석 (Analysis on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Smart Cities in Local Government)

  • 최광묵;차기춘;유병준;박지환;임정현;박세환;박승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5-22
    • /
    • 2018
  • 스마트도시란 도시의 경쟁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건설 정보통신기술 등을 융 복합하여 건설된 도시에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이다. 본 기고에서는 국 내외 스마트도시 추진동향과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조직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도시 조직체계 추진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