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Education Policy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3초

AHP를 활용한 특수교사 관점에서 특수교육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시 (Policy direc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nvigorate smart education using AHP)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81-689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특수교사 관점에서 장애학생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고 도출한 정책을 기반으로 AHP방법론을 통해 중요도 측면에서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한 정책은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 네트워크 확보지원, 법률적 기반 마련, 인프라지원 순이었으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수 학습 지원 정책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활성화 및 보급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교육의 정책 분석을 통한 추진 전략 및 과제 발굴의 시사점 : 정책 특징, 역사적 접근, 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Implications For Strategies And Finding Subjects Through Policy Analysis of SMART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Policy, Historical Approach, Contents Analysis)

  • 김영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55-161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정책의 태동 배경을 밝히고, 스마트교육정책이 가지고 있는 정책적 특징을 분석하여 정책과제와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스마트교육정책은 배분 정책의 유형에 따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스마트교육정책은 다른 정책에 비해 정책의 유형적인 정도(tangibility)가 매우 큰 편이며, 정책 효과(impact)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스마트교육정책은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1996년부터 추진되어온 교육정보화 종합 발전 방안의 역사적, 맥락적 동질성을 계승한 정책으로 향후 정책 추진에 있어서도 이에 기반한 추진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스마트교육정책은급변하는 정책 환경에 발맞추어 정책 추진에 있어서도 큰 폭의 유연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과학적 정책 설계와 전략적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고, 정책 오류 사례 등을 관리하여 향후 정책 설계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교육 환경 분석과 정책 제언 (A Study on the Environment Analysis and Policy of Smart Education)

  • 노규성;주성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5-44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을 정리한 다음, 교육현장의 다양한 여론 수렴 부족, 교육현장의 준비 부족과 같은 스마트교육 추진 환경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념 정리 및 환경과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이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을 기술 및 인프라적 측면, 교사적 측면, 생태계 및 유통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정책추진 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Research on Policy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Oriented Society

  • Chang, You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1호
    • /
    • pp.51-58
    • /
    • 2016
  • Regarding the role of infrastructure in the university and education secto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curing futur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timely application from qualified applicants is an important factor. Thus, this study is to propose creative value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which will be a major topic in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 over the next 10 more years, and to bring out ripple effects by policy research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oriented society. This research on policy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 oriented society can be used as a guideline in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at colleges and can be also used for establishing groundwork for completing practical education required in smart ICT field at colleges and for cultivating mobile app program developers required by enterprises.

장애아동 부모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한 연구 (Policy directions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o invigorate smart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63-68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아동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장애아동들 부모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도출한 정책을 기반으로 AHP방법론을 사용하여 중요도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제시하였다. 장애아동 부모들은 스마트교육 콘텐츠개발, 인프라지원, 교수 학습 지원, 법률적 기반 마련, 스마트교육 네트워크 확보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장애아동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하위 정책으로는 다양한 콘텐츠개발,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 기기 개발, 재정지원제도 개선 등이 가중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교육정책 분석을 통한 일본어교육 발전방향 모색 (The Search for Development of Education in Japanese, through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Education Policy)

  • 안지영
    • 동북아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347-360
    • /
    • 2014
  • This research, with the recent change in the paradigm of education, has its purpose o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Japanese education that best suits the environment in Korea, by analyzing the education and information policy in Korea and Japan. As it is shown in Mackey's model, policy in language and education cannot be separated, and the 'smart education' policy as well as 'Education and Information Vision' that is implemented in Korea and Japan is likely to be connected with policies in language in the near future. Both of these policies has its goals on the spreading of information in education, and is predicted to lead to development in contents in regard to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When looking at recently developed smart-learning programs, it can be found that the credibility and authenticity is weak because in most of those programs, there was no participation of experts in Japanese education. Thus there is a need for expertise in Japanese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these contents and also many attempts with application of 'smart-learning' collaboration of technology and academic knowledge in humanities and education is needed. At the same time, variou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essential so that these policies can simultaneously work together, along with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인식 조사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State of Using Smart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 설문규;손창익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09-318
    • /
    • 2012
  • E-러닝, U-러닝, M-러닝에 이어 요즘의 대세는 스마트 러닝이다. 정부는 지난 2011년 6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여 우리나라 스마트 교육의 비전과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현재 정부에서 주도하는 스마트 교육 정책의 추진에 있어 무엇보다도 현장의 현실과 환경적 고려, 교육의 주체자들의 능력 등 다양한 요인의 고려가 없이 무조건적인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의 현실과 스마트 환경을 파악하고 이를 교육할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마트 기기 활용현황과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교육의 여러 요소에 대한 활용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체계적인 스마트 교육의 기반을 마련함에 있다.

  • PDF

교실은 어떻게 '스마트'해지는가?

  • 정한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201-246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은 교육을 큰 위기에 빠트리는 위험물질 취급을 받기도 하고, 위기에서 구원하는 구원자로 비추어지기도 한다. 한국 정부는 2011년 스마트교육 정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공교육의 학교들로 끌어들여 교육을 혁신하고 인재대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교육은 타블렛 PC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표준 교실 모델을 정립해 각 학교에 확산, 정착시키고자 했다. 이 논문은 스마트교육 정책이 꿈꾸었던 스마트교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마찰을 일으켰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 정책의 방향과 이상을 분석하고, 실제로 스마트한 교실 환경을 구축하고 있는 학교 세 곳에 방문해 시설 견학 및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스마트교육 정책이 제안한 이상적 교실은 모델하우스처럼 깔끔한 공간에 스마트폰처럼 다양한 기능을 한 번에 갖춘 패키지였지만 일상적으로 보통 교실처럼 활용되기 어려웠다. 각 학교는 모델을 수용하는 대신 규모, 지역 특성, 학생들과 교사의 사회경제적 상황, 교사의 경험, 기존 인프라의 유무 등의 요인들이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각자의 방식으로 "스마트"해졌다. A 초등학교에서는 기계가 학교의 공간을 길들여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한편 이동을 위해서는 학교의 규칙에 따르게 되었다. B 초등학교에서는 학교 전반을 아우르는 인프라가 만들어지지는 못했지만 선생님의 경험에 힘입어 조직화했으며, C 초등학교에서는 특정 교실에 밀집되어 선생님의 전문성을 증진시켰다. 스마트교실의 구성하고 있던 기기들은 분해되고, 맥락에 맞게 재조합되어 각 학교의 교실들을 "스마트"하게 만들었다.

A New Policy of Spatial Development of Kazakhstan on the Principles of Inclusiveness and Smart Specialization

  • Satybaldin, Azimkhan A.;Nurlanova, Nailya K.;Kireyeva, Anel 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3권3호
    • /
    • pp.93-102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justification of formation of a new policy of spatial development of Kazakhstan's economy,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clusiveness and smart specialization. Unlike previous research, the scientific significance of the obtained results consists in the conceptual justification of the basic theoretical concepts; spatial development, covering issues of concentration, specialization, and location of production. In this study, we used scientific methods: conceptual approach involves studying various concepts of spatial development on the principle of inclusive growth and smart specialization; economic analysis allows conducting a brief assessment of the economic status of regions for a certain period; structured approach involves to the formation of new policy of spatial development. Based on this research we conclude that most successful regions have formed based on principles of inclusiveness and smart specialization, which increases opportunities for well-functioning synergistic mechanism in the field of advanced technologies with subsequent access to global markets.

초.중.고에서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유형 분석 (Analysi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K-12 Smart Education)

  • 한해숙;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51-58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 보급과 함께 스마트교육 환경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 속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 체제를 이해하기 위해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육방식, 교육과정 측면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스마트교육의 통합적 특성을 고려한 CTLA(Creation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모델을 바탕으로 한 초 중 고(K-12)의 국내 외 실제 스마트교육 사례를 분석하였다. 스마트교육의 교수 학습 유형은 국외사례, 국내사례, 교수 학습 모형 별로 분석하여 각 유형별 현 스마트교육의 긍정적인 부분과 보완 및 추가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립 및 구현하여 성공적이고 내실있는 스마트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