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ard Data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142초

효율적 파일 관리를 위한 자바카드 API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Java Card API for Efficient File Management)

  • 송영상;신인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3호
    • /
    • pp.275-282
    • /
    • 2006
  • 다양한 응용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개의 독립적인 애플릿이 카드에 탑재되는 자바카드에서는 각 애플릿이 응용분야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 및 관리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각 애플릿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관리하기 위해 자바카드에서 지원하는 기본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와 스마트카드 국제 표준인 ISO 7816-4에 정의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바카드용 파일 시스템 API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파일 시스템 API를 이용하여 각 애플릿에서 메소드 호출로 동일한 코드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처리 시간과 메모리 사용을 감소시키며, 개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약자 대중교통 환승통행패턴 분석: 버스 지하철 간 환승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Transit Transfer Pattern for the Mobility Handicapped Using Traffic Card Big Data: Focus on Transfer between Bus and Metro)

  • 권민영;김영찬;구지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71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이에 따라 이동에 불편을 겪는 교통약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는 이동편의시설 설치 확대 등 교통약자에 대한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기존 대중교통 이동편의시설 설치는 역사의 면적, 층수, 시설 미확보역 등의 양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우선적 확대·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 기준 보다는 실제 이용자 기준의 설치 필요 지역에 이동편의시설을 확보하는 것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기반의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통약자의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스마트카드 거래내역 데이터를 가공하여 환승통행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용자별 환승통행패턴 분석 및 환승통행시간 차이가 큰 경로를 기준으로 환승취약지점을 도출했다. 분석 결과 일반 이용자보다 교통약자의 환승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과 교통약자의 환승통행시간 차이와 시설물 개수와의 상관관계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장 조사 결과 환승통행시간 차이는 시설물의 단순 개수보다는 해당 환승최단경로 내 이동편의시설의 부재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통약자를 위한 이동편의시설 확대 시 실질적 이용자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환승취약지점을 기준으로 우선적 시설 확보 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가 보다 더 향상될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카드 기반의 효율적인 해킹 방지 시스템 설계 (Design of Efficient Hacking Prevention Systems Using a Smart Card)

  • 황선태;박종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1권2호
    • /
    • pp.179-190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hacking prevention systems using a smart card. It consists of two parts, i.e., PC authentication and Keyboard-buffer hacking prevention. PC authentication function is a procedure to handle the access control to the target PC. The card's serial number is used for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and is converted into hash-code by SHA-1 hash-function to verify the valid users. The Keyboard-buffer hacking prevention function converts the scan codes into the encoded forms using RSA algorithm on the Java Card, and puts them into the keyboard-buffer to protect from illegal hacking. The encoded information in the buffer is again decoded by the RSA algorithm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paper, we use RSA_PKCS#1 algorithm for encoding and decoding. The reason using RSA technique instead of DES or Triple-DES is for the expansion to multi-functions in the future on PKI. Moreover, in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is smart card security system can be used to protect the private information from the illegal attack in any computing device anywhere. Therefore, our security system can protect PC user's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and guarantee a legal PC access authority against any illegal attack in a very convenient way.

  • PDF

KB국민카드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CRM 전략: 스마트 오퍼링 시스템 (Real-time CRM Strategy of Big Data and Smart Offering System: KB Kookmin Card Case)

  • 최재원;손봉진;임현아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2호
    • /
    • pp.1-23
    • /
    • 2019
  •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해지면서 데이터 마이닝과 고도화된 고객관계관리(CRM) 기법을 활용한 체계적인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KB국민카드는 고객의 결제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고객 개개인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소비자의 평생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강조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고객의 카드이용과 고객 행동, 위치 정보 등을 감지하여 진행하는 고효율 마케팅 운영시스템인 스마트 오퍼링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다양한 앱 등과 결합하여 더욱 정교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B국민카드는 스마트 오퍼링 시스템의 성공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고도화되고 있는 ICT 기술과 인재 확보를 위한 투자를 진행해야 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수익확보를 위한 전략을 확립하여 체계적인 진행이 필요하다. 특히, 프라이버시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쟁점이 되는 현재 상황에서 고객 정보를 활용한 마케팅에 대한 고객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보안성을 강조하는 기업 이미지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CRM 전략의 변화 과정을 통해 현재 카드사의 실시간 CRM 전략을 KB 국민카드의 빅데이터 활용전략과 마케팅 활동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File Cache 및 Direct Access기능을 추가한 Java Card File System에 관한 연구 (A Study of Java Card File System with File Cache and Direct Access function)

  • 이윤석;전하용;정민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04-413
    • /
    • 2008
  • 유비쿼터스 사회화에 따른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런 방안의 한 분야로 CPU와 메모리를 가진 스마트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스마트카드 중에서도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자바카드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자바카드 파일 시스템의 표준은 따로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스마트카드 파일 시스템 표준을 따른다. 하지만 스마트카드 파일 시스템 표준을 따름에 있어서 자바카드 가상기계의 특성상 데이터 및 코드의 중복사용으로 메모리 공간의 비효율적인 사용과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바카드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File Cache 기법과 Direct Access 기법을 제안하여 최소한으로 코드 수를 줄여 메모리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과 처리 속도를 개선한다.

  • PDF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철도 서비스 평가 (인천 1호선의 차내혼잡과 정시성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Metro Service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A Case Study of Incheon Line 1))

  • 엄진기;최명훈;김대성;이준;송지영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0-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천 1호선 구간을 대상으로 2009년 집계된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승객좌석점유(혼잡도)와 정시성 지표를 사용하여 도시철도 서비스를 평가하였다. 차량단위의 대중교통 서비스 평가를 위해 개별 이용객의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스케줄에 의해 운행되는 차량단위로 집합화하였다. 분석결과 인천 1호선 하행선(계양${\rightarrow}$국제업무지구)의 오전 첨두 시간대(7시-9시)의 차내 혼잡과 차량의 정시도착 측면에서 낮은 서비스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차내 혼잡도와 정시성 간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이는 이전 역에서의 높은 승객수요가 지속적인 열차의 연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Java Card을 이용한 마일리지 통합 관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Loyalty System using Java Card)

  • 백장미;강병모;홍인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31-238
    • /
    • 2002
  •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거래를 위하여, 스마트 카드의 활용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카드의 차세대 COS로 Java Card가 등장함으로써, 자바 언어를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본 논문은 차세대 COS로 주목받고 있는 Java Card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의 효율성 있는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은 Java Card상에 저장되는 개인의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Java Card의 연산기능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마일리지 체계를 가지는 쇼핑몰의 마일리지를 직접 계산하고 적립할 수 있다. 기존의 제공되고 있는 마일리지 시스템과의 비교 분석과 구현된 프로그램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시스템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한다.

  • PDF

RF-ID를 이용한 스마트카드의 FRAM 운용 (FRAM application of smart card using RF-ID)

  • 이용제;이교성;김도훈;김용상;김양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70-1272
    • /
    • 2003
  • Smart card system is being used in many countries to improve access to their transportation systems. Especially for subway system that typically see high volumes of passengers at specific times of the days, it's critical to find a ray to collect fares without unnecessarily delaying passengers. The card consists of antenna, modulation and demodulation block, power supply module and memory. The antenna receives the power and data signal from reader. The FRAM is used as the inner memory. And it is a non-volatile memory and complements the problems, that is high consumption and low data processing speed, of using conventional EEPROM in the passive smart cart.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design the RF passive smart card to apply to the fare collection for the subway gate system.

  • PDF

스마트카드 가상화(ViSCa)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안 및 타 사례와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iSCa Platform-based Mobile Payment Service with other Cases)

  • 이준엽;이경전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163-178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카드 가상화(ViSCa: Virtualization of Smart Cards)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제안하고 타 사례와 비교분석을 한다. 스마트카드 가상화 플랫폼 기반의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단말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카드 하드웨어를 가상화하고, 모바일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가상화된 스마트카드에 대한 통합 관리를 목표로 하는 Smart Cards as a Service (이하 SCaaS)이다. 스마트카드 가상화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스마트카드를 가상화하여 클라우드에 저장한 후,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쳐 모바일 클라우드에 저장된 스마트카드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결제한다. 연구 범위 설정 및 사례 선정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진행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분류 방식을 토대로 제안하는 서비스와 관련 있는 특징별, 서비스 유형별 그룹을 도출하였다. 공통적으로 기존 결제수단(신용카드) 정보를 모바일 기기에 저장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하는 특징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그룹은 금융거래정보의 저장 위치에 따라 앱과 연결된 서버에 저장하는 '앱 방식'과 모바일 기기 내부의 보안요소(Secure Element, SE)에 금융거래정보가 담긴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칩을 탑재하는 '모바일 카드 방식'으로, 2 가지 서비스 유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채택 요인 및 시장 환경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토대로 경제성, 범용성 보안성, 편리성, 응용성, 효율성, 총 6가지 비교분석을 위한 평가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카드 가상화 플랫폼 기반 모바일 결제 서비스와 도출된 그룹에서 선정된 사례 5 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서울시 대중교통 통행자 환승패턴 분석 (Analysis of Passenger Transfer Pattern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in Seoul)

  • 송지영;엄진기;박종훈;김대성;최명훈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63-570
    • /
    • 2011
  • This study analyze the transfer patterns of passengers in Seoul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that was observed in 2010. The smart card records maximum four times of transfer and reports that approximately 90% of trips were less than one transfer and the remains were more than 2 transfers. We focus on trips with more than 3 transfer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 service and regional conne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travel time, distance, fare are 45 minutes, 18.3km, and 1,119(KW) respectively. We develope a map for investigating transfer patterns at a regional level(dong and gu). By doing this, three types of transfers are observed as: 1) trips of which origin and destination is either same or near, 2) trips with short distance, and 3) long distance trip with low transit connectiv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