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ard Data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1초

대중교통 카드를 이용한 중력모형 파라메타 추정 (Parameter Estimation of Gravity Model by using Transit Smart Card Data)

  • 김대성;임용택;엄진기;이준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9-1810
    • /
    • 2011
  • 지금까지 교통수요 예측에 사용된 OD는 차량 번호판조사, 노측면접조사, 가구방문조사, 폐쇄선 조사 등과 같은 직접적인 표본조사 자료를 이용한 전수화 과정을 통하여 OD를 작성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OD는 표본조사 및 전수화 과정에서 많은 오차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차는 예측된 교통량이 관측치와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전수화 자료나 다름없는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분포 모형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중력모형(gravity model)중 이중제약 중력모형을 통하여 관측교통량과 추정교통량을 최소화 시키는 파라메타(parameter) 추정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파라메타 추정결과 버스는 =0.57, ${\beta}$=0.14, 지하철은 ${\alpha}$=0.21, ${\beta}$=0.05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 검증 결과 t-검증과 상관계수, Theil 부등계수 모두 관측량과 추정량의 차이가 없다는 결과 값이 도출되어 본 연구에서 제시한 파라메타 추정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정투자사업의 쾌적성에 대한 사회적 가치 연구 : 광역버스의 차내 혼잡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Public Transport Comfort in Financial Investment Projects)

  • 허은진;김성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2-64
    • /
    • 2023
  • 차내 혼잡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통행의 질과 관련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차량의 제한된 용량과 배차간격 등의 이유로 주로 이용수요가 많은 교통수단 및 운영노선에서 차내 혼잡이 발생되며 이는 실제로 이용자들이 경험하는 통행시간의 가치에 차이를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오후 첨두시 분석노선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개별 통행자의 스마트카드 자료 정보를 기반으로 차내 혼잡에 따른 개별 통행자의 시간가치를 추정하였다. 특히, 차내 혼잡이 개별 통행자가 느끼는 시간가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그 형태에 대해서 정교하게 분석하기 위해 Box-Cox transformation로 변환한 변수를 포함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추정 결과에서 도출된 혼잡승수를 이용하여 2층 버스 도입 시 차내 혼잡 감소에 따른 편익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추정 결과의 유의미성과 적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역 간 철도 이용객의 접근통행 패턴 연구 (An Analysis of Access and Egress Mode Choice to Regional Railway Station using Transit Smart Card Data (a case of Seoul station))

  • 최명훈;엄진기;이준;문대섭;송지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5-600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passenger's access modes that connect to regional railway station and developed a model of access mode choice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of Seoul station as a case study. The study boundary includes sixteen bus stops around the station. The results show that most passengers access to station have less than two transfers. Of total 15000, eighty percent of passengers use metro and the rest of people take a bus. Interestingly, it is found that almost same proportions of passengers use metro and bus for egress the station. Consequently, metro is found to be most likely used mode compared to bus for both access and egress trips.

  • PDF

스마트카드 빅데이터를 이용한 서울시 지하철 이동패턴 분석 (Discovery of Travel Patterns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Using Big Data of Smart Card Transaction Systems)

  • 김관호;오규협;이영규;정재윤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1-222
    • /
    • 2013
  • 지리적으로 인접되어 있으면서 이동관점에서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Zone의 파악은 사람들의 이동흐름을 이해하고 도시개발 및 이동편의성 개선 등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특정 지점간의 이동과 Zone 발견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거시적 관점에서의 이동패턴을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전자거래 빅데이터로부터 Zone들을 발견하고 동시에 Zone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클러스터링 기반의 이동패턴 분석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설명력과 종속성 관점에서 이동패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를 제안한다. 제안된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철에서 수집된 실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울시에서의 이동패턴을 밝혀내고 시각화하였다.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지역별 대중교통 수단 선택 공간상관성 분석 (The Spatial Correlation of Mode Choice Behavior based on Smart Card Transit Data in Seoul)

  • 박만식;엄진기;허태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4호
    • /
    • pp.623-6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통 분석존(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대중교통 수단(버스, 도시철도)선택에 있어서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중교통카드 자료를 기반으로 제시한다. 분석결과 버스를 탑승한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서로 이웃하여 그룹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도시철도 역사의 수가 버스 정류장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버스에 탑승한 비율이 비슷한 그룹 간에는 공간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통계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러한 공간상관성은 향후 대중교통 수단선택 모형 구축에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중교퉁 수단선택에 있어 공간상관성의 존재는 대중교통 운영기관이 향후 대중교통카드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노선계획, 운영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철 급행노선을 고려한 내부환승 추정방안 - 스마트카드 자료기반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Estimating Internal Transfer Trips Considering Subway Express Line - Focusing on Smart Card Data Based Network -)

  • 이미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5호
    • /
    • pp.613-621
    • /
    • 2019
  • 지하철역사의 일반적인 환승통행은 노선간환승과 역사환승을 의미한다. 노선간환승은 다른 두 노선의 열차를 갈아타기 위하여 환승통로와 같은 수평보행시설을 통해 이동한다. 역사환승은 스마트카드 진출입 단말기노선과 승하차 열차노선이 다른 상황에서 발생하는 보행통행으로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수직보행시설을 이용하면서 환승통로를 함께 이용하는 통행이다. 이러한 환승의 가정은 지하철 네트워크를 운행하는 모든 노선은 완행 또는 급행의 단일노선에 한정되었다는 한계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완행과 급행이 동일노선으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노선내에서 발생되는 환승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았다. 노선내환승은 메트로9호선과 같이 급행 및 완행 정차역이 동일노선에서 운행되는 상황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카드 자료기반의 급행 및 완행열차가 동일노선에 존재하는 지하철네트워크를 대상으로 노선내환승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급행 및 완행열차를 분리하기 위한 네트워크확장기법을 구축하고 최소시간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동일 노선의 내부 환승이 재현되는 경로선택모형을 제안한다.

스마트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통행궤적 기반 고령인구 통행유형 분류 (Understanding elderly's travel pattern based on individual trip trajectory using smart card data)

  • 이주윤;강영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2호
    • /
    • pp.153-169
    • /
    • 2022
  • 평균수명의 연장과 급속한 고령화로 고령 인구 개인의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상이해짐에 따라 해당 연령층을 하나의 집단으로 정의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해당 연령층을 다양한 특성을 가지는 집단으로 보고, 각 특성에 따른 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이용 궤적 데이터인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고령 인구 개인이 가지는 통행의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통행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스마트카드 자료의 전처리를 통한 개별 사용자의 통행특성을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사한 통행특성을 보이는 사용자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4개 유형 중 원거리 저빈도 체류형과 근거리 중빈도 이동형 유형은 은퇴 후 여가를 위한 외부 활동 통행 특성을 보이며, 원거리 고빈도 체류형, 원거리 고빈도 이동형 그룹은 정기적 출퇴근 통행을 포함한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시 고령 인구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교통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ustomer-based Recommendation Model for Next Merchant Recommendation

  • Bayartsetseg Kalina;Ju-Hong Lee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5호
    • /
    • pp.9-16
    • /
    • 2023
  • In the recommendation system of the credit card compan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stomer patterns to predict a customer's next merchant based on their histories. The data we want to model is much more complex and there are various patterns that customers choose. In such a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use an effective model that not only shows the relevance of the merchants, but also the relevance of the customers relative to these merchants. The proposed model aims to predict the next merchant for the customer. To improve prediction performance, we propose a novel model, called Customer-based Recommendation Model (CRM), to produce a more efficient representation of customers. For the next merchant recommendation system, we use a synthetic credit card usage dataset, BC'17.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we also apply it to the next item recommendation with another real-world transaction dataset, IJCAI'16.

자바카드기반 다중 사용자 파일접근에 대한 애플릿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pplet for Multi-Users File Access based on Java Card)

  • 김범식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481-486
    • /
    • 2006
  •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한 편리함과 동시에 정보의 유출 및 불법적인 데이터의 사용 또한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불법적인 정보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며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 스마트카드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자바카드는 스마트카드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는 대안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보호 및 다양한 응용분야에 이용되는 자바카드를 기반으로 다중사용자 인증과 사용자별 파일접근권한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파일 접근 권한의 부여는 애플릿에 권한 테이블을 작성하여 사용자별 파일 접근 권한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자바카드 내에 있는 여러 개의 파일이 접근 권한에 따라 읽기/쓰기 등이 선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서 다중 사용자접근시 우려되는 불법적인 정보의 수정, 노출,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다수의 인증을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 PDF

원격검침을 위한 다기능 자바카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functional Java Card for AMR)

  • 강환수;조진형;권귀석;이종만;강환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64-72
    • /
    • 2009
  • 원격지에 있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검침기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검침을 자동화하는 원격검침(AMR)에는 전력선통신 방식, 근거리무선통신 방식 등이 주로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시대의 필수 품목이 펠 자바카드를 활용하여 원격검침을 수행할 수 있는 원격검침자바카드(JCA: Java Card for AMR)를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원격검침자바카드(JCA)는 전력공급사에서 제공하는 표준 거래 절차를 준수하고 전력사용로그 및 정산 자료를 관리하며 다기능 신용카드(EMV) 기능이 충족되도록 설계되었다. 원격검침자바카드(JCA)는 오픈 플랫폼(open platform)의 다기능 스마트카드로 응용 애플릿의 후발급이 가능하므로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기능과 함께 다른 제휴사의 응용을 탑재할 수 있다. 원격검침자바카드(JCA)는 다른 원격검침방식과 비교하여 원격검침 시스템 구축비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자바차드의 인증과 보안을 활용하여 선불 및 후불 정산 방식이 가능하고 제휴 사와의 연계 서비스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