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ar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5초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Unevenness - Focused on Orange Peel Effect -

  • Jung, Kwang Tae;Lee, Jaei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43-551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isual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orange peel effect of surface. The orange peel effect is a type of finish on painted or coated surface. Background: Gloss paint sprayed on a smooth surface (such as car body, smart phone, and electric home appliances, etc.) should also dry into a smooth surface. Then, a surface resembling the texture of an orange peel can be caused by some factors. The orange peel effect can degrade user's satisfaction with a product. Method: Visual percep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were subjectively evaluated using Likert scale. The significance of orange peel effect on visu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ere then analyzed by the analysis of variance.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as also analyzed. Results: Surface rough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visual perception and emotional satisfaction. The level of visual perception increased and emotional satisfac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orange peel effect. Emotional satisfac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visual perception level. Conclusion: It was identified that orange peel phenomenon on surface wa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emotional satisfaction. The orange peel effect on the surface of a product should be minimized to improve the emotional satisfaction of the product.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texture design of the body of a car, smart phones, and electric home appliances, etc.

차량 내 MOST Network를 이용한 지능형 Navigation 구현 (Smart Navigation System Implementation by MOST Network of In-Vehicle)

  • 김미진;백성현;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5
    • /
    • 2009
  • 최근 편의성, 안전성, 편리성 등의 키워드가 자동차 시장에서 새로운 화두로 등장하면서 자동차 시장에서 차량 내 전장부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자 기기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면서 전자 기기들 간의 통신이 부각 되어지고 있다. 차량 내부에서는 컨트롤러, 센서, 그리고 멀티미디어 기기인 오디오, 스피커, 비디오,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장치들이 CAN 이나 MOST와 같은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되어 있다. 현재 차량 네트워크는 서로 각각의 목적에 따라 운용 되고 관리 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ST Network를 이용하여 최근의 키워드가 되고 있는 편의성, 안전성, 편리성 등을 고려한 지능형 자동차에 요구되는 Navigation을 구현하여 차량 내 CAN Network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 자동차 보안 인증제도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of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for Smart Car)

  • 권순범;최선영;이환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9-63
    • /
    • 2023
  • The inclusion of softwa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vehicles has raised concerns regarding automobile security. In its response, UNECE WP.29 implemented the first-ever international standard for automotive cyber security in June 2020. Yet, the existing disparity between national standards for automotive certification systems and 「UN Regulation No. 155」 has caused confusion among auto makers. This discrepancy not only jeopardizes the security of domestic vehicles but also poses challenges to the seamless import and export of automobiles. Hence, there is a need to enhance the automotive cyber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however, there is a dearth of scholarly discourse on this topic.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a proposal for enhancing the domestic automotive cyber security certification system. In view of this, existing legal frameworks such as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and the 「Self-Driving Vehicle Act」 were reviewed, alo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tomotive certification systems. The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derived from the findings, encompass institutional, legal, and operational aspects. This study is highly significant as it examine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tomotive certification systems in an area where there is a lack of academic discussion.

자동 회귀 통합 이동 평균 모델 적용을 통한 한국의 자동차 사고에 대한 시계열 예측 (Time Series Forecasting on Car Accidents in Korea Using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 신현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54-61
    • /
    • 2019
  • 최근 들어 IITS는 스마트 시티관련 산업계에서 중요한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IITS의 주요 목적인 교통체증 (차량 사고에 기인한) 예방책들이 발전된 센서 및 통신 기술의 도움을 받아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관련 연구들에서는 자동차 사고와 사고 위치적 특성, 날씨, 운전자 행동, 시간 등 다양한 요인들과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 연구는 자동차 사고와 사고 발생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에 주제를 집중했다. 본 논문에서는 ARIMA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자동 회귀, 정상 및 지연 순서를 결정하는 세 가지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ADF (Augmented Dickey-Fuller)를 포함한 ARIMA 테스트를 수행했다. 본 연구 결과로서 시간 별 자동차 충돌 수 예측에 대한 요약을 제시하며, 한국 내 자동차 사고 데이터는 ARIMA 모델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국내 자동차 사고는 하루를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가 존재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차량용 모바일 앱의 분류: 융복합 관점의 앱 개발을 위해 (A Classification of Car-related Mobile Apps: For App Development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 장차오;완리리;민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77-86
    • /
    • 2017
  • 다수의 앱 개발업체가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수익을 높일 수 있는 분야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용 앱을 선정하고,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관리하는 용도로 쓰이는 모바일 앱을 분석하여 분류하였다. 총 697개의 자동차용 앱(애플의 앱 스토어에서 273개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424개)을 분류한 결과 8개 집단으로 나뉘었는데, 대부분 차량 뉴스 및 정보(28%), 위치 서비스(23%), 대여 서비스(15%), 안전/효율 운전(12%) 집단에 속하였다. 나머지는 매매, 운전자 소통, 유지보수 관리, 경비 관리용 이었다. 하지만, 다수의 앱들이 주 기능면에서 너무 비슷한 경우가 많았고, 단지 소수의 앱만이 둘 이상의 집단에 속할 만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다. 분류 체계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분류자간 신뢰성 검사를 두 번에 걸쳐 실시한 결과 Cohen's Kappa 값이 0.886과 0.828로 수용할 만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차용 앱 개발업체가 기존 앱이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발굴내거나 다기능을 복합한 앱을 개발하는데 유용할 것이며, 향후 유망 앱을 찾기 위한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자율주행차 운영 환경하에서 통근자 출발시간 선택의 영향에 관한 연구 (Exploring the influence of commuter's variable departure time in autonomous driving car operation)

  • 김찬성;진영근;박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14
    • /
    • 2018
  • 자율주행택시, 자율주행셔틀과 같은 새로운 교통서비스들에 대한 연구들이 전 세계적으로 여러 도시들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 현재 통행 수요는 출발시간이 고정적이라고 가정하고 기존 교통수단과 새로운 교통수단의 도입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기반 교통서비스 운영에서 통근자의 출발시간 조정에 따른 교통체계의 영향을 행위자기반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통행시간 선택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자율차를 수용할 수 있는 도로용량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근자가 원하는 출발시간에서 집에서의 활동종료시간과 출발시간이 상당히 조정된 후 시스템적으로 안정적인 통근통행이 완료되었으며, 또한 도로용량의 감소는 과도한 스케줄 조정에도 불구하고, 많은 통행자들이 9시 이전에 통근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현재와 다른 교통운영과 교통가격정책이 필요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고장진단을 위한 휴대형 스마트 시험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rtable Smart Tester for Fault Diagnosis of Electric Vehicle Charger)

  • 김철수;백수황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61-168
    • /
    • 2019
  • 오늘날 탄소 및 배기가스 저감을 위한 해결책으로 전기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환경부 주관으로 전기 자동차의 보급과 충전기의 확충이 해마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보급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고장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 및 충전기 양쪽의 충전관련 고장에 대한 신속한 점검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스마트 시험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전기 자동차 및 충전기 간의 통신 프로토콜의 정상동작을 검증하기 위해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를 구성하였으며, V2G 기술까지 고려된 국제 표준규격에 기반을 둔 휴대용 시험기를 개발하여 시험 평가하였다.

스마트하이웨이 종방향 방호울타리안전성능 평가를 위한 충돌조건 (Impact Condition of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for Longitudinal Barriers of SMART Highway)

  • 김동성;김기동;고만기;김광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49-57
    • /
    • 2009
  • 충돌사고시 스마트하이웨이의 정시성과 안전성의 손상정도를 최소화 하도록 스마트하이웨이의 종방향 방호울타리 충돌조건으로 기존의 충돌조건보다 상당히 상향된 충돌조건이 결정되었다. 충돌조건은 충돌차량, 충돌속도, 충돌각도로 구성된다. 가능한 많은 승용차의 탑승자 안전을 고려할 수 있도록 충돌시 피해가 크게 나타나는 작은 차량을 충돌차량으로 선정 하였다. 가능한 많은 사고 충돌속도를 포함하도록 기존의 충돌속도보다 20% 큰 충돌속도가 결정되었다. 충돌각도는 예상되는 사고 충돌각도를 거의 모두 포함하도록 결정되었다. 기존의 국내 최고성능등급의 종방향 방호울타리에 대하여 다양한 충돌조건을 적용한 시뮬레시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된 스마트하이웨이 충돌조건이 탑승자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기존의 국내 최고성능등급의 종방향 방호울타리는 제시된 스마트하이웨이 충돌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충돌사고시 스마트하이웨이의 정시성과 안전성의 손상정도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새로운 고성능의 종방향 방호울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ano모형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카 기능의 고객 만족도 분석: 신기술 사용경험 유무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Customer Satisfaction Analysis of Smart Car Features Using the Kano Model: in Control Effect of the Comprehension or Experience of Emerging Technologies)

  • 강영태;정규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155-168
    • /
    • 2018
  • 본 논문은 스마트 카의 다양한 기능 중 30개를 선별하고 이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각 기능의 실질적 효과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만족도가 비선형적 관계라는 가정 하에, Kano모형을 분석의 주요 도구로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Timko 계수를 활용하여 이들 간의 표준편차를 이용한 Timko분산과 Kano 품질속성의 분포를 표시하는 Kano분포지수의 두 지수를 새로이 설정하여 분석 결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분석 모형을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 Kano식 질문은 일반 고객들을 설문대상으로 채택하는 경우, 스마트 카와 같이 아직 일반화가 덜 되었거나 또는 대중화가 진행 중인 신기술의 품질 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스마트 카의 품질요소와 같이 신기술을 활용한 품질요소들은 Kano식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일반적인 상품이나 서비스와는 다른 분석 방식, 즉 일정 통제 변수를 활용해야 다양한 품질속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계량적으로 밝혔고 이를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카의 기능이라는 아직 국내에서 연구사례가 희소한 분야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13개의 응답자 그룹으로 분류하고 계량적 지수로 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 사례로 볼 수 있다. 다른 유사한 신기술 분야를 대상으로 한 일반적 소비자 연구에 본 연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Remote Control Black Box System of Vehicle Using the Smart Phone

  • Song, Jong-Geun;Jang, Won-Tae;Kim, Tae-Y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6호
    • /
    • pp.665-670
    • /
    • 2010
  • This paper suggests the vehicle remote control on the basis of Smart Phone. In general, most smart phone is mounted with G-sensor to control the motion. G-sensor is able to control several directions and movements of velocity along with X, Y, and Z axis. To access remote location and data system, we can also utilize Wi-Fi communication as well as bluetooth communic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scheme that is the car management application by remote control via real-time monitoring on mobile device for user conven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