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sized cancer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1초

늑간근에 발생한 폐포성 횡문 근육종 1례 보고 (One Case of Alveolar Rhabdomyosareoma arising from Intercostal Muscle)

  • 김선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6호
    • /
    • pp.598-604
    • /
    • 1992
  • Rhabdomyosarcoma is the most common soft tissue sarcoma in childhood and acounts for 6% to 15% of all cases of childhood cancer, Rhabdomyosarcoma in seventh most common form of childhood neoplasms, following acute leukemia,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neuroblastoma, Wilm`s tumor, bone tumor. Rhabdomyosarcoma can arise anywhere in the body, but primary site in the thorax is relatively rare. We experienced a case of aveolar rhabdomyosarcoma arising from intercostal muscle, A 12 year-old woman was suffered from the intermittent left chest pain radiating to the scapular area and dyspnea, On physical examination, pulmonary friction rub was heard on the left upper lobe area. Qn adimission, the chest simple radiography revealed a 7 x 6, 5cm sized radio-opaque mass with pleural effusion in the superior mediastinum and the CT showed a well difined radio-opaque mass including the destructed 2nd rib and pleural effusion. The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aspiration biopsy was likely to show blastoma. After the chemotherapy[vincristine, actinomycin-D, cyclophosphamde] was done to treat blastoma, the pleural effussion was subsided and the mass was slightly decreased by 4.5x 4. 5cm. For treatment and diagnosis, we performed en-bloc resection and the defected chest was reconstucted with Gortex patch. Grossly, the specimen was colored graysh-white and arised in between two ribs The microscopic findings showed that the tumor cells were small round with scant pinkish cytoplasm on the H-E stain and the tumor cell nests were grouped by reticulum fibers and showed alveolar pattern on the silver stain The electromicroscopic finding presented that the cytoplasm contained tangled fibrillar and flocculent materials.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compatable with laveolar rhabdomyosarcoma. She was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 After discharge, she has been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hy and chemotheraphy, and not recurred untill last follow-up We report a case of alveolar rhabdomyosarcoma arising to intercostal muscle, developed in 12 year-old waman,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PDF

Reconstruction of microstomia considering their functional status

  • Ki, Sae Hwi;Jo, Gang Yeon;Yoon, Jinmyung;Choi, Matthew Seung Su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1-165
    • /
    • 2020
  • Background: Microstomia is defined as a condition with a small sized-mouth that results in functional impairment such as difficulty with food intake, pronunciation, and poor oral hygiene and cosmetic problems. Several treatment methods for microstomia have been proposed. None of them are universally applicabl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ases treated at our institution critically reviewing the pertinent literature.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all microstomia patients treated in our hospital from November 2015 to April 201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Of these, all patients who received surgical treatment for microstom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analyzed for etiology, chief complaint, surgical method, and outcomes. The functional outcomes of mouth opening and intercommissure distance before and after the surgery were evaluated. The cosmetic results were assessed according to the patients' satisfaction. Results: Five patients with microstomia were corrected. Two cases were due to scar contracture after chemical burn, two cases derived from repeated excision of skin cancer, and one patient suffered sequela of Stevens-Johnson syndrome. The following surgical methods were applied: one full-thickness skin graft on the buccal mucosa, three buccal mucosal advancement flaps after triangular excision of the mouth corner, and one local buccal mucosal flap. Mouth opening was increased by 6.0 mm, and the intercommissure distance improved by 7.2 mm on average. Follow-up was 9.6 months (range, 5-14 months). Cosmetic assessment was as follows: two patients found the results excellent, three judged it as good. Conclusion: Microstomia has several causes. In order to achieve optimal functional recovery and aesthetic improvement it is important to precisely evaluate the etiologic factors and the severity of the impairment and to carefully choose the appropriate surgical method.

유방암 환자에서 피부보존 유방절제술 후 실리콘 보형물을 이용한 즉시 유방재건술 (Immediate Implant Reconstruction using Silicone Prosthesis in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Skin Sparing Mastectomy)

  • 조영규;양정덕;김귀락;정호윤;조병채;박호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749-757
    • /
    • 2010
  • Purpose: Since skin sparing mastectomy removes the mammary gland and the nipple-areolar complex preserving all mammary skin, it makes the widespread use of implants in immediate reconstruction. This article reports our experience in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after skin sparing mastectomy by using the silicone implants in patients especially who have small to moderate sized and minimal ptotic breast. Methods: From September of 2007 to July of 2009, we performed breast reconstruction for 44 breasts of 40 women with silicone implant after mastectomy. Tumors were divided into 5 malignant types (21 IDC, 18 DCIS, 2 ILC, 2 phylloides tumor, 1 mucinous carcinoma). The implant is placed in a submuscular pocket or in a submuscularsubfascial pocket depending upon the condition of the muscles and skin flaps after mastectomy. Results: The mean age was 47 years an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1 months. Cosmetic outcome was assessed by evaluation of photographs and assessment of breast volume and shape, breast symmetry, and overall outcome. About 80% of each of these parameters was scored as good or excellent. Breast complication was developed in a total of 6 cases including 2 capsular contracture, 2 partial skin necrosis due to blue dye injection and 2 implant infection. Conclusion: The use of definitive implants in a skin sparing mastectomy is a one-stage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with low morbidity and acceptable result. This method is considered reliable with favorable aesthetic result.

Selection of oncoplastic surgical technique in Asian breast cancer patients

  • Shin, Eui Sun;Kim, Hyo In;Song, Seung Yong;Lew, Dae Hyun;Lee, Dong W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1호
    • /
    • pp.37-44
    • /
    • 2018
  • Background Oncoplastic surgery is being increasingly performed in Korean women; however, unlike Westerners, Korean women usually have small to moderate-sized breasts. To achieve better outcomes in reconstructed breasts, seve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optimal surgical method. Methods A total of 108 patients who underwent oncoplastic surgery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6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We used various methods, including glandular tissue reshaping, latissimus dorsi (LD) flap transposition, and reduction oncoplasty, to restore the breast volume and symmetry. Results The mean weight of the tumor specimens was 40.46 g, and the ratio of the tumor specimen weight to breast volume was 0.12 g/mL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glandular tissue reshaping (n=59). The corresponding values were 101.47 g and 0.14 g/mL, respectively,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reduction oncoplasty (n=17), and 82.54 g and 0.20 g/mL, respectively, in those treated with an LD flap (n=32). Glandular tissue reshaping was mostly performed in the upper outer quadrant, and LD flap transposition was mostly performed in the lower inner quadrant. No major complications were noted. Most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 results. Conclusions We report satisfactory outcomes of oncoplastic surgical procedures in Korean patients. The results regarding specimen weight and the tumor-to-breast ratio of Asian patients will be a helpful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the most appropriate oncoplastic surgical technique.

Bartholin 씨선(氏腺)에서 발생한 선암(腺癌)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reatment for Primary Adenocarcinoma of Bartholin's Gland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 오원용;황인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71-76
    • /
    • 1989
  • 외음부의 Bartholin씨선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약 200예가 보고되고 있지만 아주 희귀한 종양이다. 일반적으로 처음 내원 당시에는 낭종이나 포는 염증성 농양으로 오진하기 쉬우며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이 이루어져서 근치적 치료가 시도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모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는 이 악성종양에 대한 원인과 적절한 치료방침에 대하여 결정된 바 없이 논란이 많으나 다른 외음부악성종양과는 엄격히 다르게 구별지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악성종양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써 방사선치료는 랴듐삽입 또는 전자선을 이용한 치료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지만 그 효과는 기대에 훨씬 못 미치고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과적으로 근치적 외음부절제술과 양측 서혜부 및 대퇴부 임파절절제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괄목할 만큼 향상되었으나 수술 후 잔존하는 병변으로 인하여 재발이 문제시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경험한 1예와 다른 저자들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앞으로 이 악성종양에 대하여 보다 세심한 임상적 관찰과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시급히 요청되며, 아울러 적절한 치료방침의 결정과 함께 예후인자에 대한분석을 통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 PDF

한시적 세포포집 구조물을 이용한 다세포 스페로이드 형성 및 추출칩 (A Multicellular Spheroid Formation and Extraction Chip Using Removable Cell Trapping Barriers)

  • 진혜진;김태윤;조영호;구진모;김진국;오용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2호
    • /
    • pp.131-13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한시적 세포포집 구조물을 이용한 다세포 스페로이드의 형성 및 추출칩을 제안하였다. 종래의 웰 플레이트와 플라스크는 작은 스페로이드 형성이 어렵고, 기존 마이크로칩은 고정된 세포포집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페로이드 추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제안된 칩은 한시적 세포포집 구조물을 이용하여 스페로이드의 형성과 추출이 모두 용이한 장점이 있다. 50kPa 의 박막압력으로 형성된 세포포집 구조물에 145~155Pa 의 세포입력압력으로 유입되는 세포를 포집한 후, 24 시간 배양하여 스페로이드를 형성하였다. 또한, 박막압력 제거 후 5kPa 의 세포입력압력으로 추출된 스페로이드의 지름과 활성도는 각각 $197{\pm}11.7Bm$, $80.3{\pm}7.7%$로 측정되었다. 제안된 칩은 스페로이드의 균일한 형성과 안정적 추출이 용이하여 스페로이드의 후처리에 적용될 수 있다.

편평상피세포 폐암의 외과적 고찰 (Surgical Evaluation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안병희;문형선;나국주;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2호
    • /
    • pp.179-186
    • /
    • 1997
  • 노인 인구와 증가와 공해의 심화 및 진단기술의 발달로 원발성 폐암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폐암의 치료방법은 외과적 완전절제가 가장 효과적 인 방법 이나, 진단시 완전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25%~30%에 불과하고 완전 절제술을 받은 환자도 폐암의 아형, 병소의 진행정도,림프절의 전이 정도 및 환자의 전신상태에 따라 장단기 생존율에 차이가 있다. 이에 저자는 편평상피세포 폐암의 임상적 소견이 수술후 장단기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최근 10년동안 폐암으로 완전 절제술을 받았던 148례 중 조직검사상 편평상피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87례에 대하여 술후 임상성적을 조사하였다. 연령은 31세 에서 73세까지로 평균 57.13 $\pm$ 7.15세이었고 50대와 60대가 전체의 80.5%를 차지하였으며 남자가 78례 여자가 9례로 남녀비는 8.9 1이었다. 입원시 주증상으로는 기침이 78.2%로 가장 많았고 체중감소(31.0%), 흉통(29.9%), 각혈 및 혈담(24.1%) 등이 있었다. 좌우 발생빈도는 우측이 44.8%, 좌측이 55.2%였으며 폐엽별 발생빈도는 좌상엽에 39.1%, 우하엽에 20.7%, 좌하엽에 16.1%,우상엽 14. 9%로 좌상엽에서 가장 높았다. 술후 병리조직검사 소 傷\ulcorner의한 병기는 제1병기는 19.5%, 제2병기는 25.3%, 제3a병기는 54.1%, 제)b병기는 1.1%이었다. 수술수기로는 전폐절제술이 52.9%로 가장 많았으며 47.1%에서는 폐엽절제술을, 4례에서는 상엽절제술 및 기관지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종격동 림프절전 이는 단일 림프절전이가 17례이 었고, 2곳 이상의 종격동 림프절전이는 23례 였으며, 우측 종양에서는 하부 기관주위부 림프절 및 기관분기부 림프절전이가 8례와 10례로 가장 많았고, 좌측 종양에서는 대동맥 하림프절전이가 9례로 가장 많았다. 술후 2례가 폐부종에 의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하여 수술사망률은 2.2%이 었으며, 수술합병증으로는 애성이 7례, 창상감염이 5례, 유미흉이 4례 있었다. 수술후 추적관찰 기간은 1개훨에서 99개훨까지 평균 29.95$\pm$ 17.21개월이었고 전체 환자의 술후 1년 생존율은 75.1%, 5년 생존율은 29.8%이었다 병기에 따른 1년 및 5년 생존률은 제1병기에서 93.7%와 52.4%이 었고, 제2병 기 에서는 92.2%와 30.5%이 었으며, 제3a병기에서는 61.2%와 17.4% 이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미루어 폐암 환자에서는 병소가 적고 종격동 림프절에 전이를 일으키기 전에 조기 에 발견하여 외과적 완전 卉┝珦\ulcorner시행하는 것이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폐암으로 의심되는 고립성 폐결절로 발현된 국한성의 진폐증 - 1례 보고 - (Localized Pneumoconiosis Manifested by Solitary Pulmonary Nodule Mimicking Lung Cancer -One case report-)

  • 이기복;박희철;홍기우;이원진;김건일;최광민;김태윤;안혜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611-615
    • /
    • 2002
  • 진폐증은 광물성 분진의 흡입에 의하여 야기되는 폐의 섬유성 변화에 의한 질환이다. 진폐증은 폐에 분진의 축적과 그에 의한 조직의 반응에 의하여 야기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분진은 대기중의 고형이며 비유기성의 입자라고 생각되어 지고 있다. 상기 질환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직업병중 가장 흔하고 중요한 질환이다. 상기 질환의 임상적인 진단하려면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이학적 검사가 바탕이 되며 임상적으로 증명되는 직업적인 과거력 ; 2) 예전 단순흉부방사선과의 비교 ; 그리고 3) 상기 질환의 진행에 소요되는 시간적 추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 대부분의 진폐증은 매우 느리게 진행하고 임상양상이 나타나기까지는 적어도 수 개월에서 수 년이 걸리기도 한다. 대개의 진폐증은 단순흉부방사선에서 1cm 미만의 다발성의 작고 둥근 결절로 나타나게 된다. 58세의 여자 환자에서 진폐증이 특징적인 직업력이나 분진에 노출된 과거력이 없는 상태에서 우상엽에 $5{\times}4{\times}3$cm크기의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진폐증을 우상엽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본 교실에서는 상기 임상례를 간략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조직 불균질성에 의한 고에너지 광자선의 선량변화 (Dose Alterations at the Distal Surface by Tissue Inhomogeneity in High Energy Photon Beam)

  • 김영애;최태진;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77-283
    • /
    • 1995
  • 목적 : 임상 방사선치료에서 병소선량은 인체 연부조직의 방사선흡수와 유사한 수조펜텀에서 측정환산된 흡수선량자료를 이용하여 얻어지고 있으며, 방사선 치료부위내 공기층 또는 밀도가 낮은 폐조직 주위에 종양이 존재할 경우 공기층과 만나는 종양의 경계면 선량은 rebuild-up에 의해 낮아질 수 있으나 현재까지 연구 발표된 것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 10 메가볼트 광자선을 이용하여 조직 불균질층 경계면 선량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종양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방사선 치료선량 결정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 고에너지 광자선의 조사면내 조직 불균질성에 의한 선량변화를 얻기 위하여 조직층에 해당되는 폴리스티렌 고체펜텀의 두께가 각각 10, 30, 50 mm 인 경우 공기층의 두께를 10, 20, 30, 50 mm 로 변화시켜서, 이러한 조직층과 공기층을 지나 종양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수조펜텀의 표면에 도달되는 방사선량을 평행평판형전리함으로 측정하였다. 방사선 조사면적은 임상에서 비교적 많이 이용되는 $5{\times}5,\;10{\times}10,\;20{\times}20\;cm^2$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방사선 조사면적 $5{\times}5\;cm^2$ 이고 조직층 두께 30 mm 일때 6 메가볼트 광자선에서 공기층 두께변화에 따른 표면선량 변화는 표준선량보다 공기층 10 mm 에서는 $1.1\%$, 50 mm 에서는 $29.1\;\%$ 낮아졌으며 공기층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방사선량 감소가 현저했다. 같은 조건에서 10 메가볼트 광자선에서 선량변화는 표준선량보다 $4.2\%$에서 $33.9\%$ 까지 낮아졌다. 동일 깊이에서 표준심부선량에 대한 불균질 조직층 선량의 비인 OER 은 조사면적 10{\times}10\;cm^2$ 이상에서는 1 보다 크거나 1 에 가까운 값을 보였다. 결론 : 방사선 조사면적이 커지면 공기층과 인접한 조직 경계면의 선량감소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10{\times}10\;cm^2$ 이하의 소조사면 치료시 조직 경계면의 종양에 대한 치료선량 평가에는 rebuild-up 효과를 고려하여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에서 6 메가볼트 광자선을 사용하여 공기층이 존재하는 구강과 인후두 종양을 치료할 때, 공기층에 인접한 점막층 (1-3 mm) 의 선량은 표준선량에 비해 $29\%$ 까지 적게 도달될 수 있으므로 방사선 치료선량 결정에 이러한 곁과를 필히 고려하여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1-686
    • /
    • 2010
  •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 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 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 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 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생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 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l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