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satellite

검색결과 764건 처리시간 0.031초

ITU-R의 협대역 이동위성업무를 위한 주파수 분배 연구 현황 (ITU-R Study on Frequency Allocation to Narrowband Mobile Satellite Services (NB-MSS))

  • 구본준;오대섭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6호
    • /
    • pp.36-45
    • /
    • 2021
  • As the global demand for satellite IoT services using small satellites increases, interest in their frequency requirements has also increased. Consequently,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 Sector (ITU-R) preparatory studies for WRC-23 include AI 1.18, which considers new frequency allocations for narrowband mobile satellites. This agenda item was issued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 284 (WRC-19), and contributions and reviews by government and satellite operators are underway at ITU-R SG4 WP4C with the aim of completing the study in 2023. Resolution 248 (WRC-19) considers the conditions for transmission of candidate bands and satellites and terminals for narrowband mobile satellite, and all contributions should satisfy narrowband mobile satellite system characteristics parameters within these conditions. However, among the current transmission specifications, there are several views on the exact definition of satellite e.i.r.p., and the derivation schedule of characteristic system parameters for the study is slower than that of the original work schedul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utline of WRC-23 AI 1.18 and the main content of Resolution 284 (WRC-19) and to determine the status of studies related to WRC-23 AI 1.18. The ITU-R's study on this agenda includes updating work schedules, developing the draft required spectrum and system characteristics parameter reports/recommendations, developing draft CPM reports, and examining the various views of transmission specifications in Resolution 284 (WRC-19). Focusing on candidate bands in Region 1 (Europe and Africa) and Region 2 (America), the current status of use in Korea is investigated and future countermeasures in Korea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trend of narrowband mobile satellite through satellite frequency and service status and planning of satellite IoT operators, such as EchoStar, Omnispace, and Sateliot that are participating in the ITU-R study.

미래 한국형 항법위성을 위한 위성항법메세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avigation message contents of the future Korean navigation satellite)

  • 조중현;이우경;최남미;백정호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08-115
    • /
    • 2012
  • 현재까지 국내 위성항법 연구는 기존 위성항법체계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새로운 위성항법 체계에 대한 연구도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심지어 대한민국 독자적인 항법위성을 보유하자는 의견도 대두되었다. 지리적, 경제적, 기술적인 이유로 아직 수면 위로 떠오른 적은 없지만 자체 항법위성 관련 우주개발 로드맵이 제 1차 우주개발기본계획에 막연하게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4개의 전지국적 위성항법체계가 운영 중이거나 구축 중이고, 여러 개의 지역위성항법 시스템이 계획 중에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 중국은 독자의 전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 (COMPASS을 2020년에 완성하고자 위성을 발사 중에 있으며, 일본은 지역위성항법 시스템인 QZSS(Quasi Zenith Satellite System)를 2013년 완성을 목표로 제작 및 발사하고 있다. 이제 대한민국도 독자적인 위성항법시스템을 국내 우주개발 기술확보 및 항법안보를 위해서 꼭 개발해야 할 시기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자체의 위성항법시스템의 개발 여부나 그 개발 가능성을 논하지 않고, 다만 자체의 항법위성을 보유할 경우, 그 항법 메시지에 기존의 정보 외에 어떤 종류의 정보를 실을 수 있는지 조사하여 보았다. 대한민국의 지리적, 경제적 특성상 지역항법위성체계가 첫 번째 항법위성의 탑재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연구도 이에 준해서 이루어졌다.

Ka-대역 위성중계기용 저잡음 증폭기 모듈 개발 (LNA Module Development for the Ka-Band Satellite Transponder)

  • 유영근;염인복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3-326
    • /
    • 1998
  • A LNA(Low Nosise Amplifer) module for the Ka-band satellite transponder has been developed, which is composed of developed two MMIC chips and 50$\Omega$ line. This LNA exhibited noise figure less than 3.12dB, linear gain higher than 32dB from 30.085GHz to 30.885GHz frequency range. Temperature test from $20^{\circ}to$ $60^{\circ}C$ of the LNA Module showed very small noise figure and linear gain variation of 0.2 dB and 0.4dB.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유출곡선번호의 추정 (SCS Curve Number Estimations from the Satellite Image)

  • 박희성;박승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519-524
    • /
    • 1999
  • In order to assess the estimtions of CN for a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using the satellite image, TM image from Landsat-5 was classsified by MLC. CN for each pixels in the image was estimaed using the results. For the estimation enhancing , it was tried that each land use area in a pixel was estimated by the mixel assumption and the averaged CN by weight areas. Those resutls were applied for the actual hydrologic analyses were highly concerned with the observed runoff discharge and more enhanced on the mixel assumption.

  • PDF

저궤도 소형위성 탑재용 빔 조향 능동 다이폴 안테나 설계 (Design of active beam steering antenna mounted on LEO small satellite)

  • 정재엽;박종환;우종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97-20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소형위성에 탑재하여 빔 조향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다이폴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야기-우다 안테나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2개의 무급전 기생소자를 T자형으로 형성시켜 수직소자의 길이를 고정시킨 후 수직소자의 끝단에서의 open, short에 따라 도파기 또는 반사기로 작동되게 하였다. 설계된 안테나는 UHF 대역의 436.5 MHz를 중심으로 위성-위성 간과 위성-지상 간의 링크버짓을 통해 안테나의 목표 이득을 정하였다.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급전 기생소자의 수직소자인 transformer의 길이를 변경시켰으며, transformer의 길이가 ${\lambda}/4$보다 ${\lambda}/2$일 때 최대 빔 방향 이득이 0.5 dB 향상되었다. 실제 ${\lambda}/2$ transformer 제작 시에는 무급전 기생 소자의 open, short를 다이오드와 캐패시터, 인덕터로 구성된 on/off switch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그 결과 위성-위성 간 이득은 평균 5.92 dBi로 나타났으며 위상-지상 간 이득은 평균 0.99 dBi로 확인되어 링크버짓을 통해 정한 목표 스펙을 충분히 만족하였다.

Design of an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telecom subsystem in offshore plants

  • Kang, Nam-seon;Kim, Nam-hun;Lee, Seon-ho;Kim, Young-goon;Yoon, Hyeon-kyu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8호
    • /
    • pp.863-869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offshore plant industry and related regulations such as ISO, IEC, and Norsok Standards to develop an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system (INMS) capable of both on-site and remote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of IP-based network equipment in offshore plants. The INMS was designed based on actual specifications and POS plans, and a plan of management was verified through an offshore plant engineering company. Various modules such as PAGA interface modules, CCTV, IP-PBX, and HF-radio communication modules were developed for system implementation. Protocol and data design and screen design were followed by framework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the automatic satellite communication function.

위성탑재 SAR 시스템 설계와 성능 특징 (Spaceborne SAR System Design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or Military Applications)

  • 곽영길;이범석;이상인;황용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1-120
    • /
    • 2000
  • A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system can provide all-weather, day and night, superior imaging capability, and thus is very useful in surveillance for military applications. In this paper, a X-band spaceborne SAR system design concept is introduced with the key design parameters for mission and system requirements characterized by small satellite system. The SAR imaging mode design procedure is presented, and the standard imaging mode design results are analyzed as an example. In line with the given mission and system requirements, the X-band SAR payload and ground reception/processing subsystems are designed and presented with the key design results. The designed small satellite SAR system shows the wide range of imaging capability, and proves to be an effective surveillance system in light-weight, high-performance and cost-effective points of view.

  • PDF

소형 저궤도 위성적용을 위한 전력조절분배기 예비설계 (Preliminary Design of a Power Control and Distribution Unit for a Small LEO Satellite Application)

  • 박성우;박희성;장진백;장성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438-1440
    • /
    • 2005
  • A power control and distribution unit(PCDU) plays roles of protection of battery against overcharge by active control of solar array generated power, distribution of unregulated electrical power via controlled outlets to bus and instrument units, distribution of regulated electrical power to selected bus and instrument units, and provision of status monitoring and telecommand interface allowing the system and ground operate the power system, evaluate its performance and initiat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in case of abnormal conditions. In this work, we perform the preliminary design of a PCDU scheme for the small LEO Satellite applications. The main constitutes of the PCDU are the battery interface module, the auxiliary supply modules, solar array regulators with 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technology, heater power distribution modules, internal converter modules for regulated bus voltage generation. and instrument power distribution modules.

  • PDF

액체로켓 기반 2단형 소형발사체의 스테이징 및 임무설계 (Staging and Mission Design of a Two-Staged Small Launch Vehicle Based on the Liquid Rocket Engine Technology)

  • 서대반;이준성;이기주;박재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7-285
    • /
    • 2022
  • 뉴스페이스 시대를 대표하는 소형위성 분야에서 발사기회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소형위성 전용 발사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것은 많은 스타트업 기업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저비용 부품과 대량생산, 최적화된 제작 공정이 결합된 비용 절감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우리나라에서도 한국항공우연구원에서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누리호를 통해 개발된 액체로켓엔진 기술을 기반으로 2단형 소형발사체 개발에 대비하여 핵심기술 및 비용절감 기술들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기술 연구에 착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위성을 위한 혁신적이며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 2단형 소형발사체의 개념을 소개하고, 스테이징 설계 및 2단형 발사체의 전기체 구성안을 포함한 임무설계 결과를 기술하였다.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한 GIS 응용 시스템 개발 (On Development of the GIS Application Based on Satellite Images)

  • 양인태;최영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
    • /
    • 2004
  • 최근까지도 GIS는 벡터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벡터데이터는 축척변경의 용이성, 작은 용량의 데이터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장점을 갖고 있으나, 현실세계를 잘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있다. 이에 반해 인공위성영상은 데이터의 용량이 크지만, 실세계를 잘 반영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요즈음 컴퓨터의 용량과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벡터데이터와 래스터데이터를 접목하여,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GIS 응용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응용 시스템은 PC용 Visual C++과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MS Access 파일을 이용하여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시스템의 기반에 사용된 위성영상은 LANDSAT, KOMPSAT, IKONOS 영상이며, 화면출력을 위해 각 영상의 해상도에 적합한 해상도별 축척을 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