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pond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2초

자력선별법을 이용한 화력 발전소 매립회의 지오폴리머 원료화 연구 (The study of geopolymer utilization of reclaimed ash by using magnetic separation method)

  • 김강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49-255
    • /
    • 2017
  •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매립회의 지오폴리머 원료화를 위하여 자력선별 공정을 이용하여 자성체와 비자성체로 분리하였으며, 매립회의 입도 및 자석의 세기에 따른 미연탄소의 선별 특성을 관찰하였다. 3000 G 자석을 이용한 세립(0.15~0.84 mm)과 조립(0.84~2.4 mm) 매립회의 자력선별 결과, 매립회는 입도에 상관없이 비자성체의 무게분율과 강열감량이 자성체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세립 매립회의 경우 자석의 세기를 3000 G에서 10000 G로 증가시키면, 약한 자성을 띠는 물질들도 자성체로 분리됨에 따라 자성체의 무게 분율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낮은 강열감량에도 불구하고 전체 강열감량의 32.6 wt%의 66.9 %(22.8 wt%)를 차지하였다. 자력 선별된 조립 매립회로 제조된 지오폴리머의 재령일별 압축강도 측정결과, 미연탄이 적게 포함된 자성체로 제조된 지오폴리머의 압축강도가 20 MPa를 나타내었다.

골프장 연못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환경특성 분석 (Analyses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nds in Golf Courses for Ecological Management)

  • 안득수;김창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1-77
    • /
    • 2006
  • Pond management is a critical part of overall golf course management, both during growth and maintenance modes of turf care. This study investigated 48 ponds in nine 18- or 27-hole golf course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nds. The research process had three phases: (1) inventory and analysis of grading plans and drainage plans, (2) field verification and interviews with greenskeepers, and (3) analyses of water quality and statistics.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in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desirable to site a golf course in a small watershed with high watershed eccentricity to control storm water runoff efficiently and to minimize soil erosion during construction. 2. The siting and size of a pond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a land-use analysis of the watershed for the purpose of ecological management. The bigger the forest-to-golf course ratio, the better the water quality will be. 3. The size and capacity of each individual ponds varied and there were many somewhat longish rather than round ponds. 4. There were many differences among golf courses in naturalness of the pond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aturalness and area of aquatic plants was very high. 5. Analyses of pond water quality indicated that the degrees of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ed and Suspended Solids were relatively low values but Total Phosphorus and Total Nitrogen were too high. Therefore a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to solve e problem. Pesticide residues were not detected in all ponds. 6. Water depth and area of hydrophyt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n ecological pond. 7. All ponds used storm water as a main source of water supply and added underground water. Aquatic plants and physical methods such as water aeration and spray fountains were the main choices for maintaining a healthy aquatic environment.

자생 수생식물의 인공연못에의 이용성 평가 (Evaluation of Native Hydrophytes Suitable for Artificial Pond)

  • 김귀순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63-70
    • /
    • 2008
  • 인공연못 녹화를 위해 국내 11개 연못에서 수집한 84종의 자생 수생식물을 $6m{\times}3m{\times}1.5m$ 크기의 인공연못에 식재하여 12개월간 생장시킨 후 관상가치가 뛰어나고, 체내 N, P함량이 많아 수질정화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종을 선발하였다. 체내 N함량이 높은 종은 마름, 어리연꽃, 수련, 벗풀, 물수세미였으며, P함량은 물옥잠, 벗풀, 소귀나물에서 높았다. 생태연못 조성에 이용할 수 있는 종으로 4월에 5종, 5월 19종, 6월 23종, 7월 32종, 8월 31종, 9월 28종, 10월 26종을 각각 선발하였다. 연못의 pH는 22개월 동안 6.8~7.6수준이 유지되었으며, EC는 식물 생장기인 봄과 여름에는 비교적 낮았으나 가을로 갈수록 높았다. 인공조성 연못의 1년 경과 후 식생은 당초 78종(Potamogeton octqandrus, Salvinia natans, Potamogeton malaianus etc.)에서 38종(Scirpus tarbernaemontani, Scirpus karuizawensis, Scirpus triqueter etc)으로 감소되었으며, 종 다양성면에서 종수는 38종, 총 개체수는 1,437개, 종풍부성지수는 11.72, 최대 다양성지수는 0.97로 나타나 인공연못이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하동 화력발전소에 저장된 Bottom ash의 광물학적 물성 (Mineralogical Properties of Bottom Ash Stored in Pond Site of Hadong Power Plant)

  • 문훈;김성근;윤주한;정철우;이수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1-102
    • /
    • 2015
  • Significant amount of bottom ash has been stored in the pond site of Hadong coal power plant located at southeast region of Korea. In order to address strong environmental regulation that is going to be enforced in the near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ume waste bottom ash stored in the pond site in a sustainable manner. In this research, the chemical and miner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sized bottom ash samples from Hadong coal power plant were analyzed using XRF, XRD, and particle size analyze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bottom ash was slightly changed in terms of Al and Fe content. As the size of the bottom ash increased, cristobalite was observed as a result of crystallization. The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its size distribution of powder type bottom ash indicated that significant amount of fly ash is included together with small sized bottom ash.

  • PDF

노지양식장에서 채롱양식과 바닥양식에 따른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성장특성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as Growth in Pond-bottom and Lantern-net Cultures)

  • 정우철;한종철;강석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37-342
    • /
    • 2016
  • Sea cucumbers have been an important part of human diets throughout history; demand is increasing every year, making the species a target for coastal resource development. New harvesting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demand, including nursery production and insemination aquaculture, but such methods produce relatively few individuals and productivity per unit area is very small. For example, captures are prohibited during July and August due to the breeding season, and sea cucumbers aestivate during the hot season and hibernate during the cold season, all factors that limit natural-environment production in Korea. Problems with slow growth of sea cucumbers have been encountered in previous rearing experiments. To assess the importance of feeding ecology on sea cucumber growth, we conducted pond-bottom and lantern-net culture experiments. Results showed that sea cucumbers in bottom cultures grew from 3.06 to 102.59 g, but those in lantern cultures only grew from 25.60 to 28.03 g.

작은 연못에서 녹조류 Dictyosphaerium pulchellum의 대발생 (Occurrence of Dictyosphaerium pulchellum (Chlorophyceae) Bloom in a Small Pond)

  • 김준태;부성민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292-297
    • /
    • 2001
  • 충남 홍성의 작은 연못에서 수행되고 있는 식물플랑크톤 연주기의 모델링 연구 과정에서 녹조류 Dictyosphaerium pulchellum의 대발생 과정을 2000년 t월부터 2001년 1월까지 추적하였다. D. pulchellum은 연중 드물게 출현하였으나, 밀도는 3월 12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4월 2일에는 $59,200\;co1ony\;mL^{-1}$로 대발생하였고, 4월 16에 급감하였다. 군체는 보통 8세포와 16세포로 이루어졌으나, 대발생이 진행될수록 32세포와 64세포 군체들로 대치되었고, 대발생 후기에는 대부분의 군체가 64세포였다. D. pulchellum세포들은 대발생의 초기에는 건강하였으나,3월 19일부터 기생생물에 감염되어 있는 군체들이 나타났으며,4월 9일에는 대부분의 군체들이 기생생물로 감염되었다. 기생생물로 감염된 세포들은 엽록체가 파괴되었고, 피레노이드도 발달되지 않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D. pulchellum의 개체군과 환경요인, 경쟁 및 기생생물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D. pulchellum의 대발생 과정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PDF

(주)동원 사북광업소 갱내수 정화를 위한 물리화학처리시설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facility for Purifying the Mine Water in Dongwon Sabuk Mine., Ltd.)

  • 안종만;이용복;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4호
    • /
    • pp.21-29
    • /
    • 2010
  • As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the coal mine site of Dongwon Sabuk mine.,ltd. is located in the remote mountainous region. To purify the acid mine water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 pilot-scale plant was built at the surrounded area of a mine shaft and operated to simulate active treatment system that could not only possibly setup the facility in a small available area, but also has a high efficiency.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of basin sequence, existence of sludge return, and lime injection position, six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ser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reatment efficiency. As a result, the aluminum concentrations of the most effluents were in the range of 0.005~0.030 mg/L, which was too low to compare. The manganese concentration in the treated water were in the range of 3~9 mg/L, not following any regular trend. As found in the results of iron concentration, the case of addition of oxidation and sludge return steps showed higher efficiency than the others. As a standpoint of the installation of full-scale physicochemical treatment facil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batch of oxidation and high density sludge return processes are existed and neutralization was followed by oxidation, had a stable treatment efficiency.

Effects of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growth in earthen ponds in Teso North Sub-County, Busia County

  • Makori, Agano J.;Abuom, Paul O.;Kapiyo, Raphael;Anyona, Douglas N.;Dida, Gabriel 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11호
    • /
    • pp.30.1-30.10
    • /
    • 2017
  • Small-scale fish farmer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faced with challenges owing to their limited information on aquaculture management. Nile tilapia farmers in Teso North Sub-County recorded lower yields than expected in 2009 despite having been provided with required inputs. Water quality was suspected to be the key factor responsible for the low yields. This study sought to assess the effects of earthen pond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the growth of Nile tilapia in six earthen fish ponds under semi-intensive culture system in Teso North Sub-County. The study was longitudinal in nature with pond water and fish being the units of analysis. Systematic sampling was used to select five ponds while a control pond was purposively selected based on its previously high harvest. Four ponds were fed by surface flow and two by underground water. Each pond was fertilized and stocked with 900 fry of averagely 1.4 g and 4.4 cm.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in-situ using a multi-parameter probe. Sixty fish samples were randomly obtained from each pond fortnightly for four months using a 10 mm mesh size and measured, weighed and returned into the pond. Mean range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dissolved oxygen (DO) 4.86-10.53 mg/l, temperature $24-26^{\circ}C$, pH 6.1-8.3, conductivity $35-87{\mu}S/cm$ and ammonia 0.01-0.3 mg/l. Temperature (p = 0.012) and conductivity (p = 0.0001) levels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ponds. Overall Specific Growth Rate ranged between 1.8% (0.1692 g/day) and 3.8% (1.9 g/day). Ammonia, DO and pH in the ponds were within the optimal levels for growth of tilapia, while temperature and conductivity were below optimal levels. As temperature and DO increased, growth rate of tilapia increased. However, increase in conductivity, pH and ammonia decreased fish growth rate. Temperature and DO ranging between 27 and $30^{\circ}C$ and 5-23 mg/l, respectively, and SGR of 3.8%/day and above are recommended for higher productivity.

조류배양을 통한 이산화탄소 및 암모니아의 동시처리 (Simultaneous Treatment of Carbon Dioxide and Ammonia by Microalgal Culture)

  • 윤영상;박종문
    • KSBB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328-33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성공적으로 배양하였으며 이에 대한 모델링 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고정화 및 암모니아의 제거효율에 미치는 환경인자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 옥외배양에서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Bottle에서의 배양을 통해 산업폐수에서 미세조류가 성장하면서 암모니아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때 타양미생물의 성장은 미세조류의 성장에 비해 미미하였으므로 건조중량으로부터 고정화된 이산화탄소를 계산할 수 있었다. Raceway pond의 회분식운전 결과로부터 조류성장에 대한 모델을 구축하고 관계되는 parameter를 결정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실제 옥외에서의 빛의 세기에서 고정화된 이산화탄소의 누적량 및 암모니아의 제거를 계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60 klux이상의 빛에서는 암모니아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빛의 세기가 증가할 수록 성능이 향상되지만 빛에너지에 대한 효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Raceway pond의 실제 옥외운전을 모사하기 위한 반연속식 배양실험에서는 dilution rate이 증가할 때 이산화탄소의 고정화율 및 암모니아의 제거율이 증가하나 암모니의 제거효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얻었다. 또한 raceway pond의 옥외배양시 빛의 세기 및 폐수의 깊이, dilution rate에 따른 성능변화를 모델로 이용하여 계산하였는데 결과적으로 하루에 12시간동안 100klux의 태양빛이 공급되는 조건에서 raceway pond를 운전할 때 최적의 dilution rate은 0.425$day^{-1}$이며 이러한 조건에서 24.7 g$m^{2}day^{-1}$의 속도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이러한 조건에서 암모니아는 0.52 g $NH_3-Nm^{-2}day^{-1}$의 속도로 제거될 수 있으며 배출수증의 암모니아농도는 폐수의 깊이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논 생태 증진을 위해 설치된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for Ecological Improvement in Paddy Fields)

  • 김재옥;신현상;유지현;이승헌;장규상;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44권3호
    • /
    • pp.253-263
    • /
    • 2011
  • 본 연구는 인공 조성된 둠벙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둠벙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면적은 4.6~14.1 $m^2$였으며 모양은 원형과 사각형 모양이 대부분이었다. 조사 둠벙 중 가장 자리에 석축이나 목축을 두르지 않은 둠벙들은 주변 둑이 매몰되어 수심이 얕아져 둠벙의 기능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둠벙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주변에 석축이나 목축 등을 둘러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지의 수질환경은 COD, TN, TP의 경우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한 수질등급을 보였으며 특히 TN의 농도는 평균 8.03 mg $L-1$로 농업용수 수질기준을 약 8.0배를 초과하는 농도분포를 보였다. 조사지역 둠벙의 질소농도가 높은 원인으로는 홍성지역의 높은 축산 밀도, 농경지 주변 산재해 있는 축사 시설과 축산폐수를 이용한 저장 액비 사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농촌지역에서 둠벙과 같은 작은 저류지가 하천으로 유출되는 영양물질을 저감시켜 주는 소규모 침전지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평균적인 모래함량,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 함량은 각각 53.4${\pm}$16.6%, 21.8${\pm}$9.74 g $kg^{-1}$, 12.8${\pm}$7.59 mg $kg^{-1}$로 나타났다. 둠벙의 토양 특성 조사결과 모래함량과 유효인산 농도는 둠벙 안정화를 위한 식생정착에 적합한 농도분포였으나 신규로 조성된 5곳의 둠벙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높지 않아 식생 정착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대상지 둠벙의 어류상은 붕어, 미꾸리, 미꾸라지, 드렁허리 4종이 출현하였으며 군집구조 분석결과 군집 안정도와 다양도 지수가 불량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단순한 어류상 구조는 둠벙이 주변 하천과 고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논과 정수지역, 농수로 등 연중 수위와 환경변화가 큰 환경에 적응한 어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점수(Facter score)를 바탕으로 조사한 둠벙을 구분한 결과, 요인점수 1에서 양의 값을 보이는 둠벙은 다른 둠벙에 비해 둠벙의 크기가 큰 것들로 구성되었으며 (Group I), 요인점수 2에서 양의 값을 보인 Group III은 다른 둠벙에 비해 유기물 농도가 높은 둠벙들로(S5, S6) 구성되었다(Fig. 4).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역 둠벙의 복원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둠벙과 주변하천과의 연계성, 둠벙의 크기를 비롯한 구조적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거론하지 못한 둠벙 용수의 유 출입량, 둠벙 수체내 먹이 연쇄 구조 등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