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alyses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nds in Golf Courses for Ecological Management  

Ahn Deug-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
Kim Chang-Hwan (Dept. of Forest Landscape Architecture, Iksan National Colleg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v.33, no.6, 2006 , pp. 51-7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ond management is a critical part of overall golf course management, both during growth and maintenance modes of turf care. This study investigated 48 ponds in nine 18- or 27-hole golf course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nds. The research process had three phases: (1) inventory and analysis of grading plans and drainage plans, (2) field verification and interviews with greenskeepers, and (3) analyses of water quality and statistics.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in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desirable to site a golf course in a small watershed with high watershed eccentricity to control storm water runoff efficiently and to minimize soil erosion during construction. 2. The siting and size of a pond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a land-use analysis of the watershed for the purpose of ecological management. The bigger the forest-to-golf course ratio, the better the water quality will be. 3. The size and capacity of each individual ponds varied and there were many somewhat longish rather than round ponds. 4. There were many differences among golf courses in naturalness of the pond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naturalness and area of aquatic plants was very high. 5. Analyses of pond water quality indicated that the degrees of Dissolved Oxygen, Chemical Oxygen Demanded and Suspended Solids were relatively low values but Total Phosphorus and Total Nitrogen were too high. Therefore a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to solve e problem. Pesticide residues were not detected in all ponds. 6. Water depth and area of hydrophyt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n ecological pond. 7. All ponds used storm water as a main source of water supply and added underground water. Aquatic plants and physical methods such as water aeration and spray fountains were the main choices for maintaining a healthy aquatic environment.
Keywords
Ecological Golf Course; Watershed; Pond Management; Water Quality; Aquatic Pla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광두(2002) 환경친화적인 골프장 조성을 위한 생태적 평가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동찬, 권오원(2001) 골프장 연못의 관리만족도를 위한 설계기준. 한국조경학회지 29(5): 84-91
3 박주현(2000) 골프장 조성의 친환경적 조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준현(1999) 골프장 건설로 인한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 . 환경고위정책과정 제5기 논문집, pp. 3-21
5 안득수(1993) 골프장 조성을 위한 지형변화 예측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이동근, 항천마사, 임방능, 김귀곤, 최영주, 이주원(1900) 골프장 개발에 따른 환경영향평가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비교분석-. 한국조경학회지 18(2): 1-13
7 이인숙, 김옥경(1994) 개장년도에 따른 골프코스 토양의 미생물 활성. 한국잔디학회지 8(3): 167-177
8 임상신(1996) 시화지구개발지역내 토취장을 활용한 대중골프장 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두석(2001) 환경친화적 골프장 조성에 관한 연구-절개 비탈면 녹화 및 생태연못의 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환경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환경부(2001) 제2차 자연환경조사지침(식물상. 식생)
11 환경부(2001),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환경부 고시 제2001-170호)
12 Aramburu, M. P. and R. Escribano(1993) Golf: a conflicting recreational activity in the Madrid Autonormus Area (Spai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23: 209-220   DOI   ScienceOn
13 양승원(1997) 국내 골프장의 농약 사용추이. 한국잔디학회지 11(3): 149-159
14 이병호, 김성득, 조홍제, 조태규(1992) 골프장의 유출수가 하계수류에 미치는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2(3): 239-251
15 Green, B. H. and I. C. Marshall(1987) An assessment of the role of golf courses in Kent. England, in protecting wildlife and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 143-154   DOI   ScienceOn
16 Kim, J. U. and U. J. Yim (1988)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Korea Journal of Botany 31(1): 1-31
17 김호준, 양승원(2001) 골프장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이해. 한국잔디학회지 15(1): 21-30
18 안득수(1999) 골프장 조성이 소유역의 지형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7 (2): 41-50
19 조규성, 김원, 강상준, 김창환 역(1991) 생태학. Odum, E. P., Fundamentals of Ecology. 서울: 형설출판사
20 Pira, E. (1997) A Guide to Golf Course Irrigation System Design and Drainage.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21 송창재(1999) 골프장 설계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창석, 오종민, 이남주 역(2003) 하천환경과 수변식물(식생의 보전과 관리). 奧田重俊, 佐夕木寧, 河川環境と水邊植物. 서울: 동화기술
23 김영필(1992) 골프장 건설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Werger, M. G. A.(1974) On concepts and techniques applied in the Z rich- Montpellier method of vegetation survey. Bothalia. 11: 309-323
25 장정희(1999) 쓰레기 매립지를 활용한 환경친화형 골프장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1994) Wastewater Reuse for Golf Course Irrigation. Chelsea: Lewis Publishers
27 권오원(2002) 골프장 연못의 관리만족도를 위한 설계기준.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Balogh, J. C. and W. J. Walker(1992) Golf Cours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Environmental Issues. Chelsea: Lewis Publishers
29 White, C. B.(2000) Golf Course Construction, Renovation and Grow-In. Chelsea: Ann Arbor Press
30 김광두, 방광자, 강현경(2003) 수도권지역 골프장의 환경친화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1(5): 20-30
31 Reynolds, C. S. (1984) The ecology of freshwater phytoplankt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임양재, 김정언, 이남주, 김용범, 백광수(1990) 한라산국립공원 식물군집의 식물사회학적 분류. 한국생태학회지 13(2): 101-130
33 이서래, 한대성, 이미경(1996) 골프장의 농약잔류 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 한국환경농학회지 15(2): 262-272
34 조성국(1994) 전통 골프장 입지선정에 대히여. 한국잔디학회지 8(1): 53-89
35 Muller-Domba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6 민권식(1998) 골프장 내 연못의 수질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임양재, 이은복, 고재기(1984) 주왕산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3: 75-86
38 주영규, 전수복(1994) 환경영향을 고려한 골프코스 전산설계기법. 한국잔디학회지 8(3): 179-192
39 Kunimatsu, T., M. Sudo, and T. Kawachi (1999) Loading rates of nutrients discharging from a golf course and a neighboring forested basin. Water Science Technology 39: 99-107
40 이창복(1930)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41 Forman, R. T. T.(1995) Land Mosaics: the Ecology of Landscapes and Reg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류재근, 박혜경, 정명숙, 임연택, 공동수, 안승구, 김우구, 박제철, 신윤근, 허우명 역(2002) 호소공학. 岩佐義郞 編著 Engineering Limnology. 서울: 도서출판 동화기술
43 이상재, 허근영, 사공영보(2001) 국내 골프 코스에서 시용되는 농약 및 비료의 환경적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15(2): 87-104
44 이우철(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도서출판 아카데미서적
45 Barrett, J., B. Vinchesi, R. Dobson, P. Poche, and D. Zoldoske (2003) Golf Course Irrigation: Environmental Design and Management Practices.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46 권영한(2002) 골프장 건설시 환경영향 및 평가방안.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정책보고서
47 권영한, 노태호, 이성진, 박재흥, 심명호(2003) 골프장 운영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책보고서
48 신민규(2000) 쓰레기 매립지를 활용한 환경친화적 대중골프장 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영노(1996) 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50 임지은(2001) 시흥시 월곶지구 환경 친화적 대중골프장 설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Terman, M. R. (1997) Natural links: naturalistic golf courses as wildlife habita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8: 183-197   DOI   ScienceOn
52 이인숙(1994) 경기도 골프장의 코스별 토양의 화학적 특성. 한국잔디학회지 8(1): 25-28
53 조형훈(1998) 골프로 인한 환경폐해 현상과 그 대책.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Mccuen, R. H. (1998) Hydrologic Analysis and Design (2n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55 김좌관(2003) 수질오염개론. 서울: 도서출판 동화기술
56 이활희(2003) 친환경적 골프코스를 위한 전산기법의 적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Dodson, R. G.(2000) Managing Wildlife Habitat on Golf Courses. Chelsea: Ann Arbor Press
58 이상재, 허근영(1999) 한국골프 코스 그린의 설계 및 시공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잔디학회지 13( 4): 181-190
59 Dodson, R. G.(2005) Sustainable Golf Course, New Jersey: John Wiley & Sons Inc
60 Sachs, P. D. and R. T. Luff(2002) Ecological Golf Course Management, Chelsea: Ann Arbor Press
61 OECD(1982). Eutrophication of Waters-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62 이용두, 허 묵, 현해남(1998) 오존을 이용한 골프장 연못의 수질관리. 수처리기술 6(3): 113-119
63 OECD(1993) OECD core set of indicators for environmental performance reviews. Environment Monographs 83: 30-31
64 이도원(1994) 골프장의 유지관리와 생태학-환경문제와 생물다양성에 대하여-. 한국잔디학회 및 한국생태학회 1994 심포지움 자료집. pp. 19-20
65 Black, P. E.(1991) Watershed Hydrology. New Jersey: Prentice Hall
66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ciologie. 3. Aufl, Springer. New York; Wi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