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udge landfill sit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4초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의 슬러지 성상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Sludge Landfill Site in Nanjido)

  • 남궁완;황선숙;김철수;윤범한;류범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2호
    • /
    • pp.47-53
    • /
    • 1996
  • 난지도 하수슬러지 매립지 내 슬러지의 적정 처리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슬러지의 매립량 및 성상을 조사하였다. 보링시험을 통하여 매립지의 깊이를 측정하였고 슬러지성상분석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슬러지의 화학적 특성, 중금속함량 그리고 용출시험이었다. 조사결과 슬러지 매립지는 평균 15m 깊이에 약 5만 평방미터 넓이로 총 매립량은 60만톤 정도로 추정되었다. 슬러지의 성상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하수슬러지에 비하여 상당히 안정화된 슬러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금속 함량 시험에서 구리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일반폐기물기준을 만족하였으며, 외국의 퇴비내 중금속허용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대부분 기준치 이내이었다. 슬러지의 용출시험결과 난지도 하수슬러지매립장의 슬러지는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었다.

  • PDF

하수슬러지와 하수슬러지 건조연료 혼합물의 토지개량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 Improvement Effect of Sewage Sludge and Sewage Sludge Dry Fuel Mixture)

  • 권기운;박혜옥;이경호;김문정;이우원;류돈식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3호
    • /
    • pp.45-49
    • /
    • 2020
  •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와 건조연료를 혼합한 혼합물에 대해 토지개량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혼합물은 하수슬러지와 건조연료를 중량대비 1:1 비율로 혼합하여 만들었다. 1개의 대조군(0 %)부지와 혼합물을 10 %, 20 %, 30 % 시비한 3개의 비교군을 조성하였다.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변화는 혼합물을 시비한 비율에 따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케나프를 90일 재배 후 수확량을 비교한 결과 10 %투입된 배지에서 줄기의 길이가 대조군 대비 73 %증가를 보였으며, 잎 수확량의 경우 20 %배지에서 227 %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30 %에서는 다른 배지보다 꽃의 개화가 먼저 된 것으로 보아 성장률이 다른 배지보다 빠른 것으로 판단되며 엽록소 함량은 71.6(SPAD)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 조단백질의 함량이 다른 배지에 비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조연료 혼합물의 투입을 통해 전체적으로 식물이 생육하기 좋은 토질로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정수장(淨水場) 슬러지의 매립장(埋立場) 복토재(覆土材)로의 활용(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Use of Water Treatment Sludge as a Landfill Cover Material)

  • 이기출;오준성
    • 청정기술
    • /
    • 제8권2호
    • /
    • pp.67-76
    • /
    • 2002
  • Dewatered sludge of 400,000t/y from water treatment plants in Korea is being disposed through landfill and ocean dumping. However, the disposal is posing more and mor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t the same time not only because of landfill site shortage in municipal suburbs, but because of the concern it will contaminate the oceans. In this study, the research on utilizing the sludge dried by flash dryer as covering soil in the landfill sites was carried out to solve these problems on environmental affinity. Both dewatered and dried sludge were exposed to the natural condition and observed according to the atmospheric changes. An experiment of soil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dried sludge and tests on mixed sludge(silty sandy soil : dried sludge = 10:90 ~ 30:70) such as particle size distribution, liquid and plastic limit, moisture content, specific gravity and compaction test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mpaction test, the compaction was confirmed as the optimum water content ratio was observed in the condition of SM-silty sand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NP of liquid and plastic limit, 101.4% of moisture content, 2.04~2.12 of specific gravity. The results showed that dried sludges mixed with at least 30% of natural soil could be used as daily covering soil in the landfill sites.

  • PDF

황산염을 이용한 매립지 유기물분해 촉진과 분해속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crease the Decomposition of Organics and Organic Removal Rates by using Sulfate in Sanitary Landfills)

  • 김정권;윤태경;김가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9-77
    • /
    • 2004
  • In this study, sulfate reduction reaction was used to increase the decomposition of organics, which i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stabilization of a landfill site. Composite of sewage sludge, papers, and incineration ashes was used in the column.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out of 10 reactors, the reactors 3, 4, 8. and 9 showed higher organics (i.e., TOC) removal rate than that in the absence of sulfate. The organics removal rates (K) in R3 and R9 were 8.65e$\^$-4/d and 3.82e$\^$-4//d, respectively. The times to reach 10% of initial concentrations in R3 and R9 was 7.3 and 16.5 years, respectively, showing faster organics decomposition rates in these reactors.

매립지 복토용 슬러지 고화물내 이산화탄소 생광물화 고정균 분석 및 생광물화능 평가 (Characterization of CO2 Biomineralization Microorganisms and Its Mineralization Capability in Solidified Sludge Cover Soil in Landfill)

  • 안창민;배영신;함종헌;천승규;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598-6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매립장에 매립되어 있는 슬러지 고화물을 대상으로 생광물화 미생물 종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 하였고, 또한 분석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생광물화균과의 대조 실험을 통해 토착 미생물의 carbonate 생성능을 기기분석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내 미생물 종분석을 16S rDNA 시퀀스 분석을 통해 수행해본 결과, 다양한 미생물종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생광물화 기작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호기성 토양 미생물의 한종인 Bacillus megaterium과 금속을 환원시켜 미네랄염 상태로 전환시키는 Alkaliphilus metalliredigens의 근연종을 확인 하였다. 복토재에서 분리 배양한 균주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생광물화 균주가 주입된 실험군에서 미생물이 주입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이산화탄소의 감소량이 더 컸다. 이와 연계하여 반응후 열중량분석기(TG-DTA)를 이용하여 탄산염(carbonate minerals)을 정량한 결과, 미생물이 주입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30% 정도 더 생성된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 비춰 볼 때 열중량분석법(TG-DTA)은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전환에 의해 생성된 탄산염물의 정략적 분석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해 보면 복토재로 현장 매립된 슬러지 고화물은 매립장에서 표면 발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자연적인 탄산염 전환 매체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황부산물의 콘크리트 원료 활용 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Concrete Materials for Desulfurization Process By-products)

  • 박혜옥;권기운;이경호;김문정;이우원;류돈식;이종규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4호
    • /
    • pp.15-22
    • /
    • 2020
  •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 내 포함된 황화수소는 연소과정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황산화물을 발생시키고 대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산성비가 되는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일으킴에 따라 별도의 전처리 시설이 필수적이다. 매립가스의 탈황을 위해 탄산칼슘(CaCO3) 생성 반응에 따른 침전물 생성 처리, 흡착제를 통한 처리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폐수 등 2차 폐기물의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물학적 처리 공정을 이용해 원소황(S°)으로 슬러지 형태인 황부산물로 생성시켜 처리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가스 내 황화수소의 생물학적 처리 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의 기초연구로서 황부산물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고 첨가량에 따른 강도 보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부산물 혼합 콘크리트 강도 분석 결과, 황부산물의 혼합은 콘크리트 강도에 영향을 미치며, 10% 혼합시 가장 높은 강도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황부산물 10% 혼합시 포졸란 반응과 CaSO4의 형성 등에 의해 결합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 슬러지 부산물을 이용한 다짐혼합재 및 토목합성수지점토라이너의 최종복토 차단층재로의 적용성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easibility of Geosynthetics Clay Liner and Compacted Mixing Material Using By-products from Sewage Sludge to the Final Cover Materials in Landfills)

  • 정지훈;이재영;이명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49-52
    • /
    • 2008
  •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폐기물 매립지의 최종복토 차단층으로는 다짐점토층(Compacted Clay Liner; CCL)을 일반적으로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으나 압축성이 높은 폐기물 위에서는 시공이 어려우며, 고농도 유기물에 의한 붕괴를 유발하여 선진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 등 토목합성물질 사이에 차수성이 뛰어난 벤토나이트를 삽입한 토목합성수지점토라이너(Geosynthetic Clay Liner; GCL)를 대체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GCL은 설치 전, 후로 뚫림이 있을 수 있는 단점이 있어 CCL은 여전히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CCL은 앞서 언급한 문제보다 국내의 기후 및 지형적인 여건으로 점토의 부족문제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어 그 대체물질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 대체물질로 최근 슬러지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대부분의 슬러지는 매립지에 처분되거나 해양투기를 하고 있지만 2012년부터 런던협약에 따라 전면적으로 금지될 전망이기 때문에 슬러지의 친환경적인 처리 처분이 긴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방법의 하나로 열가수분해에 의한 처리기술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족한 양질의 점토를 대체하기 위해 하수슬러지를 열가수분해 처리하고 나온 부산물을 이용하여 첨가제를 혼합하여 최적배합비로 혼합한 다짐혼합재(Compacted Mixing Materials; CMM)를 차수능이 높은 GCL과 비교하여 CMM의 최종복토 차단층재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천안백석매립장을 중심으로 한 메탄가스 발생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ethane Gas Generation Rate from Chon-An Beck-Suk Landfill Site)

  • 정진도;김장우;정인권;배찬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7호
    • /
    • pp.697-701
    • /
    • 2004
  • Most of methane gas result from waste matter in landfill, therefore the persons concerned take an increasing interest in management of gases in landfill. Infrared Gas Analyzer was used to measure components of gases, $CH_4,$ $CO_2,$ $O_2,$ through gas exhausted pipe. To measure amount of the gas flow meter(Portable Hot-Line Current Meter) was used and it was set at right angles with direction of the flow. In this research the total amount of methane gas produced in Beck-Suk Landfill was calculated through FOD method suggested by IPCC. This research found that in Chon-An Beck-Suk Landfill anaerobic resolution was made actively and the amount of methane gas produced there was 54.14%, which is higher than common figure, 50%, in other researches. The components of reclaimed waste matter, especially, organic waste matter can have a great effect of the amount of the greenhouse gases produced in landfill. We can expect that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will decrease from 2005, when it will be prohibited from carrying kitchen refuse and sludge into landfill.

H2O2/O3 AOP와 UASB 공정을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 처리(I) - H2O2/O3 AOP 전처리 및 질소원에 따른 침출수별 처리특성 -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using H2O2/O3 AOP and UASB Process (I) -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Leachate depending on H2O2/O3 AOP Pretreatment and Available Nitrogen Form -)

  • 정승현;정병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43-650
    • /
    • 2005
  • In order to treat leachate from aged landfill site effectively, removal of biologically recalcitrant organic matter and denitrification efficiency were evalu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H_2O_2/O_3$ AOP pretreatment process and UASB proces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case of leachate having low COD/N ratio from aged landfill si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available COD for denitrification in nitrate utilizing denitrification and nitrite utilizing denitrification both by enhancing biodegradability of recalcitrant organic matter as applying $H_2O_2/O_3$ AOP to pretreatment process. In this experiment, it is found that available COD for denitrification can be increased to 1.0 and 0.4 g/day, respectively. Comparison has been made between requiring COD and available COD for denitrification in each experimental stages. It is expected that high rate of denitrification can be achieved with leachate from young landfill site because higher amount of available COD for denotrification is present in the leachate than the amount of requiring COD for denitrification. Especially, In leachate from aged landfill site with low COD/N ratio, it can be concluded that denitrification using nitrite nitrogen can enhance overall denitrification performance efficiently because denitrification using nitrite nitrogen requires less amount of carbon source than denitrification using nitrate nitrogen. Comparing the biogas production rate and nitrogen content of biogas under the condition of same amount of nitrate and nitrite addition, biogas production and nitrogen content of biogas are increased during denitrification after $H_2O_2/O_3$ AOP pretreatment proces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COD/N ratio in the leachate is increased. Applying $H_2O_2/O_3$ AOP as pretreatment system of landfill leachate seems to have little economic benefit because it requires additional carbon source to denitrify ammonia nitrogen in leachate coming from aged landfill site. However,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pretreatment process to leachate from old landfill site in view of AOP process can achieve removal of biologically recalcitrant organic matter and increase of available COD for denitrification simultaneously.

동전기에 의한 점토슬러리의 침강 촉진에 관한 연구 (Settling behaviour of clay slurries enhanced by using electrokinetics)

  • 김대호;김수삼;이명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061-1064
    • /
    • 2008
  • A completion of settling process takes a lot of time for dredged materials of high moisture content, such as contaminated sludge, in landfill site. In general, additives (e.g. flocculants) are used for reducing settling time of such colloidal material, which results in the increase of sludge volume, and hence much space is required in landfill site. This study is to suggest alternative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settling process of cohesive clayey soils. A number of gravitational sedimentation tests as well as electrokinetic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initial moisture content on the settling behaviour of clay slurry. Surface settlement, electric current and local voltage gradient were monitored during the experiment, and moisture content and soil pH were measured after the experiment. From the results, the application of electrokinetic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volume reduction (i.e. increase of settling velocity and decrease of final moisture content) by comparison with gravitational settling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