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ly-effective fertiliz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Prepara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of the Eco-glass Fertilizer containing Trace Elements

  • Lee Hoi Kwan;Hwang Sheng Jean;Kang Won Ho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6-98
    • /
    • 2004
  • At the previous papers, we showed that K2O-CaO-P2O5 glasses had a solubility in air so that they could be used for glass fertilizer. In this work, we fabricated the Eco-glass fertilizer containing trace elements such as B, Mg, Zn, Fe, Cu, Co, and Mo by a melt-quenching process and the dissolution properties of these glasses were investigated with pH meter and ICP analyzer. In case of the glasses containing the trace elements, effect of trace elements on the dissolutions is not obvious and ignorant the stability of mother glass. Also, the dissolution amounts of each trace elements depend on the mother glass composition and the quantity of each trace element, and mother glasses determined the dissolving velocity of chemical elements.

  • PDF

Struvite recovery from swine wastewater and its assessment as a fertilizer

  • Ryu, Hong-Duck;Lee, Sang-Ill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29-35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fertilizing value of struvite deposit recovered from swine wastewater in cultivating lettuce. Struvite deposit was compared to complex fertilizer, organic fertilizer and compost to evaluate the fertilizing effect of struvite deposit. Laboratory pot test showed that the struvite deposit better enhanced lettuce growth in comparison to commercial fertilizers. It was revealed that the growth rate of lettuce was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phosphorus (P) and magnesium (Mg). Moreover, nutrients such as nitrogen (N), P, K, calcium (Ca) and magnesium (Mg) were abundantly observed in the vegetable tissue of struvite pot. Meanwhile, struvite application led to the lower accumulation of mercury (Hg), lead (Pb), chromium ($Cr^{6+}$) and nickel (Ni). In addition, no detection of cadmium (Cd), arsenic (As) and nickel (Ni) in the lettuce tissue was observed in struvite application pots.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ed that the optimum struvite dosage for lettuce cultivation was 0.5 g struvite/kg soil. The column experiments clearly showed that ammonia nitrogen was more slowly released from struvite deposit than from complex fertilizer. Consequently, it was concluded that the struvite deposits recovered from swine wastewater were effective as a multi-nutrient fertilizer for lettuce cultivation.

Dissolution Properties of Phosphate Glasses with Trace Elements

  • Lee, Hoi-Kwan;Kang, Won-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371-376
    • /
    • 2005
  • Phosphate glasses were prepared by melting quenching process, and glass forma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were studied. The glass forming region in the $K_2O-CaO-P_2O_5$ system is quietly agreed with the report by Mazurin OV et al. with $M_2O-M'O-P_2O_5$ system (M : monovalent cation, M'divalent cation). Conditionally these glasses have solubility from absorbing the moisture or water and then release elements with trace elements, and the therm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controllable by the $CaO,\;K_2O,\;P_2O_5$ contents. In the abnormal glass properties, this paper showed the possibility the present glasses can be a good candidate for one component of the slow released agriculture fertilizer.

미량원소함유 ${K_2}O$-CaO-${P_2}{O_5}$유리의 제조 및 용출 특성 (Prepara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of the Trace Elements doped ${K_2}O$-CaO-${P_2}{O_5}$ Glasses)

  • 이회관;강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44-148
    • /
    • 2005
  • 앞선 논문에서 ${K_2}O$-CaO-${P_2}{O_5}$유리의 용출 특성을 이용한 유리질 비료로서의 가능성을 보고한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K_2}O$-CaO-${P_2}{O_5}$ 조성에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미량원소인 B, Mg, Zn, Fe, Cu, Co, Mo을 첨가한 유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유리의 용출 특성을 pH와 ICP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미량원소가 첨가된 유리의 경우 첨가전의 pH값의 변화와 차이가 없었으며, 모유리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된 미량원소의 용출량은 모유리조성과 첨가된 함량에 비례하였으며, 이러한 원소들의 용출속도는 모유리 조성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 PDF

벼 이앙재배에서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이 잡초억제와 벼 생육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ed of Organic-Compound Fertilizer on the Weed Control and Rice Growth Condition in the Transplanting Rice Cultivation)

  • ;;이상복;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8-265
    • /
    • 2010
  • 본 연구는 유기질 복합비료가 벼 재배 논에서 잡초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내 검정 시험에서 유기질 복합비료를 125~250kg $10a^{-1}$ 처리시 이앙벼는 지상부가 10.3~27.2% 증가하였고, 피는 50.3~89.2%의 출현이 억제되었으며, 사마귀풀은 낮은 처리량에서도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유기질 복합비료는 피, 물달개비, 사마귀풀에 대하여 담수심(1~5cm)이 깊을수록 높게 억제하였으나, 올방개와 같은 사초과 잡초에 대해서는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20{\sim}35^{\circ}C$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75.4~92.2%, 49.5~81.6%의 높은 출현억제율을 나타냈다.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 10일 후 낙수 시 피와 물달개비는 각각 33.7%, 23.0%의 출현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포장시험에서 시험 후 토양의 유기물은 관행구에서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벼의 생육은 초장 및 경수가 관행구 대비 적었으며 그 차이는 생육후기에 더 많이 나타났고, 벼의 수량은 관행구 대비 4% 감소하였다. 논잡초 억제 효과는 유기질 복합비료 시용구에서 60.5%로 관행구보다 낮게 나타났다.

Dry Matter Digestion Kinetics of Two Varieties of Barley Grain Sown with Different Seed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Rates in Four Different Sites Across Canada

  • Cleary, L.J.;Van Herk, F.;Gibb, D.J.;McAllister, T.A.;Chaves, A.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965-973
    • /
    • 2011
  • Our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rate and extent of dry matter digestion between barley subjected to differing agronomic variables. Two malting barley varieties, Copeland and Metcalfe were seeded at rates of 200 and 400 plants/$m^2$. Each of these varieties received nitrogen fertilizer at rates of 0, 30, 60 and 120 kg/ha, resulting in a total of 20 different barley grain samples. Samples were ground through a 6mm screen and approximately 3 g of each weighed into 50 ${\mu}m$ Dacron bags and sealed. The bags were incubated in three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cattle for periods of 0, 3, 6 and 24 h.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se incubations, rates of digestion were able to be predicted. The soluble fraction ranged from 0.229-0.327, the slowly degradable fraction ranged from 0.461-0.656, and the undegradable fraction ranged from 0.038-0.299. The rates of digestion ranged from 0.127-0.165 $h^{-1}$ and the effective degradability ranged from 0.527-0.757. At the Canora location, the Copeland samples which received 120 kg/ha of nitrogen fertilizer had a significantly lower (p = 0.013) soluble fraction than the rest of the samples at that location. A significant interaction (p = 0.009) was seen between the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with samples from the Canora location, as well as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29) between nitrogen application rates in samples from the Indian head location. The rate of digestion of samples from the Indian head location differed (p = 0.020) between the two seeding rates, with samples seeded at 200 seed/$m^2$ having a slightly higher rate of degradation. Differences in the effective degradability were seen between the different nitrogen application rates with samples from both the Canora and Indian head locations, as well as an (p = 0.004) interaction between the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rate. Although there was not a clear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t variables, both nitrogen application and seeding rate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s and extent of digestion across each of the four locations.

대청호(大淸湖) 저니(底泥) 및 조류(藻類)의 농업적(農業的) 활용(活用) 연구(硏究) (The Agricultural Utilization of Daecheong Lake Sediments and Algae)

  • 장기운;임재신;이인복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1-116
    • /
    • 1994
  • 댐 저위층에 축전된 저니와 수강조류를 규조토드럼에 흡착시킨 물질에 대한 농업적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Windrow method를 이용한 저니의 부숙퇴비화를 시도하였으며, 저니자체 및 저니함유 부숙퇴비에 대하여 토마토를 공시하여 식물영양적 효과를 포트실험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계분과 톱밥을 부재료로 한 저니의 부숙방법은 Windrow method를 이용하였다. 부숙과정중 50일 경과후 최종 대(對) 초기 탄질율의 비율은 0.69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양이온치환용량은 약 66%가 증가하였으며, 온도변화는 15일째 $52^{\circ}C$까지 상승하였다가 50일 경과후 $30^{\circ}C$를 유지하여 이 지점을 부숙완료점으로 판정하였다. 2. 미부숙 저니의 토마토에 대한 건물중, 초장 및 엽록소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미부숙 저니 시용구의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시용 수준의 증가와 더불어 건물중 및 초장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니 부숙퇴비의 시용 역시, 대조구에 비하여 생체중, 건물중 및 초장의 현저한 증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미부숙 저니에 비해 저니부숙퇴비의 생육효과가 우수하였다. 3. 미부숙 저니 및 저니부숙퇴비를 시용하여 작물재배 후 토양의 물리화학성질을 조사한 결과, pH, T-N, O.M. 및 CEC 면에서 다소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저니 및 조류를 직접 토양에 이용하기는 곤란하나 퇴비제조시 충진제로 사용했을 때 부숙화된 저니 퇴비는 토양개량제 및 퇴비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특이산성토에 대한 석회 및 규회석의 효과 (The Effect of Lime and Wollastonite on an Acid Sulfate Soil)

  • 박내정;박영선;이규하;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5-32
    • /
    • 1972
  • 특이산성토양에서 석회 및 규회석의 효과를 검토하고 규회석중에 있는 석회와 규산의 개발 효과를 분리 해석하기 위하여 석회 및 규회석을 석회당량을 기준으로 처리하여 포장 벼 재배시험과 실내정온 담수시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회물질로서 석회 및 규회석을 석회당량으로 시용했을때는 산성중화 효과는 꼭 같았다. 2. 석회는 반응성이어서 실내에서 토양과 잘 섞을경우에는 $25^{\circ}C$에서 3일이면 거의 중화점에 이르고 포장에서는 2주일전에 시용하여도 이앙묘에 알카리해를 주어 현저히 생육초기 분얼수을 감소시켰으나 규회석은 반응성이 약하여 1~2주후에 중화점에 이르렀고 포장에서도 전연 알카리 피해를 주지 않았다. 3. 석회, 규회석 모두 토양 및 토양용액중의 Al 함량을 같이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나 $Fe^{2+}$은 일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포장에서 이들의 피해증상이 미미하게 나타나는 정도로 이들 유해물질 감소에 의한 증수효과는 크게 인정되지 않았다. 4. 석회시용은 토양중 규산의 유효도를 현저히 높였고 수도체중 $SiO_2$ 함량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규회석은 석회효과 이외에도 자체에서 $SiO_2$를 방출하여 수확기 볏짚중 $SiO_2$ 함량을 더욱 증가시켰다. 5. 따라서 석회물질시용시 식물체중 규산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서 목도열병 이병율을 감소시키고 등숙율을 높임으로서 증수효과를 얻을수 있었다. 6. 석회, 규회석중 어느하나를 시용함으로서 다른것의 효과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7. 규회석은 생육초기 분얼수 증가에 현저한 효과가 있었으나 유효경비율의 감소로 주당수수의 증가는 없었다. 8. 이들 석회물질은 수당입수를 어느 정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 PDF

인삼 재배 예정지의 Arbuscular 균근균(AMF) 번식체 밀도 향상 (Improvement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Propagule at the Preplanting Field for Ginseng Cultivation)

  • 손보균;진서영;김홍림;조주식;이도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0-176
    • /
    • 2008
  • 대학 부속농장의 밭 토양을 선정하여 토양 중 AMF 밀도 향상과 토양 물리성 개선을 위하여 기주작물로서 겨울작물인 보리와 호밀, 여름작물인 수단그라스와 콩을 재배하는 작부체계 유형별로 AMF 밀도 변화와 토양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작물의 생산량은 겨울작물 중 호밀을 재배한 포장 ($3,045kg\;10a^{-1}$)이 가장 높았으며, 호밀 재배 후 여름작물 중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 ($2,757kg\;10a^{-1}$)과 보리를 재배한 후 콩을 재배한 포장 ($1,628kg\;10a^{-1}$) 순으로 건물 생산량을 보였다. 유기물 함량에서는 큰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입단화율은 보리를 재배한 포장이 45.7%, 호밀을 재배한 후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에서 45.1%로 높아졌다. 포자밀도는 겨울작물을 재배한 포장이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작물은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에서 건토 1 g당 64개로 콩을 재배한 포장보다 증가하였다. AMF 외생균사 길이는 겨울작물이 건토 1 g당 1.5~2.0 m 수준이었으며, 여름작물은 수단그라스를 재배한 포장이 건토 1 g당 2.6~2.9 m, 콩을 재배한 포장이 건토 1 g당 1.7~2.2 m 수준으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토양 중 Glomalin 함량은 작물을 재배한 포장이 대조구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도 보리를 재배한 후 이어 콩을 재배한 포장에서 건토 1 g당 1.7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삼 재배 예정지의 토양관리를 위한 작부체계는 겨울작물의 보리를 재배한 다음 여름작물의 수단그라스를 재배하는 유형이 AMF 포자밀도 향상과 토양 물리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벼 무경운재배시 둑새풀 우점 정도가 벼 생육 및 잡초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ater Foxtail on Growth of Rice and Weed in No-Tillage Transplanted Rice)

  • 강양순;곽태순;송문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19-624
    • /
    • 1996
  • 전년도 생산된 생고를 전량 환원하여 무경운 상태로 둑새룰을 피복도 8 정도로 우점시키고 그라목손으로 엽신만 고사시켜 피복도를 6으로 조절한 후 표준시비량의 20%를 감비한 상태로 중묘기계이앙하여 잡초방제, 질소 감비 효과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앙후 모의 넘어진 주율은 둑새풀 피복도 8인 경우에 37.4%, 피복도 6에서는 12.3%로 높았으나 이앙 2주일 후에는 피?도 6정도에서 대부분 정상으로 활착되었다. 2. 이앙후 둑새풀은 이앙기 진행 방향으로 넘어졌다가 1주일후에는 이삭만 다시 일어나 6월 말경 까지 서서히 노화되어 고사되었으며 그라목손 처리로 엽신만 고사된 둑새풀은 5월 상순에 고위분얼 이삭이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녹화되다가 7월 상순까지 노화되면서 서서히 고사되었다. 3. 이앙후 벼 분얼성기의 잡초 발생은 피 > 방동사니> 가막사리 순으로 일부 발생되었으나 둑새풀의 우점으로 77∼78%의 잡초방제가를 보였다. 4. 둑새풀의 고사로 토양은 심하게 환원되면서 벼분얼성기에 벼와 잡초의 뿌리 일부가 부패되어 활력이 떨어졌다. 5. 둑새풀 우점구에서는 관행구보다 출수후 20일경 지엽, 차엽 및 3엽장이 길었고 엽색도 짙었으며 좌절중도 컸으나 포장도복이 약간 일어났으며 수량은 둑새풀 피복도 6에서 현미 628.5kg /10a로서 관행과 유의차가 없었다. 6. 결과적으로 둑새풀의 피복도를 6 정도 유지하여 무경운 이앙하면 수량 감수없이 시비량을 20%줄일 수 있었고 제초제를 안써도 되는 저투입 환경보전형농법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