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Release Fertilizer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완효성 비료 분시방법에 따른 첫물차의 수량 및 품질 (Yield and Quality of the First Harvested Tea Leaves as affected by Split-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 박장현;임근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81-386
    • /
    • 2002
  • 관행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완효성 비료 2회 분시가 수량이 12.5% 증수하였으나, 1회 분시는 $6{\pm}3%$ 감소하였다. 관행시비에 비해 완효성 비료 2회 분시가 총질소, 총 아미노산, 엽록소, 비타민 C 함량과 감칠맛 주성분인 theanine, glutamic acid, arginine 함량이 많았고, tannin 함량은 적은 편이였으나, 완효성 비료 1회 분시는 2회분시와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품질은 완효성 비료 2회분시가 1회분시나 관행 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완효성 비료의 분시효과가 우수한 이유는 비료성분이 서서히 용출되어 나와 효과적으로 작물에 공급되는 한편 비료성분의 손실을 줄일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완효성 비료 분시방법에 따른 두물차의 수량 및 품질 (Effect of Split-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2nd Harvested Tea Leaves)

  • 박장현;국용인;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0-194
    • /
    • 2003
  • 두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완효성 비료 9월, 3월 분시 2회 와 3월 1회 분시는 수량차가 없었으나 9월 1회 분시는 감수되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완효성비료 2회 분시가 총 질소, 총 아미노산은 많았고, tannin과 caffeine 함량은 적은 경향이었으며 엽록소, 비타민 C, 유리당 함량과 감칠맛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품질은 완효성 비료 2회 분시가 1회 분시나 관행 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우수하였다. 그러나 완효성 비료처리는 토양비료성분 중 질소, 인산, 칼리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차잎 수량 및 품질을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Urease Inhibitor, Nitrification Inhibitor, and Slow-release Fertilizer on Nitrogen Fertilizer Loss in Direct-Seeding Rice

  • Lee, Jae-Hong;Lee, Ho-Jin;Lee, Byun-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0-235
    • /
    • 1999
  • To study the effects of an urease inhibitor, N-(n-butyl)-thiophosphoric triamide (NBPT), and a nitrification inhibitor, dicyandiamide (DCD), on nitrogen losses and nitrogen use efficiency, urea fertilizer with or without inhibitors and slowrelease fertilizer (synthetic thermoplastic resins coated urea) were applied to direct-seeded flooded rice fields in 1998. In the urea and the urea+DCD treatments, NH$_4$$^{+}$ -N concentrations reached 50 mg N L$^{-1}$ after application. Urea+NBPT and urea+ NBPT+DCD treatments maintained NH$_4$$^{+}$ -N concentrations below 10 mg N L$^{-1}$ in the floodwater, while the slow-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maintain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NH$_4$$^{+}$ -N in floodwater. The ammonia losses of urea+NBPT and urea+NBPT+DCD treatm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urea and urea+DCD treatments during the 30 days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N loss due to ammonia volatilization was minimized in the treatments of NBPT with urea and the slow-release fertilizer. The volatile loss of urea+DCD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urea surface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NBPT delayed urea hydrolysis and then decreased losses due to ammonia volatilization. DCD, a nitrification inhibito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ammonia loss under flooded conditions. The slow-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reduced ammonia volatilization loss most effectively. As N0$_3$$^{[-10]}$ -N concentrations in the soil water indicated that leaching losses of N were negligible, DCD was not effective in inhibiting nitrification in the flooded soil. The amount of N in plants was especially low in the slow-release fertilizer treatment during the early growth stage for 15 days after fertilization. The amount of N in the rice plants, however, was higher in the slow-release fertilizer treatment than in other treatments at harvest. Grain yields in the treatments of slow-release fertilizer, urea+NBPT+ DCD and urea+NBP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treatments of urea and urea+DCD. NBPT treatment with urea and the slow-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were effective in both reducing nitrogen losses and increasing grain yield by improving N use efficiency in direct-seeded flooded rice field.field.

  • PDF

Mineral-Based Slow Release Fertilizers: A Review

  • Noh, Young Dong;Komarneni, Sridhar;Park, M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7
    • /
    • 2015
  • Global population is expected to reach nine billion in 2050 and the total demand for food is expected to increase approximately by 60 percent by 2050 as compared to 2005.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crop production in order to meet the global demand for food. Slow release fertilizers have been developed and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ertilizers. Mineral-based slow release fertilizers are useful because the minerals have a crystalline structure and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in a soil. This review focuses on slow release fertilizers based on montmorillonite, zeolite, and layered double hydroxide phases as a host for nutrients, especially N. Urea was successfully stabilized in the interlayer space of montmorillonite by the formation of urea-Mg or Ca complex, $[(Urea)_6Mg\;or\;Ca]^{2+}$ protecting its rapid degradation in soils. Naturally occurring zeolites occluded with ammonium nitrate and potassium nitrate by molten salt treatment could be used as slow release fertilizer because the occlusion process increased the capacity of zeolites to store nutrients in addition to exchangeable cations. Additionally, surface-modified zeolites could also be used as slow release fertilizer because the modified surface showed high affinity for anionic nutrients such as nitrate and phosphate. Moreover, there were attempts to develop and use synthetic layered double hydroxide as a carrier of nitrate because it has positively charged layers which electrostatically bond nitrate anions. Kaolin was also tested by combining with a polymer or through the mechanical-chemical process for slow release of nutrients.

서남부 지역 양파 재배 시 완효성 비료 시용효과 (Effects of a Slow-Release Fertilizer on Onion (Allium cepa L.) Cultivation in Southwestern Area)

  • 이을태;조상균;송연상;장영석;최인후;오용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76-482
    • /
    • 2001
  • 서남부지역 양파 재배 시 완효성 비료 시용에 따른 품질향상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속효성 비료보다 완효성 비료 시비구가 약간 높게 나타났고 생육은 조생, 만생종 모두 속효성 비료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 시비구가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노균병 이병률은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 1-7% 더 낮았으며 엽록소와 전질소함량은 관행 시비구가 완효성 비료 시비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상품수량은 조생종인 소닉의 경우 관행 시비구 4,365kg/10a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 시비구가 15% 증수되었으나 만생종인 창녕대고에서는 UF를 제외하고는 2-11% 감수되었다.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 수확된 양파의 경도, 당도, 인엽수, 인엽두께 등 저장형질은 관행 시비구보다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다른 성분들은 유의성이 없었다.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 수확된 양파구의 부패율 및 맹아율은 조생, 만생종 모두 관행 시비구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 PDF

세물차의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완효성비료 시비효과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Third-Harvest Tea Leaves)

  • 박장현;최형국;김정근;김길룡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69-273
    • /
    • 2005
  • 세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구의 $313kg\;10a^{-1}$에 비해 완효성비료 N $50kg\;10a^{-1}$구의 $316kg\;10a^{-1}$를 제외한 다른 완효성 비료 시비구에서는 5.8-14.4% 감수하였다. 질소 흡수율과 이용율은 질소 시비량이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N $50kg\;10a^{-1}$ 처리를 제외한 나머지 완효성비료 처리구에서는 총질소, 총아미노산, 엽록소 및 감칠맛의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이 적었고, tannin, caffeine, 비타민 C 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 품질은 N $40kg\;10a^{-1}$을 제외한 나머지 완효성시비구와 관행시비구 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수량 및 품질에서 관행시비나 완효성비료시비 상호간에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지만, 완효성비료 N $50kg\;10a^{-1}$구에서 기타 처리보다 약간 양호한 경향이었다.

난지형 마늘 재배 시 완효성 비료 시용효과 (Effects of Applying Slow-Release Fertilizer on Southern Type Garlic (Allium sativum L.) Cultivation)

  • 송연상;최인후;정병춘;최원열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471-475
    • /
    • 2001
  • 난지형 마늘 재배에 있어서 시비노력 절감과 품질향상을 위한 완효성 비료의 시용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육은 관행시비구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시비구가 양호하여 초장이 4-6cm 더 길었고 엽초경이 2mm 이상 더 두꺼웠으며 엽수도 많은 경향이었다. 엽록소 함량은 월동기를 지나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3월 하순 이후에 증가하였으며 생육후기인 5월에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종별로는 관행시비구가 추비의 영향으로 엽록소 함량이 완효성 비료 시험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완효성 비료 중 CDU100처리구는 엽장이 길고 엽폭이 넓었으며 식물체 전체 중량이 무거웠다. 특히, 대구율이 관행(35.0%)보다 10.9% 높았고, 수량도 관행(1,270kg/10a)보다 5% 증수되었다. 전질소 및 피루브산 함량은 질소 무비구 및 속효성 비료 시비구에 비하여 완효성 비료 시험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완효성 비료 시용은 10a당 3.5시간의 시비노력이 소요되어 관행인 속효성 비료의 시비시간 4.6시간보다 24%의 시비노력 절감을 가져왔다.

  • PDF

The Effects of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 Using Wastepaper on the Growth of Radish Plants

  • Khan, Modabber Ahmed;Mingzhi, Wang;Lim, Bu-Kug;Lee, Jong-Y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4-259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 (SRNF) on the growth of radish plants. Wastepaper was deinked by alkaline solution and SRNF was produced from fertilizer impregnated wastepaper, which applied to an experimental plot compared with a urea fertilized plot. The plant height and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the radishes were higher while they were treated with SRNF than with urea. Some agronomic and chemical components were also observ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ertilizers were found. When the soil was treated with SRNF, the pH,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higher than in the soil which was treated with urea.

완효성비료의 모래식재지반에 있어서 질소용탈의 감소 (Slow Release Fertilizer Decreases Leaching Loss of Nitrogen in Sand-based Root Zone)

  • 첸웨이펭;왕웨이;퀴잉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7-182
    • /
    • 2007
  • 축구장의 식재지반이 모래로 조성될 경우 낮은 보비력과 높은 용탈율로 인해 시비관리의 조정이 필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PVC관을 이용한 경기장 유사모형 실험구에서 캔터키 블루그래스에 있어서 완효성비료의 생육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잔디의 색깔, 균일도, 생육, 지상부 생체량과배출수의 질산의 유출량을 몇 가지 다른 생육상과 네 번의 유사 강우 시험 시 행하였다. 실험 결과 요소의 성분 유출량이 가장 높았고 공시 완효성비료는 가장 낮았다. 이 완효성 비료는 다른 공시 잔디비료에 비해 14일간, 요소보다는 28일간 잔디의 품질 면에서 비효가 지속되었다. 또한 이 완효성비료는 잔디의 웃자람과 잔디깎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질산태 질소의 유출에 있어서도 잔디의 조성 초반기에 50% 정도를 감소 시켰다.

완효성비료 시비구에서의 농도특성(지역환경 \circled3)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by Slow Release Fertilizer in Paddy Plots)

  • 이종진;김진수;오승영;이철원;윤춘경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605-610
    • /
    • 2000
  • The effect of slow release fertilizer application on ponded and percolation water in paddies were evaluated at the experimental plots during irrigation period. We laid out three experimental plots such as standard, 100% slow-release and 80% slow-release. For ponded water, the concentrations of T-N in slow-release plots slowly increase after fertilizing and decrease slowly. The concentration of COD in percolated water was independent of the type of plots. Amount of nitrogen uptake of rice plant in a standard plot was highest at the middle or end of July and was higher than the other plo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