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t less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4초

Novel Quasi-Elliptic Function Bandpass Filter Using Hexagonal Resonators with Capacitive Loading

  • Wang, Changtao;Li, Wenming;Liu, Feng;Liu, Haiwen
    • ETRI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615-617
    • /
    • 2008
  • A novel and compact elliptic-function bandpass filter is proposed in this letter. The techniques of slot etching and the addition of open stubs are applied to enhance the self-inductance and self-capacitance of hexagonal open-loop resonators. Thus, size reduction and improved transmission performance are obtained. Compared to the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design, the central frequency and insertion loss are reduced by 28% and 3.1 dB, respectively. Measurements show that the proposed filter has a fraction bandwidth of 23% at the central frequency of 1.84 GHz, and its insertion loss in the passband is less than -1.5 dB. The bandpass filter occupies only 12 mm${\times}$21.2 mm (approximately $0.24{\lambda}_g{\times}0.14{\lambda}_g$).

  • PDF

최적 임펄스 전송을 위한 초광대역 테이퍼 슬롯 안테나 설계 (Design of UWB Tapered Slot Antenna for the Optimum Impulse Radio Transmitting & Receiving)

  • 고영목;나극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53-56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UWB 대역에서 최적 임펄스 신호 전송을 위한 테이퍼 슬롯 안테나(Tapered Slot Antenna: TSA)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UWB 대역에서 동작하는 TSA는 end-fire 특성을 갖는 광대역 안테나로, 펄스 전송을 위한 IR-UWB(Impulse Radio Ultra-Wide Band) 시스템에 적합하다. 지향성 특성을 갖는 테이퍼 슬롯 안테나는 UWB 대역에서 손실이 적고, 임펄스 전송시 최소 에러를 가져야 한다. 전송되는 펄스 왜곡을 최소로 하기 위해 테이퍼 슬롯 안테나 급전부를 구성하는 광대역 임피던스 변환기와 microstrip/slotline 천이부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설계된 테이퍼 슬롯 안테나에 대한 펄스 충실도는 전자기파에 대한 시간 영역 분석이 가능한 CST를 이용한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시뮬레이션과 펄스 상관식 유도를 통해 계산하였으며, 제작된 안테나에 대해 두 안테나를 0.5 미터 이격시킨 두 안테나 사이에서 약 93.89 % 정도의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chirp Z-변환 알고리즘을 유도를 통해, 나노초 이하의 펄스 신호에 대해 zoom-in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펄스 신호에 대한 왜곡, 지연 및 분산 특성 등의 분석이 가능하다.

슬롯형 분할 나선형 공진기를 이용한 소형 협 대역통과 필터 설계 및 제작 (Fabrication and Design of a Compact Narrow Band Pass Filter Using Slot Type Split Spiral Resonators)

  • 최동묵;김당오;조남이;김채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4호
    • /
    • pp.38-4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슬롯형 분할 나선형 공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스트립 기판상에 구현될 소형 협 대역통과 필터설계기법을 제안한다. 이 필터의 설계기법은 슬롯형 분할 나선형 공진기, 패치사이의 용량성 갭, 그리고 미앤더 구조를 가진 유도성 스터브의 조합으로 구성된 필터 단들의 종속 연결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 기법하에서 거의 대칭인 필터응답, 가변 대역폭, 그리고 소형필터를 구현할 수 있었다. 제안된 필터는 기존의 필터보다 저지대역에서 우수한 차단특성을 가졌다. 측정결과, 삽입손실은 중심주파수($f_0$=1GHz)에서 -3.47dB, 통과대역에서 -12.62dB 이하, 3dB 대역폭은 약 7.3%로 나타났다. 제작된 필터의 관심 영역 주파수응답은 CST사의 MWS(Microwave Studio)로 전산모의 실험된 값과 잘 일치되었다.

운영 정책을 반영한 철도 슬롯 할당을 위한 최적화 모형 연구 (An Optimization Model for Railway Slot Allocation Reflecting the Operational Policies)

  • 박범환;홍순흠;김충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524-530
    • /
    • 2012
  • 최근 열차 운행에 있어 경쟁 체제 도입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다. 유럽의 경우 20 여년간 경쟁 체제 도입과 관련한 여러 강령들을 발표해 왔고, 화물 열차 중심으로 경쟁 체제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 체제 도입은, 다수의 운송사업자가 제안하는 열차 스케줄을, 공정하고, 비차별적인 방식으로 각 운송사업자의 요청 스케줄을 조정해야 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경매방식을 비롯한 다양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유럽과 달리, 이러한 조정 과정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경매 방식을 비롯한 기존의 철도 슬롯 할당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스케줄 조정 허용치 범위 내에서 스케줄 변화를 통해 열차 운행횟수를 최대화하며, 운송사업자간의 운영상의 정책을 고려할 수 있는 슬롯 할당 메커니즘 및 최적화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선통신 백-홀용 V-밴드 도파관 슬롯 서브-배열 안테나의 설계 (Design of V-Band Waveguide Slot Sub-Array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ck-haul)

  • 노광현;강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34-341
    • /
    • 2016
  • 본 논문은 고 용량, Gbps급 데이터 전송을 만족하는 무선 백-홀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도파관 개구 결합 급전 구조 안테나에 관한 내용으로 V-대역인 57GHz~66GHz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할 공동-급전 구조를 갖는 $32{\times}32$ 도파관 슬롯 서브-배열 안테나를 설계, 제작 하였다. 안테나 구성은 적층 형태로 되어있으며, 각각 복사 부(외부 홈과 슬롯, 캐비티), 개구 결합 부, 급전 부로 이루어져 있다. 안테나 설계는 3차원 유한 요소 법(FEM)을 기반으로 하는 HFSS를 이용 하였고, 안테나 제작은 알루미늄 재질로 정밀도 높은 밀링 머신을 사용하여 각 층을 가공 한 후 은(Ag)-도금 과정을 거쳐 조립하였다. 측정을 통해서 안테나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목표했던 적용 주파수 대역에서의 반사 손실은 전반적으로 -12dB이하 손실 특성을 나타냈으며, VSWR < 2.0기준으로 약 16 %에 달하는 광 대역 주파수 특성을 보였다. 측정된 안테나 복사패턴의 1차 부엽 레벨은 -12.3 dB미만 이고, 3 dB 빔 폭은 약 $1.85^{\circ}$ 로 좁은 빔 폭을 갖는다. 또한, 안테나 이득은 평균 38.5 dBi이상, 효율은 약 90% 이상으로 높은 효율을 얻었다.

대역저지 특성을 갖는 초광대역 안테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WB Antenna with Band Rejection Characteristics)

  • 양운근;남태현;유재성;오희운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3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대역저지 특성을 갖는 초광대역(UWB: ultra wideband) 안테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슬롯을 가진 평면 방사 패치와 패치 아래 양쪽과 뒷면 접지면으로 구성되어있다. 평면 방사 패치 내에 있는 슬롯들로써 대역을 저지하며 U-모양의 슬롯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5.15~5.825 GHz) 대역을, n-모양의 슬롯은 X-Band(7.25~8.395 GHz) 대역을 저지하는데 각각 기여한다. 그리고 저지 대역을 제외한 UWB(3.10~10.60 GHz) 전체 대역의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2.0 이하로 만족시키기 위해 평면 방사 패치와 접지면에 변형을 주었다. 제안된 안테나의 설계과정과 전산모의실험에는 Ansoft사의 HFSS(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를 사용하였다. 전산모의실험된 안테나는 3.10~10.60 GHz에서 저지 대역인 5.15~5.94 GHz, 7.02~8.45 GHz를 제외한 구간에서 전압정재파비는 2.0 이하를 만족하며, 구현된 안테나의 측정 결과는 저지 대역인 5.12~5.95 GHz, 7.20~8.58 GHz를 제외한 구간에서 전압정재파비는 2.0 이하를 만족한다.

Efficient Design of Waveguide Filters Reducing Modal Interference through Cross-Shaped Slots

  • Kahng Sungtek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21-25
    • /
    • 2005
  • In this paper, a new method is suggested to improve the frequency responses of dual-mode waveguide-filters that employ cross-shaped slots. In accordance with this method, regarding one cross-shaped slot between two cavities, the horizontal(vertical) mode in one cavity can be designed to influence far less the vertical(horizontal) mode in cavity. Therefore, it improves the overall performances. A 4th-order dual-mode filter is taken as an example and it validates the method.

Slot Hybridization을 이용한 연속 회분식 반응기내 미생물 분포 조사 (Microbial Communities of Activated Sludge in an Anaerobic/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using Slot Hybridization)

  • 전체옥;신금주;이대성;서판길;박종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39-947
    • /
    • 2000
  • 연속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인 제거에 관한 미생물 분포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소원으로 초산을 넣은 합성 폐수를 사용하였고 미생물 체류 시간과 수리학적 체류 시간은 각각 10일과 16시간으로 유지하였다. 인 방출과 흡수가 운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점 빠르게 일어났으며 약 200일 경과 후 안정적인 인 제거가 유지되었다. 안정적인 생물학적 인 제거가 유지될 때의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17개의 ribosomal RNA (rRNA) signature probe를 합성하여 슬러지로부터 분리한 전체 rRNA에 대하여 slot hybridization을 실시하였다. 분리한 전체 RNA에는 proteobacteria의 베타군 (beta subclass)에 속하는 rRNA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CTE probe와 관계된 rRNA가 다음으로 많이 분포하였다. 전통적으로 생물학적 인 제거를 담당하는 미생물로 여겨져 왔던 Acinetobacter, Aeromonas, Pseudomonas의 rRNA는 10% 미만으로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Rhodocyclus 그룹같은 proteobacteria의 베타군과 CTE에 속하는 미생물이 인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되었고 Acinetobacter, Aeromonas, Pseudomonas 등은 생물학적 인 제거에 있어서 과평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IV) -연삭(硏削)·마찰(磨擦)의 조합식(組合式) 정백작용(精白作用)이 정백성능(精白性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 (IV) -Rice Whitening Performance of the Combined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 김삼도;정창주;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2호
    • /
    • pp.72-85
    • /
    • 1983
  • Rice whitening is performed by basically two different whitening actions known as abrasive and frictional. The former adopted in the emery stone abrasive type whiteners and the latter in the jet-air friction type. Comparative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ies between the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jet-air friction type whiteners only and the system consisting of both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s have not yet been rigorously defined.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bined operations of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 rice whiteners on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ies. The small capacity commercial units of the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The combinations of whitening treatments were: 1) Once in the abrasive type and then two to three times in the friction type, 2) twice in the abrasive and then two to three times in the friction type and 3) three to five times in friction type. In these tests, counter pressures for the friction type whiteners were established differently as required to get about the same degree of whitening at the end of predetermined numbers of the repeated operations. The speed of emery stone and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were also the factors varied in the abrasive type whitener. Sheukwang rice variety having 13.05% M.C. was used in the test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milled- and head-rice recoverie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in the whitening systems consisting of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slot angle of the screen, the rotational speed of emery stone roller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milling yields and whitening efficiency. In general, the increase of the emery stone roller speed from 690 to 950 rpm presented a positive effect on milling yield, and one-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had higher milling yields than two-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2. It was apparent that if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and the speed of emery stone roller are modified and set at an optimum level, the combination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abrasive- and friction-type whiteners is better than the pure frictional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jet-air friction type in terms of milling yields and efficiencies. 3. In the rice whitening system consisting of abrasive- and jet-air friction-type whiteners, the best whitening performance was obtained when the slot angle of the scree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emery stone roller were $45^{\circ}$ and 950rpm, respectively, for the one-pass abrasive milling combinations. However, for the two-pass abrasive mi11ing combinations, the best performance was obtained with $75^{\circ}$ of slot angle and 950 rpm of the emery stone roller speed. 4. As compared with pure frictional whitening systems, the combination systems produced more milled rice by 0.8-1.0% point and more head rice by 0.5-1.5% point, and consumed less electricity by 0.15-0.20 KwH per 100kg of milled rice when the abrasive whiteners were operated in the modified conditions as described in item 3 above.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find out optimum operational and design conditions of abrasive type whiterners.

  • PDF

저지 대역을 갖는 UWB용 CPW 대역 통과 여파기의 설계 (A Design of CPW Band-Pass Filter with Rejection Band for Ultra-Wideband System)

  • 노진원;황희용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704-70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UWB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CPW 대역 통과 여파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여파기는 특성 임피던스 $50{\Omega}$을 갖는 전송 선로에 슬롯만을 형성하여 대역 통과 특성을 갖도록 구현하였다. 설계된 대역 통과 여파기는 무선 랜 주파수 대역에서의 협대역 저지 특성을 얻기 위해 CPW 접지면에 두 쌍의 반파장 슬롯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 저지 여파기와 결합하였다. 제작된 대역 통과 여파기는 $15.35{\times}13.60mm$의 작은 크기로 주파수 통과 대역은 3-dB 삽입 손실을 기준으로 $2.8{\sim}9.8GHz$이며 $5.15{\sim}5.71GHz$의 협대역 저지 대역을 갖는다. 또한, 군 지연 특성은 저지대역을 제외한 통과 대역 내에서 400 psec 이하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