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varianc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DTM으로부터 지형변수의 추출 및 분석: 제주도 사례연구 (Extraction and Analysis of Topographic Variables from DTM: A Case Study in Jeju Island)

  • 김석중;조성현;김형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3호
    • /
    • pp.56-61
    • /
    • 2004
  • 강수현상에 영향을 주는 지형변수들을 고도(ELEV), 경사(SLOPE), 바다까지의 거리(SEA), 방해물(OBST), 방벽(BAR), 굴곡도(SHIELD)로 구분하여 해상도별로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해상도는 50 m DTM (Digital Terrain Model)을 기본으로 하여 100m, 200m, 400m, 600m, 800m, 그리고 1,000m로 분석하였다. 이때 해상도 분석은 TOVA (Topographic Variables Extraction Program)를 이용하였다. 제주 기상관측소를 사례로 지형변수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해상도에 따른 값의 변화는 8개의 주방위선에 따른 변화보다 적지만 특히 SHIELD 변수값과 해상도 600m의 경우에는 의미 있게 나타났다.

Applicability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Procedure When Both Variables are Subject to Error

  • Kim, Kil-Soo;Byun, Jai-Hyun;Yum, Bong-Jin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3-170
    • /
    • 1996
  • An errors-in-variables model (EVM) differs from the classical regression model in that in the former the independent variable is also subject to error. This paper shows that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ordinary least squares (OLS) estimation procedure to the EVM, the relative dispersion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o its error variance must be also considered in addition to Mandel's criterion. The effect of physically reducing the variance of errors in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performance of the OLS slope estimator is also discussed.

  • PDF

등장성 운동 시 회귀분석기간에 따른 근전도 중앙주파수 회귀직선의 특징 (Characteristic of the Regression Lines for EMG Median Frequency Data Based on the Period of Regression Analysis During Fatiguing Isotonic Exercise)

  • 김유미;조상현;이영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63-76
    • /
    • 2001
  •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itial median frequency (MDF) and slope correlate with the muscle fiber composition.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initial MDF and slope are fixed, regardless of the interval at which data are collected. MDF data using moving fast Fourier transformation of EMG signals, following local fatigue induced by isotonic exercise, were obtained. An inverse FFT was used to eliminate noise, and characteristic decreasing regression lines were obtaine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in three different periods, the first one third, first half, and full period, looking at variance in the initial MDF, slope, and fatigue index. Data from surface EMG signals during fatiguing isotonic exercise of the biceps brachii and vastus lateralis in 20 normal subjects were collected. The loads tested were 30% and 60%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in the biceps brachii and 40% and 80% MVC in the vastus lateralis. The rate was 25 flexions per minut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itial MDF or slope during the early or full periods of the regress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tigue index. Therefore,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initial MDF and slope of the MDF regression line during isotonic exercise, this study suggest that only the early interval need to be observed.

  • PDF

하중의 분산성을 고려한 대수누선사면 파괴의 확률론적 해석 (A Probabilistic Analysis on Logarithmic-Spiral Failure of Slope in Consideration of Load Variance)

  • 정성관;권무남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4권4호
    • /
    • pp.39-50
    • /
    • 1988
  • 현재까지 사면의 안정해석은 거의 결정론적 방법에 의해서 도호사면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사면의 파괴형상은 대수나선, 복합직선, 정원형, Cycloid기선 등의 다양 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수위를 고려한 기류한 사면의 파괴형상을 대수나선으로 하고 하중과 흙의 강침정수의 확률변수분포를 정규분포, 대수정규분포 및 베타분포로 가정하여 사면의 파괴확률을 구했다. 그치고 사면안정설계에 이용되고 있는 안전률과 파괴확률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허용안전률에 대한 신잡실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동일한 안전률에 대해서 변리계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파괴확률이 증가하므로 사면설계에 있어서 안전률보다 파괴덕률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허용안전률은 현장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보다는 강도정수의 변리계수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 PDF

Pollutant Runoff Reduction Efficiency of Surface Cover, Vegetative Filter Strip and Vegetated Ridge for Korean Upland Fields: A Review

  • Park, Se-In;Park, Hyun-Jin;Yang, Hye In;Kim, Han-Yong;Yoon, Kwang-Sik;Choi, Woo-J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1-159
    • /
    • 2018
  • BACKGROUND: In this review paper, the effects of surface cover (SCV), vegetative filter strip (VFS), and vegetated ridge (VRD) on the pollutant runoff from steep-sloping upland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pollutant reduction efficiency in runoff ($PRE_{runoff}$) of the practices and to investigate how slope and rainfall parameters affect the $PRE_{runoff}$. METHODS AND RESULTS: The $PRE_{runoff}$ of SCV, VFS, and VRD for pollutants including suspended solids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was compared by analysis of variance. The effect of slope and rainfall parameters on the $PRE_{runoff}$ was explored by either mean comparison or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_{runoff}$ differs with the practices due to different pollutant reduction mechanisms of the practices. Though the $PRE_{runoff}$ was likely to be affected by site condition such as slope and rainfall (amount and intensity),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was not possible due to the limited data set. CONCLUSION: The $PRE_{runoff}$ of SCV, VFS, and VRD differed due to the distinctive mechanisms of pollutant removal of the practices.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experimental data across a variety of gradient of slope and rainfall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the practices on pollutant runoff from steep-sloping uplands.

Nonparametric Estimation using Regression Quantiles in a Regression Model

  • Han, Sang-Moon;Jung, Byoung-Cheol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5호
    • /
    • pp.793-802
    • /
    • 2012
  • One proposal is made to construct a nonparametric estimator of slope parameters in a regression model under symmetric error distributions. This estimator is based on the use of the idea of minimizing approximate variance of a proposed estimator using regression quantiles. This nonparametric estimator and some other L-estimators are studied and compared with well known M-estimators through a simulation study.

고성토사면에 시공된 교대의 측방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Laterally Displacing Abutment in High Landfill Slope)

  • 박민철;장서용;신백철;한희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7-3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성토사면 위에 시공된 교대가 강우 침투로 측방유동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로 인한 교대의 상대변위를 파악하고 적절한 보강대책 및 설계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성토사면의 정확한 수치해석을 위해 현장의 성토재인 화강풍화토를 채취하여 비배수 직접전단시험을 통해 함수비(포화도)변화에 따른 강도정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표준관입시험 결과를 토대로 탄성계수와 포아송비 등의 지반정수를 산정하였다. 이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강우 시 교대 교좌부의 측방유동, 말뚝기초의 부재력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교대 교좌부의 측방변위는 8.98cm로 허용변위량 3.0cm보다 약 3배 정도 크게 산정되었다. 측방유동의 보강대책으로 보강토옹벽, 압성토, 말뚝 기초 자체보강(길이 5m 연장보강, 3열 보강, 3열 5m 연장보강)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말뚝기초를 보강 (3열 5m 연장보강) 하였을 경우 측방유동으로 인한 교대 교좌부의 상대변위는 2.26cm로 허용변위량보다 적었다.

토석류의 토사체적농도에 따른 퇴적 특성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for Variance of Depositation Due to Sediment Volume Concentration of Debris Flow)

  • 최영도;김성덕;이호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5-2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 사면에서 토석류가 발생했을 때, 하류에서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를 실험을 통해 조사한 것이다. 하류에 퇴적하는 토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로사면에 소단을 설치하였을 경우 또는 직선 수로인 경우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험조건으로서는 토사체적농도의 변화 및 수로의 경사변화 그리고 수로의 형태에 따라서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의 감소율을 조사하였다. 직선수로에서 수로경사가 급할수록 그리고 토사퇴적농도가 감소할수록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는 증가하였다. 소단을 갖는 수로에서는 경사가 급할수록 토사퇴적농도가 감소할수록 도달거리 및 토사퇴적농도가 증가하였다. 두 수로에서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의 차단율을 비교해보면, 소단을 갖는 수로에서 직선수로인 경우보다 토사퇴적면적과 도달거리의 차단율이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경사지 비탈면에서 토석류가 발생했을 때 효율적인 토석류 저감 또는 방어 대책을 세워 토석류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데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he prediction of the critical factor of safety of homogeneous finite slopes subjected to earthquake forces using neural networks and multiple regressions

  • Erzin, Yusuf;Cetin, T.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1-15
    • /
    • 2014
  • In this stud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multiple regression (MR) models were developed to predict the critical factor of safety ($F_s$) of the homogeneous finite slopes subjected to earthquake forces. To achieve this, the values of $F_s$ in 5184 nos. of homogeneous finite slopes having different slope, soil and earthquake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Simplified Bishop method and the minimum (critical) $F_s$ for each of the case was determined and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ANN and MR models. The results obtained from both the model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calculations. It is found that the ANN model exhibits more reliable predictions than the MR model. Moreover, several performance indices such as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variance account for, mean absolute error, root mean square error, and the scaled percent error were computed. Also, the receiver operating curves were drawn, and the areas under the curves (AUC)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prediction capacity of the ANN and MR models developed. The performance level attained in the ANN model shows that the ANN model developed can be used for predicting the critical $F_s$ of the homogeneous finite slopes subjected to earthquake forces.

간조직 센서를 이용한 dopamine의 정량 (Liver tissue sensor for the determination of dopamine)

  • 허문회;김기묘;김영학;백광진;최현영;안문규
    • 분석과학
    • /
    • 제8권3호
    • /
    • pp.365-370
    • /
    • 1995
  • Dopamine 정량을 위한 조직 센서로 Sprague-Dawley계 숫쥐의 간조직을 암모니아 기체 감응 전극에 고정화하였다. 조직 센서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Nernst equation 대신, 감응 곡선의 최대 속도를 측정하여 Lineweauer-Burk equation에 적용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조직마다 slope, linear range에 변화가 심하나 본 방법에 따른 경우 그 변화 정도가 적으며, 감응 시간은 7분~12분 정도로부터 2~3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