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p

검색결과 3,226건 처리시간 0.037초

A Study of the Slip Structure of an Aged and Deformed Nickel-Base Superalloy

  • Park, Hyung-Sup;Park, Ju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63-178
    • /
    • 1970
  • 닉켈기 내열합금의 일종인 Rene 41을 76$0^{\circ}C$ 및 87$0^{\circ}C$에서 최고 9300 시간까지 시효열처리한 다음, 5% 내지 20%로 압축변형시켜, 이 합금의 실온에서의 소성변형방식 및 석출입자인 ${\gamma}$'입자와 slip line 간의 상호작용을 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관찰연구하였다. 본합금의 slip구조는 $\alpha$황동때와 유사하게{111}<110>계에 속하는 단일 slip line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순알루미늄에서 관찰되는 층상구조는 볼 수 없었다. 또한, slip 구조는 시효조건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시효상태뿐만 아니라 과시효상태에 있어서도 Slip line은 여전히${\gamma}$' 석출입자를 통과하였으며, 이 때 석출입자는 지금과 더불어 변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관찰결과를 앞서 발표된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과시효상태에서도 ${\gamma}$'입자는 적어도 일부 지금과 정합되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미끌림 방지턱을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 결합부의 구조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on-slip Device in Connecting Method Between Steel Pipe Pile and Footing)

  • 박영호;김낙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227-243
    • /
    • 2003
  • 강관말뚝의 속채움 콘크리트 B방법에서 미끌림방지턱의 구조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관말뚝머리의 내부에 미끌림방지턱을 설치하지 않은 시험체와 2단의 곡률 강편 미끌림방지턱을 강관말뚝내부에 용접한 시험체(시방서 방법), 그리고 미끌림방지턱을 다수의 곡률 강편과 고장력볼트로 체결한 시험체(개발형 방법)에 대하여 실물크기 인발 및 압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미끌림방지턱이 없는 시험체는 최대인발하중 15.6tonf에서, 최대압발하중 27.57tonf에서 콘크리트의 화학적 부착파괴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미끌림방지턱이 있는 시방서 방법과 개발형 방법의 시험체는 없는 시험체보다 최대인발하중의 약 8.9배와 최대압발하중의 6.2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시방서 방법과 개발형 방법의 하단 미끌림방지턱에 대한 하중분담비율은 거의 동일한 거동을 보인 반면에, 상단 미끌림방지턱은 시방서방법보다 개발형 방법의 하중분담비율이 크게 기여하였다. 그리고 시방서 방법과 개발형 방법의 미끌림방지턱 형상에 의한 합성작용과 구조성능은 거의 동일하였다.

5속 A/T용 자동변속기 토크컨버터 댐퍼클러치 슬립제어가 슬림율과 연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ip-Controlled Torque Converter Damper Clutch in 5-Speed Automatic Transmission on Slip Rate and Fuel Economy)

  • 이기수;김덕중;김현철;나병철;허형석;이호길;장재덕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74-80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slip rate and the slip frequency number of damper clutch of torque converter in 2.4L passenger vehicle with 5-speed A/T and analyze the effect of slip control and control strategy on driving characteristics and the fuel economy. The newly developed torque converter with the more durable wet friction material and the slip-controlled damper clutch system, the DCC system, was installed, which was easily compatible and amendable of the lock-up clutch of the base system. The vehicle has been tested on the fuel economy modes such as FTP-75, HWFET and NEDC (ECE15+EUDC) driving cycle at chassis dynamometer. The DCC mode (II), of which the control strategy had both the lock-up and the slip-controlled clutch, and the DCC mode (I) with full slip-controlled clutch were compared with the base system with only the lock-up clutch. As the research result, comparison to base system,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with the DCC control (II) was effectively improved by 6.6% and 7.7% on FTP-75 and NEDC mode.

전동휠체어의 평지 주행 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슬립 제어기에 관한 연구 -1 (A Study on slip controller for safety improvement of run flat road running for motorized wheelchair -1)

  • 김보민;이원영;이응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9-1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동휠체어 주행 시, 슬립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경로 이탈 및 제어 불능에 대처할 수 있는 슬립 제어기에 관한 연구로 주요기능인 슬립 검출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동휠체어에서 슬립의 검출은 주행과정에서 전동휠체어와, 모터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6축 IMU 센서와 좌우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엔코더를 통해 산출된 정보를 슬립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슬립율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슬립 비율은 전동휠체어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제어변수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슬림 검출기 실험 결과 제안된 경로에서의 슬립 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 중 최대 슬립 율 검출 구간은 전동휠체어의 선회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 PDF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콘크리트보의 경계면 부착-슬립모델 (Bond-Slip Model of Interface between CFRP Sheets an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CFRP)

  • 김성배;김장호;남진원;강석화;변근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77-486
    • /
    • 2008
  • 탄소섬유시트 보강공법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에 많이 사용되는 보강공법이다. 이러한 탄소섬유 보강공법에서는 콘크리트와 CFRP시트 사이의 경계면 거동이 전체 보강구조물의 거동을 지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시트 보강공법을 적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경계면 거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계면 부착거동해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bond-slip model을 제시하고, 경계면의 부착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bond-slip model은 기존의 bilinear bond-slip model을 개선한 것으로서, 전단응력이 증가하는 구간을 2개의 직선구간으로 구성하고, 전단응력이 감소하는 구간을 지수함수로 구성한 것이다. 제안된 bond-slip model은 기존의 부착전단 실험 결과 및 경계면 거동 모델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가압-진공 하이브리드 주입성형에 의한 알루미나의 균질 성형 (Homogeneous Shape Forming of Alumina by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 조경식;송인범;김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592-600
    • /
    • 2012
  • Conventional methods for preparing ceramic bodies, such as cold isostatic pressing, gypsum-mold slip casting, and filter pressing are not completely suitable for fabricating large and thick ceramic plates owing to disadvantages of these processes, such as the high cost of the equipment, the formation of density gradients, and differential shrinkage during drying. These problems can be avoided by employing a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approach that considers not only by the compression of the aqueous slip in the casting room (pressure slip casting) but also the vacuum sucking of the dispersion medium (water) around the mold (vacuum slip casting). We prepared the alumina formed bodies by means of pressure-vacuum hybrid slip casting with stepwise pressure loading up to 0.5 MPa using a slip consisting of 40 vol% solid, 0.6 wt% APC, 1 wt% PEG, and 1 wt% PVA. After drying the green body at $30^{\circ}C$ and 80% RH, the green density of the alumina bodies was about 56% RD. The sintered density of an alumina plate created by means of sintering at $1650^{\circ}C$ for 4 h exceeded 99.8%.This method enabled us to fabricate a $110{\times}110{\times}20$ mm alumina plate without cracks and with a homogeneous density, thus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method to the fabrication of other ceramic products.

마찰 저감을 위한 비극성 첨가제에 따른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계 플라스틱의 stick-slip 이음 저감 연구 (Study on the reduction of stick-slip noise i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based plastics using non-polar additives to reduce friction)

  • 여상준;정예원;최성욱;김효준;박건욱;손민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9-59
    • /
    • 2024
  •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고유가 문제로 인하여 전기차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또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도 엔진의 Noise, Vibration, Harshness(NVH) 관련 소음이 저감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의 차폐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Buzz, Squeak, Rattle(BSR) 이음의 민감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Panoramic Curved Display(PCD)에서 발생하는 Stick-slip 이음과 고분자 플라스틱의 표면에너지 및 극성 성분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극성 고분자 소재인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와 PolyCarbonate-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PC-ABS)를 대상으로 컴파운드 소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분자 플라스틱의 극성성분이 3.86 mN/m 이상일 때 Stick-slip 거동이 발생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마찰 거동에서 absolute transition slope가 증가할수록 Stick-slip의 이음 가능성이 증가하고 마찰계수의 값 차이가 클수록 Stick-slip 이음의 세기가 증가하였다.

브레이크 게인 적응 휠 슬립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ke Gain Adaptive Wheel Slip Control)

  • 조준상;유승진;이교일
    • 유공압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3-17
    • /
    • 2007
  • The brake gain adaptive wheel slip controller for a vehicle is designed in this paper. The brake gain from braking pressure to braking torque defined by friction coefficient, friction area and effective friction radius is estimated by the adaptive law based on the wheel slip dynamics. And the wheel slip controller is designed based on the estimated brake gain. The robustness of the designed controller is analyzed using Lyapunov function and the convergence of brake gain is verified. Proposed wheel slip controller is verified via CarSim simulation with two kinds of desired wheel slip ratio.

  • PDF

The Static and Dynamic Performance of a MEMS/MST Based Gas-Lubricated proceeding Bearing with the Slip Flow Effect

  • Kwak, H.-D.;Lee, Y.-B.;Kim, C.-H.;Lee, N.-S.;Choi, D.-H.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103-104
    • /
    • 2002
  • The influence of the slip flow on the MEMS/MST based gas-lubricated proceeding bearing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modified Reynolds equation, the numerical analysis of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first order slip flow approximation. The numerical prediction of bearing performance provides the significant results concerning the slip flow effect in micro scale gas-lubricated proceeding bearing.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oad-carrying capacity as well as the rotordynamic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the slip flow. Through this work, it is concluded that the slip flow effect could not be ignored in the micro gas-lubricated proceeding bearing.

  • PDF

The study on microslip using a signal detection theory

  • Son, D.H.;Li, K.W.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1-55
    • /
    • 1991
  • Since slipping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hazar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 slip. Many researches, based on biomechanical studies, had been attempted to do that. T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chanism of a slip and psychophysical behaviors of people had rarely been verified. For example, the existence of small slips in a forward direction, which do not normally perceived by human subjects, has been established by several experimenters. However, the term "microslips are not perceived by the walkers[4]." has not been examined precisely by any experim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using a Signal Detection Theory (SDT), to define a microslip and slip more quqntitatively with the biomechanical measurement of slip dis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lip distance around the 3 centimeters, there was a obvious change in the accident detectability of the subject. The conclus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boundary of a microslip and slip around the 3 centermeters of slip dis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