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ve

검색결과 976건 처리시간 0.029초

현대 패션에 나타난 래글런 슬리브의 패턴구성 특징에 관한 연구 (The features of pattern structure in the raglan sleeve as observed in modern fashion)

  • 신장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5-104
    • /
    • 2018
  • This study classified the figurative features of the raglan sleeves presented in the Spring and Summer Collections and Fall and Winter Collections abroad in 2010 and 2018 and analyzed the production methods and patterns of the classified raglan sleeves. The analysis results are described below. The raglan sleeves in the latest fashion trends were classified into Type H, Type A, Type O and Type Y per shape. The production features of raglan sleeves in the latest fashion trends included the cutting lines in various shapes, a flounce that made shoulders look wider, and decorations such as gathers, studs, punching, slits, pleats and tucks. The raglan sleeve design was classified into Yoke Raglan, Armhole Princess Raglan, Semi Raglan, Gathered Raglan, Pleats Raglan, Cowl Raglan, Origami Raglan, Circular Curved Raglan, Capes Raglan and Constructive Design Raglan and the patterns per design were presented. For creative and experimental clothing by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raglan sleeve structure, a variety of configuration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industry through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pursuing unique styles as the basis for further study on the configuration methods of raglan sleeves. This study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as education materials on sleeve patterns in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the analysis of sleeve patterns, this study tr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design of raglan sleeves and helping to diversify the ladies' apparel market in the future.

  • PDF

MRT(Moisture Responded Transformable)섬유의 의료용 압박소매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edical Compression Arm Sleeves Using a MRT(Moisture Responded Transformable) Fibers)

  • 조대현;정태두;박은희;박영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7-95
    • /
    • 2021
  •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a medical compression sleeve of Moisture Responded Transformable(MRT) fibers to the treatment of lymphedema after surgery in breast cancer patients was investigated. MRT fibers were manufactured with PET and Nylon6 bi-component cross-section yarns, and compression sleeves of sleeves 1, 2, 3, and 4 were knitted in order of size, and the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linical tests were evaluated. As a result, the pressure of compression sleeve in wrinkle was the lowest in sleeve 1 with 3.81 kPa, and the highest in sleeve 4 with 5.22 kPa. Elastic recovery rate is that all parts except the top of the sleeve 1 exhibited 100%. The air permeability was good at 12.1 ~ 16.1 cm3/cm2/sec, and peeling was also comparatively excellent as grade 3.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compression sleeves 1, 2, and 3 decreased as 18.3 ~ 23.0 g/m2 depend on size, while the compared sample was heavier with 17.39 ~ 32.61 g/m2. In lymphoscintigraphy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 of remaining lymph node was good in all patients.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samples in skin irritation and tightness in wearing comfort, the manufactured sleeves showed better fit, lightness, fashion and breathability than the comparable sleeves.

각종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내력에 대한 비교평가 (Comuarative Evaluation on Strength of Several Grout-filled Splice Sleeve)

  • 김형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635-64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보다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동안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각종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구조성능을 비교 분석하고자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실시했던 각종 그라우트 충전식철근이음의 320여개 실험결과를 수집한 후에 철근이음의 내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내력은 철근의 정착길이와 충전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커지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상대적으로 철근의 정착길이가 짧거나 충전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낮아서 부착파괴가 발생한 실험체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슬리브의 형상이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부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착파괴된 철근이음 실험체에서 철근의 직경에 따른 철근이음 내력의 차이가 특별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충전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에서 철근 항복강도의 $125\%$ 이상의 인장력을 전달하여 ACI 및 국내 규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7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4.5d 이상,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8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3.9d 이상 확보해야 한다. 또한, 철근 인장강도 이상의 인장력을 전달하여 AIJ 규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충전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7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5.34 이상, 그라우트 압축강도가 80MPa이면 철근의 정착길이를 4.7d 이상 확보해야 한다.

A Study on the Pattern by the Traits of Fabrics of Women's Tailored Jacket

  • Jang, Se-Eun;Sohn, Hee-Soon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6호
    • /
    • pp.101-114
    • /
    • 2007
  •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pattern, of using wool and jersey for designing jackets and to provide a theorized solu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women's tailored jacket pattern by the traits of fabrics with fabrics those are generally used to develop the power of manufacturing technique about fit of jacket. Basic bodies prototype, graphics of sleeves prototype and graphics of jacket pattern those a clothing company at present(on&on, a brand of Beaucre Merchandising Co.,Ltd) is using were used as basics of tailored jacket pattern. Three kinds of fabric(wool, polyester, jersey) were chosen, we made jackets in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lothing company, modified and made up for the weak points and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differences of pattern by the traits of fabr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e drafted basic tailored style jacket pattern, made a jacket with wool fabric, made wearing experiment, modified and made up for the weak points by the trend, then developed JacketⅠ for study; 2) With JacketⅠ for study as the basic, we made a jacket with polyester fabric, made wearing experiment, modified and made up for the weak points, then developed Jacket II for study; 3) With JacketⅠ for study as the basic, we made a jacket with jersey fabric, made wearing experiment, modified and made up for the weak points, then developed Jacket III for study; 4) We presented final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attern with Jacket I II III for study; 5)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pattern with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attern with Jacket I(Wool) for study and Jacket II(Polyester), there was no change of size overall except extra amount which happens because of the trait of the fabric in 20 items of body format pattern, there were differences of size in 3 items(height of a sleeve, width of a sleeve, length of a sleeve) among 5 items of sleeves pattern; 6)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of pattern with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attern with Jacket I(Wool) for study and Jacket III(Jersey) for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of size by the kinds of fabric in 11 items(neck point to shoulder point length, Bishoulder point length, back interscye length, front interscye length, armhole circumference, depth of armhole, chest circumference, bust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waist dart) among 20 items of body format pattern, there were differences of size by the kinds of fabric in 5 items(height of a sleeve, circumference of a sleeve, width of a sleeve, length of a sleeve, width of bottom of a sleeve) among 5 items of sleeves pattern.

도시가스 매설배관 보수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pair Standards for Underground Pipelines Carrying Natural Gas)

  • 류영돈;이진한;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43
    • /
    • 2016
  • 미국과 유럽의 가스회사에서는 배관의 보수방법으로 그라인딩, 육성용접, 슬리브덮개용접, 복합재료보수, 핫태핑, 클램프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배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사용적합성 평가를 거쳐 배관보수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매설된 도시가스배관이 타공사 또는 부식으로 인해 손상을 입은 경우 손상형태별로 적용 가능한 배관보수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노후된 중압배관에 대하여 정밀안전진단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정밀안전진단결과 발생된 결함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배관을 보수, 교체 또는 신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보수 및 보강 방법에 대하여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주로 손상된 배관을 절단한 후 단관(短管)으로 교체하는 방법만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영국 등 국외의 보수방법 및 기준을 조사하고, 국내의 매설배관 검사 방법 등에 대해 조사하고, 보수방법 시험 결과를 분석한 후 국내 실정에 맞는 배관보수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되는 기준에 따라 도시가스사업자가 정밀안전진단 결과의 후속조치로 배관보수를 하는 경우 가스공급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스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십자형 CFT 기둥-보 접합부의 내력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quations for Load Carrying Capacities of Concrete Filled tubular Square Column-to-Beam Connections with Combined Cross Diaphragm and Sleeves)

  • 최성모;정도섭;김대중;김진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통권77호
    • /
    • pp.419-42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복합십자형 다이아프램을 사용한 CFT 기둥-보 인장측 접합부에 관한 연구에 이어서 접합부 각 요소의 구조적 특성을 명료하게 하는데 있다. 복합십자형 다이아프램은 기존 접합부의 하중전달 경로 및 다이아프램의 갑작스런 기하학적인 형상 변화에 대한 디테일을 개선함으로서, 보 플랜지 및 다이아프램에 응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고 접합부의 응력집중이 완화된 접합방식이다. 복합십자형 다이아프램을 접합부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슬리브에서의 응력전달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슬리브의 두께 및 길이를 변수로 하여 해석한 결과, 슬리브의 길이 및 두께는 접합부의 내력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다이아프램으로부터의 하중을 콘크리트로 전달시키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적정 슬리브의 길이 및 두께를 각각 직경의 1배, 슬리브 직경/두께비를 20으로 제안한다. 기존의 내력식을 검토하여 메커니즘을 수정한 후 적용가능한 접합부의 극한내력식 및 항복내력식을 제안하였다.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과 구속효과 (Confining Effect of Mortar Grouted Splice Sleeve on Reinforcing Bar)

  • 안병익;김형기;박복만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02-109
    • /
    • 2003
  •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은 철근위치의 오차를 쉽게 흡수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또한 콘크리트 타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공법의 철근이음 방법중 하나로서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도 이에 대한 연구는 불충분한 실정으로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 시스템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그 동안 연구의 미비한 부분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그라우트 충전식 철근이음의 보다 합리적인 설계방법을 제시하여 실용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에서의 구속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슬리브 표면에 변형률 게이지를 부착한 실물크기의 D25, D19 철근용 스플라이스 슬리브 이음 실험체를 제작한 후에 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결과로부터 슬리브의 구속효과가 모르타르 충전식 철근이음의 부착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실험에서 측정한 슬리브 표면의 변형률 분포로부터 철근이음에 작용하는 구속력을 산정한 결과, 철근이음 실험체에 최고 $200{\sim}300kgf/{cm}^2$ 이상의 원주방향 구속응력이 작용하였고 이런 구속응력은 철근 정착길이가 감소할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횡방향 구속효과를 고려한 Untrauer와 Merry의 부착강도식에 측정한 슬리브 표면의 변형률로부터 구한 구속응력을 적용하면 본 연구의 실험값을 5% 이내의 편차범위에서 예측할 수 있었다.

인체동작 모니터링 위한 광섬유 기반 의류 소매형 동작센서 연구 (A study on the sleeve-shaped platform of POF-based joint angle sensor for arm movement-monitoring clothing)

  • 강다혜;이영재;이정환;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21-226
    • /
    • 2011
  • 인체의 동작 센싱 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의 동작 센싱 방식에는 많은 한계점들이 있다. 기존의 동작 센싱 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일환의 노력으로, 이 논문에서는 비구속적인 동작 센싱이 가능한 광섬유 기반 의류 소매형 동작센서를 탐색적으로 연구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이 논문에서는 광섬유 기반의 의류 소매형 동작 센서를 고안하고, 이를 통하여 일상생활 중에 다양한 동작을 센싱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하여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범위는 광섬유 기반 동작센서의 가능성 여부와 주요 요건을 탐색하는 것이며, 소매 패턴과 봉제 방식의 특성, 착용자의 체형 특성이 미친 영향은 연구 범위에서 제외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복에 적용 가능하도록 고안된 광섬유 기반 의류 소매형 동작센서는, 기존의 동작 센싱 시스템에 비하여 더욱 미세한 인체 동작 측정이 가능하며 시간 공간의 제약 없이 저 비용으로 인체 동작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