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apnea syndrome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3초

호흡 강도에 따른 수면 호흡 유형 분석 (Analysis of Sleep Breathing Type According to Breathing Strength)

  • 강윤주;정성오;국중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5
    • /
    • 2021
  • Sleep apnea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does not breathe during sleep, and is a dangerous symptom that blocks oxygen supply in the body, causing various complications, and the elderly and infants can die if sever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lgorithm that classifies sleep breathing by analyzing the intensity of breathing with images alone in preparation for the risk of sleep apnea. Only the chest of the person being measured is set to the Region of Interest (ROI) to determine the breathing strength by the differential image within the corresponding ROI area. The adult was selected as the target of the measurement and the breathing strength was measured accurately, and the difference in breathing intensity was also distinguished using depth information. Two videos of sleeping babies also show that even microscopic breathing motions smaller than adults can be detected, which is also expected to help prevent infant death syndrome (SIDS).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상하악 전방이동술 전후의 두부계측방사선 사진에서 산출한 기도직경, 상기도 공간의 기류저항과 호흡방해지수 변화와의 연관성 (AWAKE CEPHALOMETRIC ANALYSIS OF POSTERIOR AIRWAY SPACE AND CALCULATED RESISTANCE RELATED TO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BEFORE AND AFTER MAXILLOMANDIBULAR ADVANCEMENT FOR OBSTRUCTIVE SLEEP APNEA)

  • 박광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2호
    • /
    • pp.157-16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cephalometrically evaluated changes in the posterior airway space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before and after surgical advancement of the maxilla and mandible. The change in calculated airway resistance was correlated with the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DI). Twenty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raced before and after surgery to determine the posterior airway area and calculate resistance. Polysomnograms of each patient were obtained before and after surgery. All patients had a decrease in calculated airflow resistance in the airway. The mean amount of resistance was 865.15 before surgery, decreasing to 192.65 after surgery (p<0.01). Eighty-five percent of the patients experienced improvement in their RDI. Reduction in the RDI appears to be due to an increase in the posterior airway space and decrease in flow resistance.

  • PDF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children

  • Ahn, Young-M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0호
    • /
    • pp.872-879
    • /
    • 2010
  • Obstructive sleep apnea (OSA) in children is a frequent disease for which optimal diagnostic methods are still being defined. Treatment of OSA in children should include providing space, improving craniofacial growth, resolving all symptoms, and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the disease in the adult years. Adenotonsillectomy (T&A) has been the treatment of choice and thought to solve young patient's OSA problem, which is not the case for most adults. Recent reports showed success rates that vary from 27.2% to 82.9%. Children snoring regularly generally have a narrow maxilla compared to children who do not snore. The impairment of nasal breathing with increased nasal resistance has a well-documented negative impact on early childhood maxilla-mandibular development, making the upper airway smaller and might lead to adult OSA. Surgery in young children should be performed as early as possible to prevent the resulting morphologic changes and neurobehavioral, cardiovascular, endocrine, and metabolic complications. Close postoperative follow-up to monitor for residual disease is equally important. As the proportion of obese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par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 weight gain after T&A. Multidisciplinary evaluation of the anatomic abnormalities in children with OSA leads to better overall treatment outcome.

REM 수면 의존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수면 변인에 관한 연구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 이유진;이순정;강동진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77-81
    • /
    • 2008
  • 배 경:수면은 크게 비렘수면(non-REM sleep)과 렘수면(REM sleep)으로 나눌 수 있으며 렘수면 중에는 근력의 소실로 상기도 확장 근육의 긴장도가 저하되고 상기도 저항은 증가하여 무호흡증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자체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부분이 알려져 왔으나 렘수면에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렘수면 의존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REM-dependent OSA)은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REM-dependent OSA 환자들의 임상 특성과 수면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4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시립은평병원 수면검사실을 방문하여 경도나 중등도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받은(5$53.7{\pm}16.7$, 남성:42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REM-dependent OSA(AHIREM/AHINREM${\ge}$2) 환자군과 No REM-dependent OSA(AHIREM/AHINREM<2) 환자군의 임상적 특성과 수면 관련변인을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Statistica 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 과:대상군 56명 중 21명(37.5%)가 REM-dependent OSA으로 진단되었다. 두 군사이의 연령, 성별, BMI (Body Mass Index)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 연령, BMI, PLMI를 통제한 후, 수면 관련 변인 중 REMdependent OSA 환자군에서 AHI(Apnea Hypopnea Index), ODI(Oxygen Desaturation Index)가 유의하게 낮았다($12.1{\pm}6.4$ vs. $35.9{\pm}24.7$, p=0.010; $6.0{\pm}5.3$ vs. $24.0{\pm}20.4$, p=0.006, respectively, ANCOVA). REMdependent OSA 환자군에서유의하게 높은 2단계 수면이 관찰되었다($58.5{\pm}10.3$ vs. $51.2{\pm}13.2$, p=0.031, ANCOVA). REM-dependent OSA군으로 대상군을 한정하였을 때, 성별, 연령, BMI, PLMI를 통제한 후, 렘수면중 AHI는 전체 수면중 AHI, 비렘수면중 AHI, ODI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720, p=0.001;r=750, p=0.001;r=0.749, p=0.001, partial correlation, respectively).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중 37.5%를 REM-dependent OSA 환자로 진단할 수 있었다. REM-dependent OSA 환자는 더 경한 정도의 수면 무호흡증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2단계 수면 분율의 증가 같은 수면구조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렘수면중의 무호흡은 산소포화도 저하와 연관되어 있었다.

  • PDF

흡연과 수면장애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leep Disturbance)

  • 배상혁;김홍순;강승걸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2호
    • /
    • pp.45-50
    • /
    • 2018
  • Smoking is one of the most harmful causes of disease. Many previous researches have shown that cigarette smoking leads to cardiovascular, respiratory, oncologic,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In addition to such adverse effects,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cigarette smoking can worsen sleep quality and induce sleep disorders. This review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nicotine and sleep and sleep disorders of insomnia, obstructive sleep apnea, and restless legs syndrome. Because smoking is a behavioral pattern that can be changed, it is important to quit smoking to improve overall health and sleep.

수면과 알코올 (Sleep and Alcohol)

  • 이진성;김성곤;정우영;양영희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2호
    • /
    • pp.59-62
    • /
    • 2013
  • Alcohol has been used as sedatives historically. The effect of alcohol on sleep is different according to its dose, timing of ingestion, and drinking frequency. Sleep problems may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and course of alcohol-related disorders. Insomnia in alcohol-dependent patients is common and early treatment of insomnia may reduce the rate of relapse. Sleep apnea, restless legs syndrome, periodic limbs movement disorder, and altered circadian rhythm may be more frequent in this patients. Management of sleep and alcohol problems is important in treating alcohol-related disorder and sleep disorders, respectively.

임피던스를 이용한 무호흡감시 시스템 설계 (Design of Apnea Monitoring System by impedance technique)

  • 박성빈;전대근;윤형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2-235
    • /
    • 1997
  • Apnea refers to episode of apnea (or not breathing) lasting more than 10 seconds that occur while sleeping. These episodes, whitch can occur hundreds of times per night, may transiently awaken resulting in fragmentation of sleep. Although the precise cause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SIDS) are still unclear, there is evidence to suggest that hypoxaemia may be a contributory actor. Transcutaneous oxygen monitor can be use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use or baby stayed at home. In this reason, monitors whitch is easy or deal with are reqiured. In 1972, Steinschieder reported that two of the five infants noted to have apnea lasting or more than 20 seconds later died of SIDS episode, he also suggested that home monitoring or neonates should be used or managing apnea at home. Transthoracic electrical impedance technique is used or acquiring respiration waveform and detecting episode of apnea state. Transthoracic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s have been made from the human trunk over the frequency range 9.6KHz to 614KHz. We conclude that application of impedance technique or detecting apnea state is proper or neonates.

  • PDF

임상현장에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수면다원검사결과의 특징과 약물처방현황 (Polysomn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escription Status of Restless Legs Syndrome Patients in Naturalistic Setting)

  • 강승걸;남지혜;김하나;신홍범
    • 수면정신생리
    • /
    • 제20권1호
    • /
    • pp.35-40
    • /
    • 2013
  • 목 적: 임상실제에서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 환자들의 수면다원검사 결과의 특징과 약물치료의 현황을 자연적인 후향성 연구로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임상적으로 RLS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며 수면다원검사를 시행 받고 치료받은 18세 이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에 대해 초진시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IRLSSG)의 4가지 진단기준과 국제하지불안척도(International Restless Legs Scale, IRLS)를 평가하고 야간수면다원검사와 제안부동검사(suggested immobilization test, SIT)를 시행하였고, 도파민효현제로 한 달간 약물치료 후 IRLS를 재평가하였다. 결 과: 분석에 포함된 총 대상자수는 211명으로 남자가 94명(44.5%), 여자가 117명(55.5%)이었고 평균연령은 46.9세였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136명(64.5%), PLMD가 53명(25.1%)에서 동반되어 다른 수면장애를 동반한 환자의 수는 185명(87.7%)이었다. 수면다원검사결과 수면효율은 78.0%, 수면중각성시간(wake after sleep onset)는 86.8분, N3는 3.4%였다. 평균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 hypopnea index)는 시간당 12.4회, PLMS는 시간당 14.8회, SIT 중 PLMW는 시간당 41.2회였다. 수면중 총 각성지수는 시간당 21.6회였다. 전체 환자 중 ropinirole을 복용한 환자는 149명(70.6%), pramipexole을 복용한 환자수는 47명(22.3%)이었고 ropinirole은 평균 0.9 mg(용량범위 0.125~5 mg), pramipexole은 평균 0.5 mg(용량범위 0.125~4 mg)을 사용하였다. Ropinirole의 용량은 연령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25, p=0.002), IRLS와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3, p=0.038). IRLS는 초진시 24.9점에서 1달 뒤 13.4점으로 감소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임상적으로 RLS 진단이 가능한 환자 중에 다른 수면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PLMD에 해당되는 사람은 25.1%로 기존 보고보다 적었고 평균 PLMS도 시간당 14.8회로 높지 않았다. 사용하는 도파민효현제의 용량은 한국에서 허가용량으로 승인받은 용량보다 더 높은 경우가 많았다. 향후 이 주제에 대한 전향적이고 통제된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야간뇨 유병률 및 관련인자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Nocturi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강현희;이종민;이상학;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1호
    • /
    • pp.14-20
    • /
    • 2014
  • 목 적: 본 연구는 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야간뇨의 유병률 및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수면무호흡증이 의심이 되어 수면 클리닉을 방문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소견 및 수면다원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배뇨 증상은 국제전립선증상점수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야간뇨은 밤 동안에 2회 이상 배뇨를 하기 위해 깨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은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5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161명의 분석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6.7{\pm}14.1$세였다. 이 중 27명은 단순 코골이 환자였으며 134명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로 진단 되었다. 야간뇨는 53명의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 8명의 단순 코골이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분석 대상환자에서 야간뇨의 유병률은 37.9%,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유병률은 39.6%였으나,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유무에 따른 야간뇨 발생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야간뇨를 호소한 환자가 야간뇨가 없는 환자보다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01). 야간뇨를 동반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야간뇨를 호소하지 않은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 비하여 각성 지수가 더 높았고, 혈중 산소 포화도는 더 낮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나이와 무호흡-저호흡 지수가 야간뇨의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분석 되었으며, 나이에 따른 야간뇨의 위험도는 1.4, 무호흡-저호흡 지수에 따른 위험도는 1.02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빈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뇨의 동반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인자는 나이와 무호흡-저호흡 지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