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Time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28초

수면장애가 있는 중장년 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Primary Insomnia in Adults Aged 55 and Above: A Meta-analysis)

  • 김지현;오복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2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sleep disturbance amongst adults aged 55 and above. Methods: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INAHL and several Korean databases were searched. The main search strategy combined terms including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and presence of insomni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clud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uricular acupuncture, aromatherapy, and emotional freedom techniques.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using Cochrane's Risk of Bias for randomized studies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 randomized studies. Data were analyzed by the RevMan 5.3 program of Cochrane Library. Results: Sixteen clinical trials met the inclusion criteria with a total of 962 participant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was conducted for a mean of 5.5 weeks, 7.7 sessions, and an average of 70 minutes per session.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n sleep quality (ES=-1.18), sleep efficiency (ES=-1.14), sleep onset latency (ES=-0.88), awakening time after sleep onset (ES=-0.87), and sleep belief (ES=-0.71) were significant, and their effect sizes were ranged from moderate to large. However, the effects on total sleep time and insomnia severity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have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s and beliefs about sleep, sleep quality, sleep duration, and sleep efficiency. Therefore,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an evidence to incorporate variou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to nursing practice to improve both sleep quality and quantity in patients with insomnia.

센서 네트워크에서 데이타 전송 지연을 최소화하는 MAC 프로토콜의 설계 (An MAC Protocol Design in Minimizing of Data Transmission Delay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만석;김상수;고광신;조기환;이문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3-54
    • /
    • 2007
  • 배터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S두낵 Network)는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장 큰 이슈이다. 센서 네트워크의 MAC 프로토콜도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접근방법은 listen/sleep 모드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수신 노드의 Sleep으로 인하여 즉시 다음 이웃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데이터 전송지연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본 논문은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데이터 전송지연을 최소화하는 DT-MAC(Data Transmission Centric MAC)을 제안한다. DT-MAC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노드는 데이터 수신과 연관된 sleep 모드 중 잔여 sleep 기간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pseudo_listen 기간으로 전환한다. pseudo_listen 기간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sleep 모드로 인한 데이터 전송지연을 가능한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DT-MAC은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면서 재난 및 화재 경보와 같은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요구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에 적합한 MAC 프로토콜이다.

  • PDF

모다피닐이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의 임상 양상과 수면구조에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afinil on Clinical Features and Sleep Structure of Narcolepsy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 신홍범;정도언;김의중
    • 수면정신생리
    • /
    • 제13권2호
    • /
    • pp.67-74
    • /
    • 2006
  • 서 론:기면병은 과도한 주간졸림증과 탈력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모다피닐은 기면병 치료에 이용되는 정신자극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다피닐이 기면병환자와 정산인의 임상 양상과 야간수면구조 및 주간 졸음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기면병 환자 12명(연령:$22.9{\pm}2.6$세)(남:여=7:5)과 성별, 연령이 짝지어진 대조군 12명($23.8{\pm}2.5$세)이 기저 연구(baseline study)에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을 기저검사로 임상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다피닐 200 밀리그램 투약 후 동일한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모다피닐 투여 이후 임상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수면관련변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모다피닐 투여는 피츠버그수면장애척도 점수만을 감소시켰을 뿐 그 외의 임상적 척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에서, 투약 전에 비하여 투약 후 야간수면다원검사의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이 감소하였고, 입면 후 각성 시간과 총검사시간 중 각성 시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이어서 시행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상 평균입면잠복시간이 연장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 론:모다피닐은 각성 효과를 지닌 약물로 메틸페니데이트 등 기존 투약에 비해 야간수면에 대한 영향이 적은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 및 각성 시간의 비율 증가를 보여 야간수면에 영향을 주지만 수면구조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모다피닐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상 평균입면잠복기의 연장을 보여 기면병과 관련된 졸음 증상 조절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다피닐은 주간졸림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도 각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건강검진센터에서 위장 및 대장 수면 내시경 검사 증가에 따른 필요 회복실 침상 수 및 대기 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Using Simulation to Predict the Number of Recovery Bed and Waiting Time as Increasing Client for Sleep Endoscopy Check in Health Service Center)

  • 이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5-42
    • /
    • 2010
  • 질병의 조기진단을 위한 건강검진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불편감이 적은 위장 및 대장 수면 내시경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 서울 종합병원 건강검진 센터에서의 수면 내시경 검사, 회복 및 회복실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수면 내시경 대상자 및 대상자가 10%, 20% 증가할 경우 필요한 회복실 침상 수 및 회복 대기 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ARENA 10.0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의 수면 내시경 대상자 수인 경우 회복실 대기시간 7분, 대기 명수 2명, 침상가동률 약 50%이며, 수면 내시경 대상자 수가 10%, 20% 증가함에 따라 각각 대기 시간, 명수 및 침상가동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현재 상태 및 대상자 증가 시에도 대상자의 안전관리를 위해 수면 내시경 후 회복실의 침상을 3개 증가시켜야 대기시간이 2분 이내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형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수집 성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태그 슬립 기법 (An Efficient Tag Sleep Method for Improving Tag Collection Performance in Active RFID Systems)

  • 윤원주;정상화;박신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7B호
    • /
    • pp.686-69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능동형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수집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빈 시간 슬롯을 활용하는 효율적인 태그 슬립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태그 슬립 기법에서 리더는 프레임 슬롯 알로하 기반의 태그 수집 과정 동안 캐리어 신호의 감지를 통해 빈 시간 슬롯의 발생을 검출하고 낭비되는 빈 시간 슬롯을 수집된 태그들에게 슬립 명령어를 전송하는데 활용하여서 결과적으로 태그 수집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태그 슬립 기법을 적용한 태그 수집의 성능을 일반적인 태그 수집의 성능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태그 슬립 기법을 적용한 태그 수집 방식이 128개와 256개의 고정시간 슬롯을 가지는 프레엄 슬롯 알로하 및 동적 프레엄 슬롯 알로하 충돌방지 프로토콜들이 사용되었을 때, 각각 12.28%, 12.30%, 13.31%의 평균 태그 수집 시간을 감소시킴을 보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압력 처방 검사 시 나타나는 수면분절의 감소 (Sleep Fragementation Decreases during the nCPAP Titration Night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진성;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2호
    • /
    • pp.82-86
    • /
    • 2008
  •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분절과 수면구조의 변화를 초래해 야간 수면의 질을 저하시킨다. 이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처방압력 검사 중에 나타나는 수면분절지수의 변화와 이와 관련된 요인을 비교하였다. 방 법:야간 수면다원검사 결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되고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처방압력 검사를 받은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으며 기초 측정일과 양압술 시행일의 수면분절지수를 포함한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였다. 두 검사 사이의 변인 비교는 짝짓기 t-test로, 수면분절지수와 수면 변인의 관계는 Pearson 상관 분석으로 하였다(p<0.05, 양측 검정). 결 과:양압술 시행 시 기초 측정일에 비하여, 1단계수면 분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렘수면 잠복시간(REM latency)은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2단계수면 분율(%), 서파수면 분율(%) 그리고 렘수면 분율(%)은 증가하였다(p<0.05). 수면분절지수는 기초 측정일 $29.0{\pm}13.8$, 양압술 시행일 $15.2{\pm}8.8$로 감소하였다(t=9.7, p<0.01). 수면분절지수와 수면효율(%) 및 총수면시간은 음의 상관관계(r=-0.60, p<0.01;r=-0.45, p<0.01)가, 호흡장애지수와는 양의 상관관계(r=0.28, p<0.01)가 있었다. 결 론: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수면분절지수는 야간수면의 분절 정도 및 질환의 중증도를 잘 반영해주고 있어 진료에 보조적인 가치가 있을 것이다.

  • PDF

Influence of the Bathing starting Time on Sleep in Winter

  • Sung, Eun-Jung;Yutaka Tochihara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및 국제 감성공학 심포지움 논문집 Proceeding of the 2000 Spring Conference of KOSES and International Sensibility Ergonomics Symposium
    • /
    • pp.86-90
    • /
    • 2000
  • The effects of the timing of daily bathing on sleep in winter were studied. Eight healthy mal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ree sleep conditions: bathing just before sleeping (Condition J), bathing 2 h before sleeping (Condition T0 and no bathing before sleeping (Control). We can found that slow wave sleep and REM sleep were increased, and sleep onset latency and wake after sleep onset were shortened in Condition T compared with Condition J. Rectal and mean skin temperatures n both bathing conditions were the same levels after the first half of sleep. Furthermore, subjective sleep sensation was the highest value in Condition 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thing done before going to bed in winter was good for sleep; moreover, bathing 2 h before going to bed was more effective than bathing immediately before going to bed.

  • PDF

청소년의 BMI, 수면시간과 구강질환경험과의 관련성 융합연구 (Convergence relationship of BMI, Sleep time and Experience of oral disease in Adolescents)

  • 박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7-392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 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BMI, 수면시간과 구강질환경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아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자료분석은 청소년 총 57,30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표본설계에 따라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행하였고,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BMI는 구취증상과 관련이 있었고, 수면시간은 외상, 통증, 출혈, 구취의 증상과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구강질환관리 및 예방을 위해서는 BMI와 수면시간이 고려되어야 한다.

청소년의 비만도, 우울, 자살생각에 대한 스크린 기반 좌식활동과 수면시간의 수준별 결합효과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 라진숙;조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1-25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used secondary data from the 2013 Adolescent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A total of 27,929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Results: Obesity was more prevalent among adolescents who had ${\geq}$ 4h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7h of sleep duration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defined as < 2h of screen time and > 7h of sleep dur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ere more prevalent among adolescents who had 2-4h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7h of sleep duration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intaining a low (< 2h) level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appropriate sleep duration over 7 hours per day is essential for prevention of adolescent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Ethanol Extract of Perillae Herba Enhances Pentobarbital-Induced Sleep and Non-Rapid Eye Movement (NREM) Sleep through GABAA-ergic Systems

  • Kwon, Yeong Ok;Ha, Tae-Woo;Oh, Ki-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53-60
    • /
    • 2017
  • Perillae Herba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he sedation in the oriental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Perillae Herba ethanol extract (PHEE) enhances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in animals. In addition, the possible mechanisms are demonstrated. PHEE (12.5, 25 and 50 mg/kg. p.o.) reduced the locomotor activity in mice. PHEE reduced sleep latency and augmented the total sleep time in pentobarbital (42 mg/kg, i.p.)-induced sleep in mice. Furthermore, the number of sleeping mice treated with sub-hypnotic pentobarbital (28 mg/kg, i.p.) increased. PHEE (50 mg/kg. p.o.) decreased the sleep/wake cycles and wakefulness, and increased total sleeping time and NREM sleep in electroencephalogram (EEG) of rats. In addition, PHEE (0.1, 1.0 and $10{\mu}g/ml$) increased the intracellular $Cl^-$ level through the GABA receptors in the hypothalamus of rats. Moreover, the protein of glutamate decarboxylase (GAD) was overexpressed by PFEE. It was found that PHEE enhanced pentobarbital-induced sleeping behaviors through $GABA_A-ergic$ transmi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