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Environment Data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9초

MyBed : IoT 기반 수면 도우미 (MyBed : IoT Based Sleep Helper)

  • 유성민;김태준;김태한;김성일;허경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3-424
    • /
    • 2021
  • 이 논문에서는 수면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면 환경을 최적으로 조절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수면 환경 분석은 로드셀을 통한 뒤척임 감지에 의한 수면 단계 판단을 기본으로 하고 온도, 습도, 조도 등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온열 장치, 가습기, 블라인드 등을 제어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수면 상태에 따른 수면 환경 제어는 기상하기 쉬운 수면 상태를 유도함으로써 기상 시에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 PDF

뉴로-퍼지를 이용한 수면 외적 요인과 개인 수면 각성의 관계 영향 요소 분석 (The Analysis of Neuro-Fuzzy on External Factors of Sleep and Personal Sleep Arousal)

  • 하정호;최선탁;김준호;조위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7호
    • /
    • pp.175-182
    • /
    • 2018
  • 본 논문은 수면 환경이 개인 수면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최적 수면 환경을 산출하는 연구이다. 입출력 데이터 집합을 선정하고 뉴로-퍼지 기법을 이용해 최적화된 수면 환경 정보를 산출한다. 수면 지속 시간을 고려한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산출된 각성 비율은 12%이며, 기존 연구에 비해 최소 5% 낮은 각성 비율을 얻었다.

센서를 이용한 수면 환경 개선 (Improv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Sensor)

  • 신성윤;백정욱;이양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9-320
    • /
    • 2010
  • 본 논문은 수면을 이루는 침실의 수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얻어진 조건 데이터들과 수면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추출하여 개개인에 따른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수면 과정에 따라 피로도, 음주도, 공복도 등의 신체 상황에 따른 수면 상황의 차이점 및 패턴을 정의하여 보다 안정적인 수면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적절한 실내 환경 변화를 주고 보다 더 쾌적한 생활을 누리도록 도움을 주었다.

  • PDF

센서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수면 환경 개선 (Enhanc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Sensor and User Information)

  • 신성윤;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7-52
    • /
    • 2011
  • 본 논문은 수면을 이루는 침실의 수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얻어진 조건 데이터들과 수면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추출하여 개개인에 따른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실험은 H-MOTE2420 센서의 온/습도 센서(SHT11)와 조도 센서(GL5507)를 이용하였다. 뒤척임 추출을 위하여 비디오에서 움직임을 추출하는 차영상 기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수면에 영향을 미칠만한 가중치의 정보로 피로도, 음주도, 공복도 등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실험 결과 최적의 수면 환경을 추출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수면의 특정 상황만 아니라 식사, 출근 등과 같은 유기적인 유비쿼터스 생활환경의 한 부분에도 상황에 따른 적절한 실내 환경 변화를 제공 해주어서 좀 더 쾌적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도록 개선하려 할 것이다.

센서를 이용한 수면환경 개선 (Enhancement of Sleep Environment Using Sensor)

  • 신성윤;신광성;이양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485-249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수면을 이루는 침실의 수면 환경 데이터를 채취하고 얻은 조건 데이터들과 수면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것을 기초로, 모의실험 모델을 추출하여 개인별 최적의 수면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시스템의 실험은 온/습도 센서와 조도 센서로 구성된 H-MOTE2420 센서를 이용하였다. 수면 중 뒤척임의 추출을 위하여 비디오에서 움직임을 추출하는 차영상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수면에 영향을 끼칠만한 가중치의 정보로 피로한 정도, 음주의 정도, 공복의 정도 등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실험 결과 최적의 수면환경을 추출할 수 있었다. 향후, 수면의 특수한 상황뿐만 아니라 식사나 출근과 같은 유기적인 생활환경의 한 부분에도 상황에 따른 적절한 실내 환경 변화를 제공해 주어서 좀더 쾌적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도록 개선하려 할 것이다.

교대근무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 2차자료분석 (Secondary Data Analysis on the Quality of Sleep and Related Factors of Novice and Experienced Shift Work Nurses)

  • 유민정;최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646-65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quality of sleep in novice and experienced shift work nurses and compar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sleep.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92 and 256 novice and experienced nurses, respectively. The quality of sleep, sleep hygiene, job stress, and fatigue were measured using Insomnia Severity Index, Sleep Hygiene Practice Scal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Fatigue Severity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o calcula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leep quality was lower in experienced nurses (12.55 ± 5.71) than in novice nurses (11.18 ± 5.78). Fatigue was more severe in experienced nurses (4.47 ± 1.13) than in novice nurses (4.23 ± 1.12). In the logistic regression, factors related to sleep quality in novice nurses were sleep hygiene (odds ratio; OR = 1.06, p < .001) and fatigue (OR = 2.49, p < .001). Factors related to sleep quality in the experienced nurses were also sleep hygiene (OR = 1.04, p = .001) and fatigue (OR = 1.53, p = .012). Conclusion: Sleep quality of experienced nurses is lower than those of novice nurses. Factors associated with sleep quality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es are equally identified as sleep hygiene and fatigue. Therefore, personal efforts to improve sleep hygiene, such as providing comfortable sleep environment, are needed. Furthermore, organized efforts to decrease fatigue, such as constructing a working environment with a bright light at night and providing a fatigue-decreasing program that includes meditation, are required.

중환자실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특성과 투약오류와의 관계 (Association of Sleep Characteristics with Medication Errors for Shift Work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 이영희;최수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3-412
    • /
    • 2014
  • Purpose: Shift work disrupts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human biological clock and the environment. Sleep disturbances are common for shift work nurses, and may threaten patient safety.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sleep characteristics and medication errors (ME)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who work shifts, and ascertain if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these fact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126 ICU nurses on three shifts. Collected data included their sleep characteristics including sleep patterns and sleep disturbances, and ME for the past 2 week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duration and sleep latency according to shift. Day shift nurses had the shortest sleep duration, and their sleep latency was the longest (about 49 minutes) compared to nurses on evening and night shifts; 54% reported sleep disturbances, 16% experienced ME, and among these nurses 50% were on the night shif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nurses' sleep duration and ME (adjusted OR 0.52 [95% CI 0.32-0.85]). Conclusions: The results confirmed that shift work nurses in the ICUs experience sleep disturbance, and that less sleep is associated with ME.

수면위생 실행을 위한 수면 측정 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Study on Utilization of Sleep Measurement Data for Practice of Sleep Hygiene)

  • 이희영;박도성;이재이;정원형;김정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663-668
    • /
    • 2022
  • 수면장애 경험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수면의 질 개선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증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슬립테크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위생 기반 맞춤형 서비스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현대인의 수면장애 극복에 도움될 시스템 관련 연구 및 기술 고찰 후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폰 내장 센서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수면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면 패턴을 계산하고, 협업 필터링을 통해 사용자 개인에게 맞춤형 수면위생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며, IoT 기기의 자동 제어로 수면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면 데이터의 활용 방식은 사용자의 수면 습관 개선을 비롯해 슬립테크 시장으로 확장하여 수면 장애로 고통 받는 현대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년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 이에리쟈;이금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35-24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quality of sleep and its influencing factor among middle-aged male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1 middle-aged male work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were based from self-repor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sking about low urinary tract symptoms, circadian rhythm, quality of life and sleep quality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1 to October 31, 2013 and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Mean score of the sleep quality was $5.03{\pm}2.57$ (range: 0~21) and reported as bad sleep quality in 55.7%. Low urinary tract symptoms (${\beta}$=.30, p<.001), circadian rhythm (${\beta}$=-.17, p<.001), quality of life (${\beta}$=-.14, p<.001) were shown as significant association of sleep quality. Conclusion: Strategies to improve sleep quality in middle-aged male workers are necessary and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education program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low urinary tract symptoms. It is also necessary to legalize the institutional devices to upgrade work environment and to place regulations on overtime at work places in order for these workers to obtain sufficient sleep time for recovery of biological rhythms and improving sleep quality.

A Study of Simple Sleep Apnea Predictive Device Using SpO2 and Acceleration Sensor

  • Woo, Seong-In;Lee, Merry;Yeom, Ho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4호
    • /
    • pp.71-75
    • /
    • 2019
  • Sleep apnea is a disease that causes various complications, and the polysomnography is expensive and difficult to meas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unrestricted wearable monitoring system so that patients can be examined in a familiar environment. We used a method to detect sleep apnea events and to determine sleep satisfaction by non-constrained method using SpO2 measurement sensor and 3-axis acceleration sensor. Heart rate and SpO2 were measured at the finger using max30100. After acquiring the SpO2 data of the user in real time, the apnea measurement algorithm was used to transmit the number of apnea events of the user to the mobile phone using Bluetooth (HC-06) on the wrist. Using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mpu6050) attached to the upper body, the number of times of tossing and turning during sleep was measured. Based on this data, this algorithm evaluates the patient's tossing and turning during sleep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mobile phone via Bluetooth. The power source used 9 volts battery to operate Arduino UNO and sensors for portability and stability, and the data received from each sensor can be used to check the various degree between sleep apnea and sleep tossing and turning on the mobile phone. Through thisstudy, we have developed a wearable sleep apnea measurement system that can be easily used at home for the problem of low sleep efficiency of sleep apnea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