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ag Blended Cement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1초

화학약품용액에 침지한 시멘트모르터의 물성변화 (Properties of Cement Mortar Immersed in Chemical Solution)

  • 문한영;김진철;김홍삼;유정훈;이승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407-410
    • /
    • 1999
  • The 5 types of cement mortar was immersed in the various chemical solutions for 400 days and the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length change were measured to consider the chemical resistance at required ages. Due to the effect of flyashe and GGBF sla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blended cement mortar was higher than that of portland cement mortar at long ag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length change, the mineral admixture in blended cement had an indluence on reducing the amount of C3A, the cause of making concrete expand, and it made the formation of cements mortar denser so that the length change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portland cement mortar. However, the OPC mortar immersed in Na2SO4 solution for 180 days shows 4 times bigger length change chante than the blended cement mortar.

  • PDF

혼합 잔골재의 입자 크기에 따른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모르타르의 강도와 건조수축 특성 (Th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 Mortars as the Particle Size of Blended Fine Aggregate)

  • 김태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73-281
    • /
    • 2015
  • 본 연구는 세 종류의 서로 다른 규사와 강모래의 조합이 알칼리-활성화 슬래그(AASC) 시멘트의 압축강도와 건조수축 특성에 주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모래의 특성은 알칼리 활성화 시멘트의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세 종류의 규사 (S1, S2 그리고 S3)와 강모래 (RS)를 사용하였다. 또한 세 종류의 혼합 모래에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시리즈 (S1)는 강모래(RS)와 규사1 (SS1)을, 두 번째 시리즈 (S2)는 강모래(RS)와 규사2 (SS2)를, 세 번째 시리즈(S3)는 강모래 (RS)와 규사3 (SS3)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였다. 그 결과 혼합 모래는 AASC 모르타르의 특성에 특이할만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래의 입자크기와 혼합율의 관계에 따른 압축강도와 건조수축은 혼합된 모래의 조립률(FM)과 상대 표면적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모래의 종류와 혼합비율은 AASC 모르타르의 배합 설계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PAC을 포함한 삼성분계 시멘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Ternary Blended Cement Containing PAC)

  • 김태완;정진환;김성도;김인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45-253
    • /
    • 2020
  • 본 연구는 OPC-slag-FA의 삼성분계 시멘트에 PAC을 혼합하여 강도 특성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는 실험적 연구이다. 결합재는 80% OPC+10% slag+10% FA, 60% OPC+20% slag+20%FA, and 40% OPC+30% slag+30% FA의 세 종류이다. PAC은 mixing-water 중량의 0, 2, 4, 6, 8, and 10%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PAC은 OPC의 양에 관계없이 압축강도를 향상시킨다. PAC은 portlandite를 소비하고 Friedel's salt를 형성하며 공극의 직경을 감소시켜 matrix를 치밀하게 만들어 압축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그러나 다공성의 FA 입자는 초기수화단계에서 PAC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FA의 사용은 수화지연효과를 고려하여 치환율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구리 합금 슬래그를 혼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 (Evaluation of cement mortars blended with copper alloy slag)

  • 이정일;홍창우;류정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3
    • /
    • 2015
  • 최근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실리카퓸과 같은 각종 시멘트 혼화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합금 제련시 발생되는 슬래그의 시멘트 대체재로서의 활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합금 슬래그를 미분쇄하여 상용 포틀란트 시멘트에 첨가하고, 첨가량 변화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유동성, 흡수율, 단위용적중량, 압축강도 및 휨강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5 % 황산용액에서의 동슬래그 함유 시멘트 모르타르의 무게변화를 28일 동안 측정하여 화학적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C-S-H계 조강제 첨가에 따른 혼합시멘트의 조기 강도 발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early strength development of blended cement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C-S-H based Hardening acceleration)

  • 안태윤;라정민;박준형;김진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7-128
    • /
    • 2022
  • In order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research on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SCM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s a way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in the cement industry. However, the use of SCMs causes problems of initial hydration delay and strength reduc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ricalcium silicate(C3S) in the cement clinke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itial hydration and basic characteristics of cement mortar were confirmed by adding a C-S-H based hardening acceleration to blended cement mixed with Portland cement, blast furnace slag, fly ash, and limestone power. As a result of the heat of hydration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 it was confirmed that when hardening acceleration was added, the initial reactivity was high, so the heat of hydration was promoted, and the initial strength was increased.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C-S-H seeding effec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use of C-S-H based hardening acceleration can supplement the problem of initial hydration delay of blended cement in Korea.

  • PDF

전기로 환원슬래그 Up-cycling : 환경위해성 평가 및 환원슬래그를 혼합하여 제조한 2성분계 및 3성분계 혼합시멘트 모르타르 압축강도 평가 (Up-cycling of Air-cooled Ladle Furnace Slag :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and Mortar Compressive Strength Assesment of Binary and Ternary Blended Cement Using Air-cooled Ladle Furnace Slag)

  • 조한상;문영범;문원식;박대철;김형철;최형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9-164
    • /
    • 2015
  • 친환경 토목/건축소재가 각광받는 시대가 도래되면서 시멘트 산업에서의 철강슬래그 등의 산업부산물 up-cycling 사례가 계속 증가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적으로 재활용 사례가 거의 없는 서냉 전기로 환원슬래그의 up-cycling 용도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의 '토양오염우려기준'에 근거하여 환원슬래그에 대한 기초적인 환경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환경적 측면에서의 사용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인 시멘트 생산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및 고로수쇄슬래그 시멘트에 혼화재로서 환원슬래그를 일부 치환한, 2성분계 및 3성분계 혼합시멘트를 제조하고, 각 혼합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평가하였다. 압축강도 평가 결과, 환원슬래그를 최대 5 wt%까지 치환한 두 종류의 혼합시멘트 모르타르들의 재령일 28일에서의 압축강도는 무치환시멘트 경우와 유사하거나 약 1.1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저발열형 시멘트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침투$\cdot$확산에 대한 저항성 (The Resistance of Penetrability and Diffusion of Chloride Ion in Blended Low Heat Type Cement Concrete)

  • 문한영;신화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1-41
    • /
    • 1999
  • Blended Low Heat type cement i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mixed ternary with ordinary portland cement. From the viewpoint of X-ray patterns of domestic LHC, the main components of cement such as $C_2$S, $C_3$A, $C_3$S are considerably reduced. Therefore the heat evolution of LHC paste is 42cal/g lower than of OPC paste. At early age, th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LHC concrete is delayed, but the slump loss ratio of fresh concrete is reduced more than 20% with elapsed time. The penetrability of LHC is lower than that of OPC by 1/7.8 with the penetrability of chloride ion into the concrete until the age of 120 days. And the PD Index value of LHC is 0.44$\times$10-6 $\textrm{cm}^2$/s, which indicates only 39.3% of OPC. From the 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test of cement past, we know that the pore size of LHC is more dense than that of OPC by production of C-S-H.

3성분계 시멘트를 사용한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사례 (An Application of the Mass Concrete Using Ternary Blended Cement)

  • 권영호;하재담;전성근;김무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29-1234
    • /
    • 2001
  • The bottom slab of Inchon LNG in-ground #213 tank is designed as a massive structure witch has a large depth and 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optimum mix design having good workability and low hydration heat for bottom slab concrete and to control the actual concrete quality in site. For this purpose, we select the optimum mix design used ternary blended cement(furnace slag cement+fly ash) and design factors. As test results of actual application, we have finish placing the bottom slab concrete of 23,180㎥ during 68hours with good success and obtain the good quality of fresh and hardened concrete including slump, air contents, no-segregation, compressive strength and low hydration heat in actual data. All test results are satisfied with our specifications for bottom slab concrete and we cut costs as the use of ternary blended cement and the reduction of placing hours.

  • PDF

개량형 3성분계 결합재를 사용한 조강형 저탄소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A Engineering Properties of High Early Strength Low Carbon Concrete Using Modified Ternary Blended Cement)

  • 최현규;한상윤;김경민;박상준;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5-56
    • /
    • 2011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low heat concrete incorporating improved ternary blended cement by combining OPC(original portland cement),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 For ITB(Improved Ternary Blend)mixture was that setting time proved to be accelerated, and adiabatic temperature rises were low. The use of ITB resulted in an increase of initial compressive strength.

  • PDF

스테인리스 스틸 슬래그 AOD 혼입 시멘트 페이스트의 탄산화 양생에 의한 공극특성 (Pore Characteristics of Stainless Steel Slag AOD Blended Cement Pastes by Carbonation Curing)

  • 황철성;박경태;최영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90-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탄소 포집 물질인 ${\gamma}-C_2S$를 함유하고 있는 Stainless Steel Slag AOD를 포함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역학적 및 미세구조 변화를 연구하였다. ${\gamma}-C_2S$는 비수경성이며 그러므로 물과 반응하지 않는다. 그러나 ${\gamma}-C_2S$는 물에 의한 탄산화 양생조건에서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 그 반응은 페이스트 안의 공극을 치밀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STS-A를 사용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공극구조는 탄산화 ($CO_2$ 농도는 약 5%)후에 수은압입시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Fractal 특성은 시멘트 페이스트의 미세구조변화는 탄산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STS-A를 포함하는 탄산화 시멘트 페이스트는 강도가 증가하였고 공극구조는 더 치밀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