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ab joint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초

염화마그네슘 첨가율에 따른 산화마그네슘 경화체의 길이변화 특성 (Shrinkage Strain Property of the Magnesium Oxide Matrix According to Magnesium Chloride Addition Ratio)

  • 정병열;이상수;송하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0-151
    • /
    • 2013
  • Recently, the internal space organization of the building changes to the frame construction and flat slab construction in the wall type structure. And the use of light weight panel changing the internal joint use easily is increas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length change characteristic that the magnesium chloride addition rate reaches to the magnesium curing body tries to be studied. It could confirm according to the length change specific result that the magnesium chloride amount of addition reaches to the magnesium oxide curing body to expand. And the thing described below was the large-scale expansion the magnesium oxide addition rate 60%. And it showed up as 50, 40, 30, 20, and order of 10s (%). It could look at to form the hydrate of the SEM picture result needle-shaped of the Hardened.

  • PDF

합성 PC 보를 위한 전단 보강 계산 모형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f the Calculation Model for Shear Connectors of Composite Precast Concrete Beams)

  • 임채연;이동훈;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20
    • /
    • 2013
  • Green Frame is a column-beam system constructed by composite precast column and beam connected by embedded steel of their. From when the precast concrete beam of Green Frame is installed, until the concrete of slab and connection joint is cured, the self load of beam shall be supported by the embedded steel of it. Therefore, the concrete of beam could be separated from the embedded steel if the shear connector of beam of Green Frame is designed by the code on Structural standard. So, this study suggest an equation for the shear connection of composite precast concrete beams of Green Fram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ain equation of the calculation model for shear connectors of composite precast concrete beams.

  • PDF

선박충돌에 의한 콘크리트 안벽의 파괴거동분석 (The Fracture Behavior Analysis in Concrete Quay Deck Subjected to Collision of Ship)

  • 이래철;임성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75-87
    • /
    • 1997
  • To study the behavior a deck when it was collide with the ship approaching to the deck to berth, it was analyzed the effect zone by the ship collision which consists of deck slab and PC piles of the quay. The numerical technique is us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the deck when the ship hit the expansion joint of deck between the deck slabs. The failure behavior and zone of the deck are determinated by the comprehensive numerical study. The impact energy by the ship is also evaluated. It is concluded that these numerical analysis gave a reasonable estimation of the remedial area of the deck damaged by ship collision.

  • PDF

수축대를 사용한 고층건물 콘크리트 슬래브의 건조수축응력 해석 (Shrinkage Stress Analysis of Concrete Slab with Shrinkage Strip in Multi-Story Building)

  • 김한수;조석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726-733
    • /
    • 2002
  • 수축대는 큰 부재를 공사기간 중 일정기각 동안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부재내의 인장 응력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상당량의 건조수축이 발생하도록 하여 건조수축으로 인한 응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일시적인 조인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단계와 크리프에 의한 응력완화 효과를 고려한 건조수축응력해석 방법을 바탕으로 수축대의 효과를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해석방법을 10층 규모의 예제 구조물에 적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축대의 응력감소효과는 수축대가 설치된 층에만 적용되며 다른 층 슬래브에는 오히려 건조수축응력을 다소 증가시키게 된다. 수축대의 메움시기 변화에 따른 건조수축응력 감소효과는 콘크리트모델의 건조수축변형량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수축대를 메우기 전에 발생한 건조수축변형량이 많을수록 수축대의 응력감소효과가 증가한다.

온도구배에 의한 시험도로 줄눈콘크리트 포장의 동적응답 (Dynamic Response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in Test Road Due to Temperature Gradient)

  • 유태석;정진훈;한승환;심종성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25-32
    • /
    • 2006
  • 시험도로에서 포장구조진단기(FWD)를 사용하여 48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온도구배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의 거동을 조사하였다. 포장슬래브의 중앙부에서 측정한 최대 처짐의 경향은 대기온도 및 온도구배와 유사하였으며 오전 8시에서 12시 사이에 매우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동적지지력과 줄눈의 처짐은 대기온도 및 온도구배와 반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동적지지력은 값이 커질수록 온도구배의 영향을 심하게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탄성계수의 변화양상을 AREA법과 MET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역계산된 탄성계수는 동적지지력이 시간에 따라 나타내는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줄눈에서의 하중전달율은 다우웰 바의 잠김 작용으로 인하여 아침에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향후 정밀한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mechanical properties of clay-concrete interface with different roughness of contact surface

  • Yang, Wendong;Wang, Ling;Guo, Jingjing;Chen, Xugua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3권1호
    • /
    • pp.39-50
    • /
    • 202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shear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nterface between clay and structure and better serve the practical engineering projects, it is critical to conduct shear tests on the clay-structure interface. In this work, the direct shear test of clay-concrete slab with different joint roughness coefficient (JRC) of the interface and different normal stress is performed in the laboratory.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1) shear strength of the interface between clay and structure is greatly affected by the change of normal stress under the same condition of JRC and shear stress of the interface gradually increases with increasing normal stress; (2) there is a critical value JRCcr in the roughness coefficient of the interface; (3) the relationship between shear strength and normal stress can be described by the Mohr Coulomb failure criterion, and the cohesion and friction angle of the interface under different roughness conditions can be calculated accordingly. We find that there also exists a critical value JRCcr for cohesion and the cohesion of the interface increases first and then decreases as JRC increases. Moreover, the friction angle of the interface fluctuates with the change of JRC and it is always smaller than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clay used in this experiment; (4) the failure type of the interface of the clay-concrete slab is type I sliding failure and does not change with varying JRC when the normal stress is small enough. When the normal stress increases to a certain extent, the failure type of the interface will gradually change from shear failure to type II sliding failure with the increment of JRC.

일반강도 슬래브로 간섭받은 모서리 기둥의 유효압축강도 (Effective Compressive Strength of Corner Columns with Intervening Normal Strength Slabs)

  • 이주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22-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도 슬래브가 기둥 사이로 지나가는 형태의 모서리 기둥에 대한 유효압축강도 예측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예측식 개발을 위해서 고강도 기둥-일반강도 슬래브 접합부와 조적조 구조의 유사성을 이용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기둥 단면치수에 대한 슬래브 두께의 형상비를 고려하였다. 제안된 식에 의한 예측값과 실험값의 비교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설계기준 및 타 연구자들에 의한 제안식과 비교를 통해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제안식은 예측치에 대한 실험값의 비가 평균 1.02, 표준편차 0.15를 보여 콘크리트 구조기준 (2012)을 포함한 타 유효압축강도 예측식들에 비해 정확도 및 일관성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무근 콘크리트포장 초기균열 거동 연구 (Behaviors of Early-Age Cracks on the JCP)

  • 박대근;서영찬;안성순;김형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47-59
    • /
    • 2004
  • 콘크리트포장에 초기균열을 일으키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콘크리트 내부의 초기온도이다. 따라서 콘크리트포장의 초기균열 발생원인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초기온도를 계측하여 분석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균열이 발생하는 슬래브 장소와 초기균열의 발생시간이 초기온도패턴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였고 더불어, 줄눈부에서 발생하는 균열의 발생시점과 시공시간과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을 위해서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충주간 제 1공구 시험도로 건설공사구간 STATION 1+400$\sim$1+700" 지점에서 시험시공이 이루어졌으며, 시공 후 72시간 동안 i-Button(온도계측센서)을 이용하여 온도계측을 시행하였으며, 초기균열의 거동은 Demec gauge를 사용하였으며, 초기균열 및 줄눈부 균열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초기온도패턴과 초기균열의 분석 결과, 콘크리트의 초기온도패턴은 슬래브에 초기균열이 발생하는 위치와 시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균열균열은 온도낙차폭이 가장 큰 슬래브에서 발생하였으며, 그 시각은 슬래브의 온도가 급강하하는 새벽이었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동이 인근 줄눈부에 발생한 초기균열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줄눈부에 발생한 균열의 발생시기가 서로 다를 경우에 균열의 거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그 외에도, 오전에 시공한 슬래브에서의 균열 발생률이 오후에 시공한것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균열의 발생 간격이 큰 균열이 그렇지 않은 균열보다 더 큰 균열틈을 보였다.

  • PDF

목조건축물 구조부재의 열전도율에 따른 건물외피의 단열 성능 (Thermal Performance of Wooden Building Envelope by Thermal Conductivity of Structural Members)

  • 김석환;유슬기;서정기;김수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15-527
    • /
    • 2013
  •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에너지 성능평가 시뮬레이션 마다 상이한 재료의 열전도율로 평가 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확한 건물에너지부하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시뮬레이션에서 목조건축물의 스터드로 사용되고 있는 목재의 열전도율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벽체의 열관류율과 부재 접합부위에서의 선형열교 차이를 연구하였다. 각 시뮬레이션은 동일 수종에 대해 상이한 열전도율을 채택 후, 각 시뮬레이션에서 추출한 열전도율 간의 차이가 가장 상이한 소나무의 열전도율을 스터드에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간 지붕, 벽체, 지면 슬래브의 열관류율 중 최대오차는 $0.023W/m^2{\cdot}K$이었으며, 지붕의 서까래 접합부, 지붕-벽체 접합부, 지면슬래브-벽체 접합부 중 최대 선형열교 오차는 $0.025W/m{\cdot}K$이었다. 또한, HEAT2 정상상태전열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형열교 및 벽체의 온도변화에 대한 전열해석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구조체에 온도 분포를 선으로 표시하여 단열이 부족한 곳에서는 온도선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온도선이 급격하게 변하는 부위에서는 다른 곳보다 온도가 낮으며, 다른 구조체 부분보다 더 많은 열류가 손실됨이 확인되었다.

Seismic-resistant slim-floor beam-to-column joints: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 Don, Rafaela;Ciutina, Adrian;Vulcu, Cristian;Stratan, Aurel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7권3호
    • /
    • pp.307-321
    • /
    • 2020
  • The slim-floor solution provide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the classic slab-over-beam configuration due to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benefits. Two deficiencies can be identified in the current state-of-art: (i) the technique is limited to nonseismic applications and (ii) the lack of information on moment-resisting slim-floor beam-to-column joints. In the seismic design of framed structures, continuous beam-to-column joints are required for plastic hinges to form at the ends of the beams. The present paper proposes a slim-floor technical solution capable of expanding the current application of slim-floor joints to seismic-resistant composite construction. The proposed solution relies on a moment-resisting connection with a thick end-plate and large-diameter bolts, which are used to fulfill the required strength and stiffness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connections, while maintaining a reduced height of the configuration. Considering the proposed novel solution and the variety of parameters that could affect the behavior of the joint, experimental and numerical validations are compulsory. Consequently, the current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two slim-floor beam-to-column joint assemblie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moment-rotation curves, available rotational capacity and failure modes. The study focuses on developing reliable slim-floor beam joints that are applicable to steel building frame structures located in seismic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