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P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1초

김치유래 Lactic acid bacteria에 의한 양배추 즙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임혜은;오유리;김나영;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1-40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sakei SL1103, Lactobacillus plantarum LS5, and mixed starter). Cabbage juice was inocul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at 30 for 72 hrs.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number, pH, titratable acidity, Brix, and color during fermentation were analyzed. After fermentation for 24 hrs,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9.45 log CFU/mL). The pH of all cabbage juice also decreased to 3.88~4.19 sharply, while cabbage juice fermented by Lac. sakei SL1103 showed the highest Brix ($8.38^{\circ}Bx$).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showed the highest L value (56.83). In the sensory evaluation, cabbage juice fermented by a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s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cabbage juice fermented by mixed starter (Leu. mesenteroides, Lac. sakei SL1103 and Lac. plantarum LS5) has the highes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cabbage juice as an excellent bioactive functional food.

Posterior Floating Laminotomy as a New Decompression Technique for Posterior Cervical Spinal Fusion Surgery

  • Shin, Hong Kyung;Park, Jin 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6호
    • /
    • pp.901-912
    • /
    • 2021
  • Objective : In the cervical spine, many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developed to achieve optimal results for various disorders, including degenerative diseases, traumatic injury, and tumor. In this study, we report our experience and follow-up results with a new surgical technique for cervical spine entitled posterior floating laminotomy (PFL)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laminectomy and fusion (LF). Methods : Data for 85 patients who underwent conventional LF (n=66) or PFL (n=19) for cervical spine disorders between 2012 and 2019 were analyzed. Radi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cervical lordosis (CL), T1 slope (T1S), segmental lordosis (SL), and C2-7 sagittal vertical axis (SVA), were measured with lateral spine X-rays. Functional outcomes, comprising the modified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mJOA),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were also measured.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PFL,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was performed in a month after the surgery, and the degree of decompression was evaluated at the T2-weighted axial image, an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was conducted immediately and 1 year after the operation to evaluate the gutter fusion. Results :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 T1S, SL, and C2-7 SVA between the group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L angles. The mean difference in the preoperative SL angle compared with that at the last follow-up was -0.3° after conventional LF and 4.7° after PFL (p=0.04), respectively. mJOA, NDI, and VAS scor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p<0.05) during follow-up in both groups. In the PFL group, postoperative MRI showed sufficient decompression and postoperative CT revealed gutter fusion at 1 year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 PFL is a safe surgical method which can preserve postoperative CL and achieve good clinical outcomes.

동해안 참굴 양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ltur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in Eastern Coast of Korean)

  • 이채성;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12
    • /
    • 1997
  • 동해안에서 고품질의 굴 양식 생산과 어업인의 안정적인 소득 향상을 도모하고저 경남 하동에서 채묘한 굴을 강원도 주문진 연안에 연승수하식으로 이식한 후 1994년 8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어장환경과 수층별 성장시험을 실시하였다. 환경요인 조사결과 수온은 8.33-$25.62^{\circ}C,\;염분\;32.84-34.28\textperthousand,\;영양염류인\;인산염은\;0.09-0.40\mug$-at/l, 용존성 무기질소(DIN)는 0.32-3.12$\mu$g-at/l로 나타났다. 굴의 성장은 상층이 각고 88.7 mm, 중층 84.9 mm, 하층 78.0 mm로 하층에 비해 상층의 성장이 더 빨랐다. 수층별 각고(SH)에 대한 각장(SL)의 상대성장식은 상층 SL=0.5403 SH+8.5486 (r=0.9959), 중층 SL=0.5813 SH+3.7775 (r=0.9869), 하층 SL=0.5159 SH+6.8736 (r=0.9961) 이였다. 육질은 상층 13.24 g, 중층 12.68 g, 하층 10.96 g으로 상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층별 전중량(TW)에 대한 육중량(MW)의 상대성장식은 상층 MW=0.1933 TW+0.1051 (r=0.9973), 중층 MW=0.1915 TW+0.1894 (r=0.9984), 하층 MW=0.1650 TW+0.0558 (r=0.9983)으로 나타났다.

  • PDF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신선 채소류에 대한 살균 유효성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SlAEW) against some fresh vegetables)

  • 박기재;임정호;정희용;정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12-319
    • /
    • 2017
  • 신선 농산물의 비가열 살균에 사용되는 살균소독제는 처리시간과 살균소독제의 농도에 비선형적인 감균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적정 농도와 적정 시간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희석염산(6%, v/v)을 원료로 생성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slightly acidic electrolzyed water, SlAEW)($20{\pm}1^{\circ}C$에서의 유효염소 30 ppm, ORP $562{\pm}23mV$, pH 6.4)로 4종의 채소류(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한 미생물 저감 특성을 분석하여 비가열 살균공정설계에 필요한 살균효과를 평가하였다. SlAEW에 30분간 3회 침지하면서 핵심인자인 유효염소와 미생물군수 및 잔류 미생물군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총균수 감소는 1차 침지 초기 10분간 이루어졌으며 4종의 채소류에 생존하는 3 log CFU/g의 총균수가 침지를 통해 감소시킬 수 있는 한계값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SlAEW에 10분간 침지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는 균수는 평균적으로 약 2 log CFU/g이었다. 초기 10분후의 감소된 유효염소는 상추, 깻잎, 치콘 및 케일에 대해 각각 2.2 ppm, 2.0 ppm, 1.7 ppm 및 2.5 ppm이었고 감소된 유효염소량의 약 50-80%가 초기 10분내에 감소되었다.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배양물의 감염방어 및 제균활성 (Protection of Infection and Eradication Activity of Culture Product by Pediococcus pentosaceus CBT SL4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홍운표;정명준;김수동;오은택;소재성;정충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79-783
    • /
    • 2004
  • P. pentosaceus CBT SL4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 농축건조물은 H. pylori균에 대하여 평판 및 액상배양 조건에서 생육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사막모래쥐를 사용한 감염실험에서는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이, 보균자 인체실험에서는 제균작용이 확인되었다. 최근 3제 요법이나 신규 약물 등에 의하여 자각증세가 있는 위염증 환자에서의 제균율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전체국민의 감염율이 매우 높은 것과 식습관 등의 요인에 의하여 단체 및 사회생활을 통한 신규감염이나 재감염을 방어할 효과적 수단은 없는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섭취가 가능하고, 병원균의 내성개발 우려나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H. pylori균에 대한 감염방어 및 제균작용을 동시에 지닌 유산균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식품소재는 국민전체의 H. pylori 감염율을 낮추고, 신규감염과 재감염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한 유용한 방어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균에 대한 생육억제 현상은 모든 유산균에서 보편적인 현상은 아닌 것으로서 특정한 균주의 배양액에서만 관찰되고 있어 단순히 젖산 등 유기산에 의한 효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Gram 음성의 병원균들은 외막의 보호작용에 의하여 분자량이 큰 박테리오신 성분에 의해서는 생육이 억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저자들은 당 균주가 생성하는 H. pylori 생육 억제 물질을 산성의 저분자 물질로 추정하고, 물질 및 작용기작 규명을 위하여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분석 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완료되면 분리정제 물질을 활용한 추가적인 산업화 용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목향 헥산추출물의 LNCaP 전립선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f Saussurea lappa on the Growth of LNCaP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박소영;김은지;임도영;김정상;임순성;신현경;윤정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15
    • /
    • 2008
  • 목향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Saussurea lappa의 뿌리로서 한의학에서는 구토, 설사 및 염증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목향 추출물 및 그 성분들은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혈관생성 억제 효능 등을 지니고 있으며 위암과 대장암의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전립선암에 대한 목향의 효과는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목향이 전립선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인간의 전립선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LNCaP 세포의 증식과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향 헥산추출물을 LNCaP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sim}4$ mg/L)로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향 헥산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LNCaP 세포의 증식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poptosis는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목향 헥산추출물이 LNCaP 세포의 apoptosis 일으키는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목향 헥산추출물을 첨가하고 세포를 48시간 배양한 후 cell lysate를 얻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Apoptosis 과정에 작용하는 중요한 단백질 중 하나인 Bcl-2 family 단백질 중 pro-apoptotic Bcl-2 단백질인 Bak와 BH3 only Bcl-2 단백질인 truncated-Bid의 단백질 수준은 목향 헥산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anti-apoptotic Bcl-2 단백질인 Bcl-2, Bcl-xL 및 Mcl-1 단백질 수준은 변하지 않았다. 또한 apoptosis를 집행하는 caspase의 활성 형태인 cleaved caspase-8, -9, -7, -3의 단백질 수준이 목향 헥산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고 caspase-3의 표적 단백질 중 하나인 PARP의 불활성 형태인 cleaved PARP의 단백질 수준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은 목향 헥산 추출물이 LNCaP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것이며 목향 헥산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 활성 증가와 Bak 및 t-Bid 단백질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제시한다. 따라서 앞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의 동정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좀 더 면밀한 기전 연구가 수행된다면 목향 헥산추출물은 화학적 암예방 물질이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alassezia pachydermatis에 의한 세포 내 Tyrosinase 저해제의 생산 (Production of Intracelluar Tyrosinase Inhibitor from Malassezia pachydermatis)

  • 이성현;유형은;곽윤진;김효진;이대형;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93-102
    • /
    • 2004
  • A yeast strain SL-27 found to produce active intracellular tyrosinase inhibitor was screened from 972 kinds of yeasts. It was identified as Malassezia pachydermatis based on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Malassezia pachydermatis SL-27 were pH 7.0 and $37^{\circ}C$, respectively.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yrosinase inhibitor by Malassezia pachydermatis SL-27 were investigated. The optimal medium cimposition for tyrosinase inhibitor production was determined to be 1.0% casamino acid, 2.0% glucose, 0.1% $KH_2PO_4$, 0.05% $MgSo_{4-}7H20$ and each 0.01 of $CaCl_2$ and NaCl. Optimal initial pH and temperature for the production of tyrosinase inhibitor were pH 5.0 and $30^{\circ}C$, respectively. The maximu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84%/mL of cell-free extract was showed after 12 h of cultivation under the optimal culturing conditions.

  • PDF

Are steroids required in the treatment of ganglion impar blockade in chronic coccydynia? a prospective double-blinded clinical trial

  • Sencan, Savas;Edipoglu, Ipek Saadet;Demir, Fatma Gul Ulku;Yolcu, Gunay;Gunduz, Osman Haka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4호
    • /
    • pp.301-306
    • /
    • 2019
  • Background: Ganglion impar blockade is a reliable and effective treatment option used in patients with coccydynia. Our primary objective was to specify the role of corticosteroids in impar blockade. We compared applications of local anesthetic with the local anesthetic + corticosteroid combination in terms of treatment efficiency in patients with chronic coccydynia. Methods: Our study was a prospective randomize double-blind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fter randomization. The first group (group SL) was made up of patients where a corticosteroid + local anesthetic were used during ganglion impar blockade. In the second group (group L) we used only local anesthetic. We evaluated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Beck depression scale, which were employed before the procedure and in 1st and 3rd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Seventy-thre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e detected a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 in NRS values in the 1st month in group SL than in group L (P = 0.001). In the same way, NRS values in the 3rd month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 steroids (P = 0.0001).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Beck test, we detected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s in the 1st month (P = 0.017) and 3rd month (P = 0.021) in the SL group than in the L group. Conclusions: Ganglion impar blockade decreases pai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coccydynia and improve depression. Addition of steroids in a ganglion impar blockade is required for treatment response that should accumula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붕어 Carassius auratus와 떡붕어 Carassius cuvier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비교 연구 (Comparative Morphology and Morphometry of the Olfactory Organ of Carassius auratus and Carassius cuvieri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이진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1-17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붕어 Carassius auratus와 떡붕어 C. cuvieri 후각기관의 형태 및 형태계측학적 특징을 실체현미경과 통계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묘사하고 분석하였다. 형태에서 두 종의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반원형의 개방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하며 다수의 후판으로 이루어진 로제트를 보유한 비강 내 구조를 나타냈다. 독립표본 t-검정과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한 두 종간 체장과 후판의 통계적 분석에서 후판의 개수는 붕어(14~20)가 떡붕어(14~16)보다 더 많았고(P<0.001), 체장대비 후판의 비율 또한 붕어(12.7±0.7%)가 떡붕어(8.2±0.6)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01). 결과적으로, 주둥이 위쪽의 개방형 비공의 위치와 모양은 외부의 후각 물질의 유입을 방해하는 경계층(boundary layer)의 감소와 연관되는 형태적 적응이며 떡붕어보다 더 작은 체장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수의 붕어 후판은 생존을 위해 더 높은 후각의존도를 반영하는 형태적 전략으로 간주되며 후판 수 차이와 체장대비 비율 차이는 두 종의 새로운 분류학적 형질로 사료된다.

Enhancing Skin Delivery of 5-Aminolevulinic Acid with Transferosome Using Lyso-Phospholipid and Surfactant

  • Han, In-Sook;Kang, Min-Young;Kim, Moon-Kyu;Kim, Jung-Chul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1호
    • /
    • pp.19-24
    • /
    • 2011
  • In order to enhance the clinical efficacy of 5-aminolevulinic acid-induced photodynamic therapy (ALA-PDT), liposomal formulations using bulk hydrogenated phospholipids from soybean were introduced. Three types of lipids, S75-3, S100-3, and SL80-3 were used for formulating ALA. The pH of all the liposomal ALA is 4.5~5.5 and the size is 50~200 nm. All the liposomal formulations gave better ex vivo ALA skin penetration using nude mice skin in Franz cell than free ALA did. Among them, SL80-3 including 22% of lyso-phosphocholine achieved excellent ALA penetration when compared with those of S75-3 and S100-3 which have only 1~2% of lyso-phospholipids. S100-3 showed a little better results than S75-3 did. Addition of humectants (glycerine,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betaine) in liposomal ALA formulated with SL80-3 produced little enhancing effect in ALA penetration. On the other hand, addition of surfactants (Tween 20, 60, Brij 72, 76, 78) in same liposomal system produced significant increase in ALA penetration. Among them, transferosomal system of lyso-phospholipid, SL80-3 and the surfactant, Brij76 showed the highest ALA penetration. Furthermore, this system also established the highest in vivo PpIX biosynthesis in hairy mice skin of C57BL/6.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the transferosome of SL80-3 and Brij76 produced the best results in both ALA penetration and PpIX biosynthesis, and proved good correlation between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