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y Imag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3초

ALOS-1 L-band PALSAR와 COSMO-SkyMed X-band SAR 시계열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 변위관측 성능 비교 분석 (Comparison of Observation Performance of Urban Displacement Using ALOS-1 L-band PALSAR and COSMO-SkyMed X-band SAR Time Series Images)

  • 최정현;김상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1호
    • /
    • pp.283-29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SAR 위성(ALOS-1과 COSMO-SkyMed) 영상에 PSInSAR 기술을 적용하여 각기 다른 센서 특성에 따른 변위 관측 성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치지형도 레이어로부터 건물 레이어를 추출하여, SAR 위성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PS를 건물구조물과 지표면에서 추출되는 PS로 분류하고 각각 밀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추출된 PS의 밀도는 ALOS-1 PALSAR의 경우 $0.023point/m^2$, COSMO-SkyMed는 $0.1point/m^2$로 ALOS-1에 비해 4배 이상의 PS가 추출되었다. 또한, 건물에서의 PS 밀도뿐만 아니라 지면에서의 관측 밀도도 크게 증가하였다. ALOS-1 PALSAR의 평균 변위속도는 ${\pm}1cm/yr$ 이내의 값을 갖는 반면 COSMO-SkyMed의 경우 ${\pm}0.3cm/yr$ 이내의 매우 안정적인 값을 보이고 있다. 비록 동일 기간의 자료를 사용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량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L-band에 비해 X-band SAR 시스템의 변위관측 정밀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X-band와 L-band SAR 영상 비교분석을 통해 지반침하, 싱크홀과 같이 도심지 지표면에서 유용한 신호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에서 PS 관측 밀도 및 변위 관측 정밀도를 고려하였을 때 X-band SAR 자료가 매우 효과적이다.

DEM 품질에 따른 고해상도 SAR 영상의 지형 보정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Terrain Correction of High Resolution SAR Imagery with the Quality of DEM)

  • 이경엽;변영기;김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6_1호
    • /
    • pp.519-528
    • /
    • 2012
  • SAR는 기상상태와 태양고도 제약을 받지 않고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측면 관측 촬영방식으로 인해 고도에 의한 왜곡이 발생하여 광학영상과의 통합적 활용을 위해서는 지형 보정 작업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SAR 영상의 지형보정은 대상지역의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DEM 품질이 지형보정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5000 수치지도로부터 제작한 DEM, LiDAR DEM, ASTER GDEM, SRTM DEM을 비교 분석하여 고해상도 SAR 영상의 지형보정에 적합한 DEM을 탐색하였다. 실험데이터로는 KOMPSAT-5호와 동일한 고해상도 X-band SAR 시스템을 장착한 TerraSAR-X와 Cosmo-SkyMed 영상을 사용하였다. 지형보정 결과 평가를 위해 동일지역의 KOMPSAT-2 정사영상과의 정량적 비교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수치지도로 제작한 DEM이 가장 정확한 지형보정 결과를 보였으며 현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SRTM DEM의 경우 고해상도 SAR 영상의 지형보정에는 부적합 하였다.

SMALL-SCALE STRUCTURE OF THE ZODIACAL DUST CLOUD OBSERVED IN FAR-INFRARED WITH AKARI

  • Ootsubo, Takafumi;Doi, Yasuo;Takita, Satoshi;Matsuura, Shuji;Kawada, Mitsunobu;Nakagawa, Takao;Arimatsu, Ko;Tanaka, Masahiro;Kondo, Toru;Ishihara, Daisuke;Usui, Fumihiko;Hattori, Makoto
    • 천문학논총
    • /
    • 제32권1호
    • /
    • pp.63-65
    • /
    • 2017
  • The zodiacal light emission is the thermal emission from the interplanetary dust and the dominant diffuse radiation in the mid- to far-infrared wavelength region. Even in the far-infrared, the contribution of the zodiacal emission is not negligible at the region near the ecliptic plane. The AKARI far-infrared all-sky survey covered 97% of the whole sky in four photometric bands with band central wavelengths of 65, 90, 140, and $160{\mu}m$. AKARI detected the small-scale structure of the zodiacal dust cloud, such as the asteroidal dust bands and the circumsolar ring, in far-infrared wavelength region. Although the most part of the zodiacal light structure in the AKARI far-infrared all-sky image can be well reproduced with the DIRBE zodiacal light model, there are discrepancies in the small-scale structures. In particular, the intensity and the ecliptic latitude of the peak position of the asteroidal dust bands cannot be reproduced precisely with the DIRBE models. The AKARI observational data during more than one year has advantages over the 10-month DIRBE data in modeling the full-sky zodiacal dust cloud. The resulting small-scale zodiacal light structure template has been used to subtract the zodiacal light from the AKARI all-sky maps.

Observations of the Aurora by Visible All-Sky Camera at Jang Bogo Station, Antarctica

  • Jee, Geonhwa;Ham, Young-Bae;Choi, Yoonseung;Kim, Eunsol;Lee, Changsup;Kwon, Hyuckjin;Trondsen, Trond S.;Kim, Ji Eun;Kim, Jeong-Ha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8권4호
    • /
    • pp.203-215
    • /
    • 2021
  • The auroral observation has been started at Jang Bogo Station (JBS), Antarctica by using a visible All-sky camera (v-ASC) in 2018 to routinely monitor the aurora in association with the simultaneous observations of the ionosphere, thermosphere and magnetosphere at the station. In this article, the auroral observations are introduced with the analysis procedure to recognize the aurora from the v-ASC image data and to compute the auroral occurrences and the initial results on their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are presented. The auroral occurrences are mostly confined to the northern horizon in the evening sector and extend to the zenith from the northwest to cover almost the entire sky disk over JBS at around 08 MLT (magnetic local time; 03 LT) and then retract to the northeast in the morning sector. At near the magnetic local noon, the occurrences are horizontal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sky disk, which shows the auroral occurrences in the cusp region. The results of the auroral occurrences indicate that JBS is located most of the time in the polar cap near the poleward boundary of the auroral oval in the nightside and approaches closer to the oval in the morning sector. At around 08 MLT (03 LT), JBS is located within the auroral oval and then moves away from it, finally being located in the cusp region at the magnetic local noon, which indicates that the location of JBS turns out to be ideal to investigate the variabilities of the poleward boundary of the auroral oval from long-term observations of the auroral occurrences. The future plan for the ground auroral observations near JBS is presented.

고해상도 광학영상과 SAR 영상 간 정합 기법 (Registration Method between High Resolution Optical and SAR Images)

  • 전형주;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39-747
    • /
    • 2018
  • 다중센서 위성영상 간 통합 분석 및 융합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중센서 영상 간 정합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정합 기법으로는 SIFT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같은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그러나, 광학영상과 SAR (Synthetic Aperture Radar)영상은 취득 시 센서 자세와 방사 특성의 상이함으로 영상 간 분광적인 특성이 비선형성을 이뤄 기존 기법을 적용하기에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특징기반 정합기법인 SAR-SIFT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형상 서술자 벡터 DLSS (Dense Local Self-Similarity)를 결합하여 개선된 영상 정합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실험 지역은 대전 일대에서 촬영된 KOMPSAT-2 영상과 Cosmo-SkyMed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제안 기법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특징점 및 정합쌍 추출에 대해 대표적인 기존 기법인 SIFT와 SAR-SIFT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 기법은 기존 기법들과 다르게 두 실험 지역에서 참정합쌍을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정합쌍을 통한 정합 결과 정성적으로 우수하게 정합되었으며, 정량적으로도 두 실험 지역에서 각각 RMSE (Root Mean Square Error) 1.66 m, 2.65 m로 우수한 정합 결과를 보였다.

COSMO-SkyMed SAR 영상을 이용한 동남극 Campbell 빙하의 연간 면적변화 및 유속 추정 (Estimation of Annual Variation of Ice Extent and Flow Velocity of Campbell Glacier in East Antarctica Using COSMO-SkyMed SAR Images)

  • 한향선;지영훈;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5-55
    • /
    • 2013
  • 동남극의 Campbell 빙하는 테라노바 만으로 유출되는 주요한 빙하 중 하나이다. Campbell 빙하는 동남극 빙상의 질량 균형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면적 및 흐름속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Campbell 빙하에 대한 연구는 1990년 이후로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2010년 6월부터 2012년 1월 사이에 Campbell 빙하가 촬영된 59장의 COSMO-SkyMed SAR 영상을 획득하였다. 디지타이징 방법과 영상정합에 의한 변위추적 기법을 적용하여 Campbell Glacier Tongue의 면적과 Campbell 빙하의 흐름속도를 추정하였다. Campbell Glacier Tongue의 면적은 여름철에 얼음의 붕괴로 인해 감소하고 겨울철에 증가하지만 증감의 폭이 크지 않았고, 평균 75.5 $km^2$의 면적을 유지하였다. Campbell Glacier Tongue의 유출량은 $0.58{\pm}0.12km^3/yr$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1989년에 비해 증가한 것이다. Campbell Glacier Tongue의 흐름속도는 181-268 m/yr로서 1988-1989년의 흐름속도에 비해 빠르며, 이는 빙하의 유출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도시하천의 시각적 특성 및 선호요인 분석 -대전광역시 갑천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s of an Urban River - With a case of Gapche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정대영;허성수;신언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2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the physical factors of landscape would affect the preference for the Gapche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Gapcheon was divided in three sections of the outskirts, Expopark areas, and residential complexes. After selecting seven landscape points where the sections could be expressed best, photographs were taken both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direction. The questionnaire used to evaluate the river's landscape included 20 items of adverbs that described the form of the river and one item to rate the overall preference. By analyzing the 14 pictures taken, the occupancy rates of the landscape elements in terms of the sky, river, vegetation of the river, mountain, and artificial structures. Imag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of the sec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Gapcheon, and the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hysical factors influencing the preference of the landscap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actors that compose the visual characters of urban river were classified be the aesthetic factor, the emotional factor and the situation factor. These 3 factors showed a 65.8% total variance. The river landscape with the biggest preference was the one from the Daedeok Grand Bridge as the occupancy area of the mountain, sky, and river was large and distributed evenly and the vegetation of the river was in a good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After carrying out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isual preference of Gapcheon and the physical factors of landscape(the sky, river, vegetation of the river, mountain, and artificial structure), the following regressions model was made : PRE=5.906+0.017(river)-0.053(artificial structure)-0.060(vegetation of the river) (R-square=0.48).

THE CURRENT STATUS OF THE AKARI MID-INFRARED ALL-SKY DIFFUSE MAPS

  • Amatsutsu, Tomoya;Ishihara, Daisuke;Kondo, Toru;Kaneda, Hidehiro;Oyabu, Shinki;Yamagishi, Mitsuyoshi;Nakamichi, Keichiro;Sano, Hidetoshi;Onaka, Takashi
    • 천문학논총
    • /
    • 제32권1호
    • /
    • pp.25-27
    • /
    • 2017
  • We are creating all-sky diffuse maps from the AKARI mid-infrared survey data with the two photometric bands centered at wavelengths of 9 and $18{\mu}m$. The AKARI mid-infrared diffuse maps achieve higher spatial resolution and higher sensitivity than the IRAS maps. In particular, the $9{\mu}m$ data are unique resources as an all-sky tracer of the emiss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However, the original data suffer many artifacts. Thus, we have been developing correction methods. Among them, we have recently improved correction methods for the non-linearity and the reset anomaly of the detector response. These corrections successfully reduce the artifact level down to $0.1MJy\;sr^{-1}$ on average, which is essential for discussion on faint extended emission (e.g., the Galactic PAH emission). We have also made progress in the subtraction of the scattered light caused in the camera optics. We plan to release the improved diffuse maps to the public within a year.

광학기법을 이용한 백색 굴뚝연기 혼탁도 측정의 설계 (Design of Turbidity Measurement of White Plume using Optical Method)

  • 손현근;반재훈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95-1200
    • /
    • 2020
  • 굴뚝연기의 혼탁도 측정하는 DOM(: Digital Optical Method)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측정하고자하는 구역과 그 대조 구역을 설정하여 혼탁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흐린 하늘에서는 구름과 백색 굴뚝연기가 구분되지 않아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경하늘을 주기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고 유형을 분류하여 대표할 수 있는 배경하늘 유형 모델을 개발한다. 또한 개발된 배경하늘 유형 모델을 기반으로 백연 이미지 보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필터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하여 우수성을 입증한다.

Variational Image Dehazing using a Fuzzy Membership Function

  • Park, Hasil;Park, Jinho;Kim, Heegwang;Paik, Joonki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6권2호
    • /
    • pp.85-92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dehazing method based on a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variational method.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hree steps: i) estimate transmission through a pixel-based operation using a fuzzy membership function, ii) refine the transmission using an L1-norm-based regularization method, and iii) obtain the result of haze removal based on a hazy image formation model using the refined transmission. In order to prevent color distortion of the sky region seen in conventional methods, we use a trapezoid-type fuzzy membership function. The proposed method acquires high-quality images without halo artifacts and loss of color contra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