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response

검색결과 744건 처리시간 0.027초

멜라닌 세포에서 홍차 열수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능과 작용기전 (Inhibitory Efficacy of Black Tea Water Extract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nd Its Action Mechanisms)

  • 최소영;김영철;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3호
    • /
    • pp.169-177
    • /
    • 2011
  • 홍차 열수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능과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in vitro 실험으로 항산화능을 확인한 후, melan-a 세포를 사용하여 멜라닌 합성 저해능, tyrosinase 활성 저해능 및 발현저해능 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항산화능 실험에서 홍차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2, 87 mg/g으로 양성대조군인 알부틴(25, 11 mg/g)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 역시 800 ${\mu}g$/mL에서 82%로 알부틴(48%)보다 높았다. (2) Melan-a 세포 실험에서 홍차 열수추출물은 수지상돌기의 발달과 멜라닌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고, 멜라닌 합성 저해능과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이 알부틴보다 유의하게 (p<0.001) 높았다. (3) Tyrosinase 단백질 발현 저해능 실험에서 알부틴은 발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홍차 열수추출물은 발현을 유의하게 (p<0.001) 저해하였다. (4) 유전자 발현 저해능 실험에서 알부틴과 홍차 열수추출물 모두 tyrosinase, TRP-1과 TRP-2의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홍차 열수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능과 함께 멜라닌 합성 저해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tyrosinase의 생합성을 저해시키기 보다는 tyrosinase 단백질 발현량을 줄이고 tyrosinase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울릉도 자생식물의 세포주 개발 및 피부세포 효능 (Efficacy of callus induced from Ullengdo niche plants for skin protection)

  • 최윤희;정해수;조문진;송미영;서효현;모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070-5077
    • /
    • 2014
  • 세계 각국은 자국의 자생식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활용에 집중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자생식물을 활용한 화장품 원료 소재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유의 기후와 환경에 의해 울릉도 특유의 식물분포를 갖는 울릉도 자생식물 후보군을 선정하고 이를 소재로 개발하여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섬초롱, 술패랭이, 해국에서 캘러스를 유도하고 대량배양 하였다. 대량배양하여 얻은 울릉도 자생식물 캘러스를 열수 및 에탄올 추출하여 COX-2 발현 비교, collagen 합성능 측정, wound healing 등 다양한 효능을 시험하였다. HPLC 분석을 통하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에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효능평가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술패랭이, 해국 캘러스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항염 관련 단백질인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모든 에탄올추출물은 wound healing assay를 통해 상처 치유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울릉도 자생식물 캘러스 추출물이 자연친화적, 친환경적이며, 또한 국내 자생하는 식물을 활용한 소재로써 항염 및 상처치료 관련 제품에 기여할 것이다.

비선형 하중전이법에 의한 점토 및 모래층에서 파일의 지지력 예측 (Axial Load Capacity Prediction of Single Piles in Clay and Sand Layers Using Nonlinear Load Transfer Curves)

  • 김형주;미션호세;송용선;반재홍;백필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45-5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지반 및 구조물의 문제점을 이상화 하는데 필요한 응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즉 도스용 프로그램을 윈도우상에서 OpenSees 말뚝의 정적 지지지력과 침하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윈도우상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 처리와 후 처리 및 경제조건 처리가 가능하도록 OpenSees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지력 분석은 유한요소 해석과 합성된 하중전이함수에 근거한 수치해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흙-말뚝의 상호작용에 의한 마찰력과 선단 지지력을 각각 모델링하기 위해 경험적인 비선형 T-z과 Q-z곡선에 의한 하중전이법을 이용하여 하중재하에 따른 침하조건에서의 흙-말뚝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예측한 정적 지지력과 침하량은 문헌에 의한 정적재하시험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화상 자동차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돌발 상황 발생 시 젊은 남녀 운전자의 운전 수행 능력과 생리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s of Driving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Between Young Male and Female Drivers for Unexpected Situation Using a Ggraphic Vehicle Ssimulator)

  • 민병찬;강진규;민수영;이수정;김효성;양재웅;최미현;정순철;임대운;이정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8-11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driving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responses between young male and female drivers for unexpected situation using a graphic vehicle simulator. The participants included 20 college graduates; 23 males aged $24.3\;{\pm}\;1.4$ with $2.3\;{\pm}\;1.5$ 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nd 23 females aged $23.2\;{\pm}\;2.1$ with $2.2\;{\pm}\;1.7$ years of driving experience.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drive the vehicle simulator which was programed unexpected situation for two minutes. The physiological measurements used were autonomic responses of electrocardiogram (ECG) and skin conductance response (SCR), and the driving performance measurements used were the reaction time of break and the rate of collision for unexpected sit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drivers in the reaction time of break and the rate of collision for unexpected situation. Averaged R-R interval decreased and LF IHF and SCL amplitude increased for unexpected situ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averaged R-R interval and LF/HF for unexpected situation. On the other hand, SCL amplitude of female was higher than male. Rising time to maximum SCL amplitude of female was longer than male.

DNCB로 유도된 NC/Nga 아토피피부염마우스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 활성에 따른 모발세포의 초기세포사멸 연구 (Acceleration of DNCB-induced Early-apoptosis via Activation of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in the Hair Root of NC/Nga Mice)

  • 박건혁;장은영;김성배;한은영;김용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287
    • /
    • 2017
  • 피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헤어조절 및 사이클에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모근세포는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피질관련호르몬과 세포손상 및 사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실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보고에 의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가 증가되면 모근세포의 마이토콘드리아 활성을 저해하여 초기단계의 세포사멸을 가져올 수 있다고 임상학적으로 보고된바가 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와 부신피질관련 호르몬의 양을 증가시키며, 이는 모발의 outer epithelial sheath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의 변화는 마이토콘드리아 손상을 초래하여 초기단계세포손상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스트레스가 피부의 모근세포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는 NC/Nga 마우스에 2,4-dinitrochlorobenzene (DNCB)로 아토피피부염을 유발 후, 피부 스트레스 생성에 의한 초기단계 세포손상을 스트레스관련 인자,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그 관련 인자, annexin V 및 마이토콘드리아 반응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토피피부염에 의한 스트레스는 체내의 부신피질 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관련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모근세포에 영향을 주어 초기단계세포사멸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토피피부염관련 헤어손상을 일으킨다는 중요한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며,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조절관련 의약품 및 화장품 등과 같은 보조적 요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상고실 진주종의 형성에 관하여 (Concerning the Formation of the Acquired Cholesteatoma)

  • 장인원;이종원;정종진;조용범;국태진;이정헌;염시경;김종욱;조재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9.3-40
    • /
    • 1981
  • 후천적진주종의 형성에 있어서 고막의 Shrapnell부분과 외이도후상부 상피의 상고 실내 침입 및 고막 중심성천공의 margin으로부터 상피가 침입하는 이른바 immigration설과 이밖에 metaplasia설이 있다. 임상적으로 진주종이 상고실에 형성된다는 사실은 알려져 왔으나 그 발생기전에 대한 해명은 충분하지 않는 실정이다. 연자 등은 최근에 중이수술을 시행한 진주종 170례에 대하여 검토를 가하였다. 수술소견에 있어서 진주종의 primary focus가 상고실에 있을 때 Shrapnell부위의 marginal 및 central perforation 2가지 형의 천공이 관찰되었으며 Prussak's space안으로 retraction 및 Rivinus notch의 골벽결손 등을 볼 수 있었고 진주종이 있었던 36례중 Shrapnell부위의 중심성천공을 동반한 경우 5례, Rivinus notch의 골벽이 결손된 경우와 Shrapnell부위의 후상부 marginal perforation이 있고 진주종을 형성한 경우 21례, 그중 Shrapnell부위의 중심성천공을 동반한 경우 3례였다. 결론적으로 상고실 진주종이 잘 생기는 이유는 1) 상고실은 염증성분필물을 배설하는 구씨관입구와의 거리가 있고 2) 고막 Shrapnell부위의 고유층은 collagen fiber가 긴장부에 비해서 엷고 탄력성섬유가 많기 때문에 표피층의 각화증식을 일으킬 경우 Prussak's space내로 retraction을 일으키기 쉽다. 3) Shrapnell부위의 상부에 위치한 Rivinus notch에 부착한 epidermis는 각화증식에 의하여 Rivinus notch margin과 여기에 부착하고 있는 고막연의 margin사이를 파괴하여 상고실로 상피가 침입하게 된다.

  • PDF

톳 분획물이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의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Fractions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최은옥;김향숙;한민호;최영현;박철;김병우;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95-15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톳 분획물의 미백효과 및 그에 따른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위하여 톳 분획물이 ${\alpha}$-MSH에 의해 인위적으로 유발된 melanogenesis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고, 이때 MITF, TRP1, TRP2, tyrosinase 등과 같은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톳 분획물 처리가 B16F10 mouse melanoma cell의 멜라닌의 생성량과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butanol fraction (BFHF) 처리군과 water fraction (WFHF) 처리군을 제외한 ethyl extract (EEHF) 처리군, dichlorimethane fraction (CFHF ) 처리군, ethyl acetate fraction (EAFHF) 처리군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량과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히 EEHF 처리군과 CFHF 처리군은 50 ${\mu}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량을 40.5%, 33.2% 감소시켰으며, tyrosinase 활성도 5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3.3%, 54.1% 감소시켰다. 또한 EEHF, CFHF, EAFHF 처리군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톳 분획물 중 특히 EEHF 처리군과 CFHF 처리군이 B16F10 mouse melanoma cell에서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므로 향후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정상개와 Malassezia 외이염을 가진 개에 있어서 Malassezia pachydermatis 추출물의 즉시형 과민반응 (Type-I Hypersensitivity to Malassezia pachydermatis Extracts in Healthy Dogs and Dogs with Malasseza Otitis Externa)

  • 김영섭;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8-93
    • /
    • 2007
  • Malassezia pachydermatis 추출물의 피내접종시 과민반응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개와 M. pachydermatis 외이염에 이환된 개를 대상으로 M. pachydermatis 추출물의 피내접종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을 통해 M. pachydermatis 분자량 조사를 통해 $43{\sim}63kDa$을 포함하고 있는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Malassezia 외이염에 감염된 군에서의 평균 팽진의 직경은 20, 2, 0.2, and $0.02{\mu}g/ml$을 피내로 접종했을 때, 각각 $13.36{\pm}0.67,\;5.33{\pm}0.67,\;5.47{\pm}0.82$$5.07{\pm}0.64$을 나타내었으며, 팽진의 두께는 각각 20, 2, 0.2, and $0.02{\mu}g/ml$에서 $6.44{\pm}0.40,\;3.86{\pm}0.35,\;2.64{\pm}0.36$$2.60{\pm}0.44$를 나타내었다. 통계학적으로 건강한 군과 외이염에 이환된 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p<0.01). 더구나$20{\mu}g/ml$ 을 주입한 군에서 이 차이는 더욱 두드러져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M. pachydermatis 유래 항원을 개의 피내에 접종했을 때, 즉시 팽진반응을 유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효모균에 대한 과민증은 즉시형 피부과민반응을 보이는 개, 특히 Malassezia otitis에 감염된 개에서 임상증상의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2, 0.2, $0.02{\mu}g/ml$의 농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즉시형 과민반응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일정한 역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 모낭충증에 있어서 약침과 기존 치료의 병용 : 증례 보고 (Injection-Acupuncture Combined by Conventional Treatment in Canine Demodicosis : Case Report)

  • 전형규;한지원;오현욱;이현화;박배근;박성준;조성환;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32-436
    • /
    • 2007
  • 개 모낭충증의 새로운 치료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항생제의 약침과 일반 치료의 병행을 이용한 치료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낭충으로 진단된 개 3두를 이용하였다. Enrofloxacin의 약침을 폐수(BL13) 위중(BL40), 대추(GV14), 족삼리(ST36), 합곡(LI04), 곡지(LI11) 및 삼음교(SP06)의 혈위에 각각 5주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 치료법인 invermectin과 0.05% amitraz 약욕을 5주간 추가로 실시하였다. 소양증, 찰과상, 홍반 및 탈모와 같은 임상증상은 약침과 일반치료에 의해서 치료 전에 비하여 현저하게 완화되었다. Case 1은 4주 후에 완치되었고, case 2는 5주 후에 증상이 약간 잔존하였으며, 그리고 case 3은 5주 후에 완치되었다. 혈중 백혈구 수는 치료와 더불어 모든 케이스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호중구/림프구 비율은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5주째 병리조직 검사 소견상에서 case 1과 case 3은 뚜렷한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case 2는 경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개 모낭충에 이환된 본 환축들은 항생제 약침과 일반 치료법의 병행으로 양호한 치료반응을 나타낸 증례이었다.

Anthracycline계 항암성 항생물질 DA-125의 Beagle dog에 대한 26주 반복정맥투여독성시험 (Toxicity Studies of DA-l25, an Anthracycline Antitumor Antibiotic : Intravenous Repeated Doses for 26 Weeks in Beagle Dogs)

  • 차신우;박종일;정태천;신호철;하창수;김형진;양중익;한상섭;노정구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4권2호
    • /
    • pp.127-137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DA-125 in beagle dogs, an anthracycline antitumor antibiotic. The dogs were administered DA-125 i.v. at 0.0023, 0.0375, 0.15 and 0.6 mg/kg/day, 6 days/week for 26 weeks. At 0.6 mg/kg, all male and female dogs were either sacrificed moribundly or dead during the 26-week treatment. The dogs revealed inactivity, salivation, dark bloody discharge, swelling of the subcutaneous injection site, abscess, and ulceration in the abdominal wall and legs. At 0.15 mg/kg, anorexia, salivation, and swelling of the injection site were observed. The food consumption was decreased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at 6 and 12 weeks treatment in males of 7.6 mg/kg. At 0.0375, 0.15 and 0.6 mg/kg, body weigh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a dose-related fashion after 17 weeks treatment. Total white blood cell counts for male dogs at 0.6 mg/kg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dogs after 13 weeks treatment, which appeared mainly due to decreased neutrophils. At 0.15 mg/kg, testicular atrophy was found in all males by gross pathology and the testicular w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males. Microscopically, the testis showed moderate atrophy of the seminiferous tubules and marked decrease in number of spermatozoa in the epididymal tubules. At 0.6 mg/kg, petechia or echymotic hemorrhage was observed in gastrointestinal tract, heart, lungs, and other organs at the necropsy, Marked atrophy of thymus were observed in both males and females. In addition, severe testicular atrophy was noted in all males. Microscopically, gastrointestinal tract showed hemorrhage, epithelial denudation, hypermucus secretion, and atrophy of intestinal villi. Seminiferous tubules of the atrophic testis were lined with Sertoli cells only and devoid of germ cells. Severe oligospermia or aspermia was present in the epididymal tubules. Bone marrow showed marked depletion of hemopoietic cells. In addition, marked atrophy was found in the lymphoid tissue of gastrointestinal tract, various Iymph nodes, and thymus. Injection sites showed marked inflammatory response with necrosis, necrotizing vasculitis, thrombus formation, and ulceration in the skin. According to the present results, no observed effect level appeared to be 0.0375 mg/kg. At 0.15 mg/kg, testis was a target organ, while at 0.6 mg/kg hemopoietic tissue, gastrointestinal tract, and testis were considered to be target organs. At 0.6 mg/kg the test compound seems to inflict a damage on the blood vessels causing hemorrhage in the various organs and tiss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