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Segmenta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2초

딥러닝을 활용한 피부 발적의 경계 판별 (Detecting Boundary of Erythema Using Deep Learning)

  • 권관영;김종훈;김영재;이상민;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492-1499
    • /
    • 2021
  • Skin prick test is widely used in diagnosing allergic sensitization to common inhalant or food allergens, in which positivities are manually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areas or mean diameters of wheals and erythemas provoked by allergens pricked into patients' skin. In this work, we propose a segmentation algorithm over U-Net, one of the FCN models of deep learning, to help us more objectively grasp the erythema boundarie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automatic segmentation of the test data to U-Net with the results of manual segmentation. As a result, the average Dice coefficient value was 94.93%, the average precision and sensitivity value was 95.19% and 95.24% respectively. We fin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effectively discriminates the skin's erythema boundaries. We expect this algorithm to play an auxiliary role in skin prick test in real clinical trials in the future.

Skin Segmentation Using YUV and RGB Color Spaces

  • Al-Tairi, Zaher Hamid;Rahmat, Rahmita Wirza;Saripan, M. Iqbal;Sulaiman, Puteri Suhaiz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0권2호
    • /
    • pp.283-299
    • /
    • 2014
  • Skin detection is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face recognition, hand tracking,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re are many skin color detection algorithms that are used to extract human skin color regions that are based on the thresholding technique since it is simple and fast for computation. The efficiency of each color space depends on its robustness to the change in lighting and the ability to distinguish skin color pixels in images that have a complex background. For more accurate skin detection, we are proposing a new threshold based on RGB and YUV color spaces. The proposed approach starts by converting the RGB color space to the YUV color model. Then it separates the Y channel, which represents the intensity of the color model from the U and V channels to eliminate the effects of luminance. After that the threshold values are selected based on the testing of the boundary of skin colors with the help of the color histogram. Finally, the threshold was applied to the input image to extract skin parts. The detected skin regions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to the actual skin parts in the input images to measure the accuracy and to compare the results of our threshold to the results of other's thresholds to prove the efficiency of our approac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proposed threshold is more robust in terms of dealing with the complex background and light conditions than others.

피부진단을 위한 딥러닝 기반 피부 영상에서의 자동 주름 추출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Wrinkles Segmentation on Microscope Skin Images for Skin Diagnosis)

  • 최현영;고재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48-154
    • /
    • 2020
  • 주름은 피부의 노화도를 알 수 있는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영상처리기반 주름검출은 다양한 피부 영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 특히, 주름이 선명하지 않고 주변 피부와 유사한 경우 주름추출 성능은 급격히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미경 피부 영상에서 주름추출을 위해 딥러닝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현미경 영상은 광각렌즈를 탑재하므로 영상 가장자리 영역의 밝기가 어둡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 영상의 밝기를 추정하여 보정 한다. 또한, 주름추출에 적합한 의미분할 네트워크의 구조를 적용한다. 제안방법은 연구실에서 수집한 피부 영상에 대한 테스트 실험에서 99.6%의 정확도를 획득하였다.

피부색 및 깊이정보를 이용한 영역채움 기반 손 분리 기법 (Region-growing based Hand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Skin Color and Depth Information)

  • 서종훈;채승호;심진욱;김하영;한탁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031-1043
    • /
    • 2013
  • 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손을 분리하는 기술은 손 인식 연구에서 가장 먼저 수행되는 기술이며, 분리된 결과 영상의 성능에 따라 이후의 인식 단계의 성능이 결정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기존의 연구는 조명 및 배경의 변화에 취약하거나 다수의 사용자와 상호작용에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과 깊이 영상을 혼용하여 손을 분리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먼저 입력된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복잡한 환경에서도 정확하게 영역 채움을 위한 초기 위치를 설정하였다. 이 위치를 기준으로 영역 채움 연산을 위한 한계 영역을 재설정하여 조명 변화로 침식된 영역을 포함하도록 하고, 깊이 영상에서 영역 채움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조명과 환경의 변화에도 강인하게 손의 영역을 분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렇게 분리된 손의 영역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피부 모델을 학습함으로써 조명 환경에 적응적으로 피부 모델을 갱신하여 보다 강인한 인식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다양한 조명 및 배경 환경에서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 실험을 수행하여 강인한 인식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역광 환경과 같이 조명 변화가 극심한 환경에서 강인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U-Net 기반 이미지 분할 및 병변 영역 식별을 활용한 반려견 피부질환 검출 모바일 앱 (Mobile App for Detecting Canine Skin Diseases Using U-Net Image Segmentation)

  • 김보경;변재연;차경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25-34
    • /
    • 2024
  • 본 논문은 반려견의 피부질환 발병 여부와 부위를 추론하기 위해서 딥러닝 기반 U-Net 모델을 학습하여 이미지 촬영을 통한 반려견의 피부병 발병 여부와 추론되는 병명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U-Net은 의료영상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역 분할(Image Segmentation) 기반 학습 모델로써 폴리곤 형태의 특정 이미지 영역을 구분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반려견의 피부 이미지에서 병변 영역 식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려견의 6가지 주요 피부질환을 클래스로 정의하고 이를 분별하는 U-Net 모델을 학습시켰다. 이를 모바일 앱으로 구현하여 간단한 카메라 촬영으로 병변 분석과 예측 작업을 수행하여 결과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서 반려인들은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관찰하고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딥러닝을 통해서 반려동물 건강관리에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다.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능형 비디오 영상 분할 시스템 (An Intelligent Video Image Segmentation System using Watershed Algorithm)

  • 양황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309-3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상에서의 지능형 감시 카메라 시스템(Intelligent Security Camera: ISC)을 제안한다. ISC 방법은 워터쉐드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카메라에 입력된 영상을 분할하는 단계와 skin-color model을 사용하여 얼굴의 후보지역을 탐지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하여 얼굴 후보영역에서 얼굴을 검증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Skin-color Model을 이용하여 찾아진 얼굴후보 영역으로부터 웨이블렛 변환계수들을 추출한다. 웨이블렛 변환계수들을 SVM의 입력으로 하여 실제 얼굴영역을 검증한다. SVM의 입력으로 실험결과에서 제안된 방법이 감시시스템, 화상회의 시스템과 같은 얼굴을 인식 추적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피부 영역 분할과 신경 회로망에 기반한 칼라 영상에서 얼굴 검출 (Face Detection in Color Images Based on Skin Region Segmentation and Neural Network)

  • 이영숙;김영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1-11
    • /
    • 2006
  • 많은 연구 데모용 프로그램들과 상업적 응용물들이 얼굴 검출과 얼굴 인식 시스템들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다. 인간의 얼굴 검출은 접근 제어 및 비디오 감시 시스템, 휴먼 컴퓨터 인터페이스, 신원 인증 등과 같은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스킨 영역 분할 후 배경과 연결된 얼굴, 스킨 칼라로 인한 연결된 얼굴들, 여러 개의 작은 부분들로 분할된 하나의 얼굴과 같은 몇 가지 특별한 문제점들이 있다. 많은 얼굴 검출 기법들이 첫 번째 와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하도록 허락되어진다. 그러나 세 번째 문제에서 다른 조명 효과들로 인해서 여러 영역들로 분할된 하나의 얼굴이 검출되어지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존 영역 분할 알고리즘은 이용될 수 없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효율적인 수정된 스킨 분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전체 영상에 대해 피부 영역을 검출한 후 피부 분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얼굴 후보 영역들을 생성한다. 각 얼굴 피부 후보 영역에 대해 그림자 등의 조명 효과로 인해 한 명의 얼굴이 여러 영역으로 분할되는 경우를 처리하기 위해 동차적 영역간의 인접성을 활용하여 하나의 큰 영역으로 만드는 병합 작업을 시도하였다. 다른 크기의 얼굴 검출을 위해 다양한 가변 크기의 탐색 윈도우와 선택된 각 얼굴 후보 영역에 얼굴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역전파 알고리즘에 기반한 얼굴 검출 분류기를 사용하였다.

  • PDF

A Robust Face Detection Method Based on Skin Color and Edges

  • Ghimire, Deepak;Lee, Joonwhoa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9권1호
    • /
    • pp.141-156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human faces in color images. Many existing systems use a window-based classifier that scans the entire image for the presence of the human face and such systems suffers from scale variation, pose variation, illumination changes, etc. Here, we propose a lighting insensitive face detection method based upon the edge and skin tone information of the input color image. First, image enhancement is performed, especially if the image is acquired from an unconstrained illumination condition. Next, skin segmentation in YCbCr and RGB space is conducted. The result of skin segmentation is refined using the skin tone percentage index method. The edges of the input image are combined with the skin tone image to separate all non-face regions from candidate faces. Candidate verification using primitive shape features of the face is applied to decide which of the candidate regions corresponds to a face. The advantage of the proposed method is that it can detect faces that are of different sizes, in different poses, and that are making different expressions under unconstrained illumination conditions.

안면 백반증 치료 평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자동화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Deep Learning-Based Automated Analysis System for Facial Vitiligo Treatment Evaluation)

  • 이세나;허연우;이솔암;박성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5-100
    • /
    • 2024
  • Vitiligo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destruction or dysfunction of melanin-producing cells in the skin, resulting in a loss of skin pigmentation. Facial vitiligo, specifically affecting the face, significantly impacts patients' appearance, thereby diminishing their quality of life. Evaluating the efficacy of facial vitiligo treatment typically relies on subjective assessments, such as the Facial Vitiligo Area Scoring Index (F-VASI), which can be time-consuming and subjective due to its reliance on clinical observations like lesion shape and distribution. Various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segmenting vitiligo areas in facial images, showing promising results. However, these methods often struggle to accurately segment vitiligo lesions irregularly distributed across the face. Therefore, our study introduces a framework aimed at improving the segmentation of vitiligo lesions on the face and providing an evaluation of vitiligo lesions. Our framework for facial vitiligo segmentation and lesion evaluation consists of three main steps. Firstly, we perform face detection to minimize background areas and identify the face area of interest using high-quality ultraviolet photographs. Secondly, we extract facial area masks and vitiligo lesion masks using a semantic segmentation network-based approach with the generated dataset. Thirdly, we automatically calculate the vitiligo area relative to the facial area.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facial and vitiligo lesion segmentation using an independent test dataset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ining and validation, showing excellent results. The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efficacy of vitiligo.

Automatic Segmentation of Skin and Bone in CT Images using Iterative Thresholding and Morphological Image Processing

  • Kang, Ho Chul;Shin, Yeong-Gil;Lee, Jeongjin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3권4호
    • /
    • pp.191-194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fast and efficient method to extract the skin and bone automatically in CT images. First, the images were smoothed by applying an anisotropic diffusion filter to remove noise. The whole body was then detected by thresholding, which was set automatically. In addition, the contour of the skin was segmented using morphological operators and connected component labeling (CCL). Finally, the bone was extracted by iterative thresho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