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Barrier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HY7714 on Epidermal Hydration in Ultraviolet B-Irradiated Hairless Mice

  • Ra, Jehyeon;Lee, Dong Eun;Kim, Sung Hwan;Jeong, Ji-Woong;Ku, Hyung Keun;Kim, Tae-Youl;Choi, Il-Dong;Jeung, Woonhee;Sim, Jae-Hun;Ahn, Young-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2호
    • /
    • pp.1736-1743
    • /
    • 2014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HY7714 on skin hydra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nd in hairless mice. In Hs68 cells, L. plantarum HY7714 not only increased the serine palmitoyltransferase (SPT) mRNA level, but also decreased the ceramidase mRNA level. In order to confirm the hydrating effects of L. plantarum HY7714 in vivo, we orally administered vehicle or L. plantarum HY7714 at a dose of $1{\times}10^9CFU/day$ to hairless mice for 8 weeks. In hairless mice, L. plantarum HY7714 decreased UVB-induced epidermal thickness. In addition, we found that L. plantarum HY7714 administration suppressed the increase in transepidermal water loss and decrease in skin hydration, which reflects barrier function fluctuations following UV irradiation. In particular, L. plantarum HY7714 administration increased the ceramide level compared with that in the UVB group. In the experiment on SPT and ceramidase mRNA expressions, L. plantarum HY7714 administration improved the reduction in SPT mRNA levels and suppressed the increase in ceramidase mRNA levels caused by UVB in the hairless mice skin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HY7714 can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preserving skin hydration levels against UV irradiation.

Anti-aging Potential of Extracts Prepared from Fruits and Medicinal Herbs Cultivated in the Gyeongnam Area of Korea

  • Shon, Myung-Soo;Lee, Yunjeong;Song, Ji-Hye;Park, Taehyun;Lee, Jun Kyoung;Kim, Minju;Park, Eunju;Kim, Gyo-Na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78-186
    • /
    • 2014
  • Many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maintaining a healthy life by preventing and/or postponing the aging process.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continuous exposure to reactive oxygen species can stimulate skin aging and that excessive accumulation of fat can cause an impaired skin barrier and tissue structure alterations. Thus, the maintenance of antioxidant homeostasis and the suppression of adipose accumulation are important strategies for skin anti-aging. Here, we prepared three types of extracts [whole juice, acetone-perchloric acid (PCA), and ethanol] from 20 fruits and medicinal herbs native to the Gyeongnam area of Korea.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each extract was analyzed, and we observ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s in the medicinal herbs. Consistent with this, the results of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activity capacity assay indicated that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dicinal herb extract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he fruit extracts. The fruits and medicinal herbs had strong effects on cell-based systems, including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and 3T3-L1 lipid accumulation. Nishimura Wase persimmon, Taishu persimmon, wrinkled giant hyssop, sweet wormwood, Chinese cedar, red perilla, tan shen, hiyodori-jogo, and cramp bark may be natural anti-aging materials with effectiv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may provide scientific evidence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 from fruits and medicinal herbs.

성인 남성근로자의 체중감소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식생활 지침 실천 양상 및 건강신념 비교 (Comparison of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and health beliefs according to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among male workers)

  • 송수정;안홍석;길진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3호
    • /
    • pp.276-284
    • /
    • 2013
  • This study compared levels of health and dietary behavior practices and health beliefs according to the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of Korean male workers. A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411 male adult workers residing in Seoul, Kyeonggi, Chungcheong region. Practices of health related behavior, including smoking, drinking, exercise, work related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dietary guidelines were evaluated. In addition, the levels of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seriousness, and perceived cue to action from the health belief model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level of daily exercise, and practices of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dietary guidelines were observed among stages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Subjects who were in action/maintenance stage showed a more desirable level of health behavior and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except perceived barrier.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subjects with different stages of behavior change need an appropriate specific nutrition education method and material for improvement of nutrition education efficacy.

Characterization of Edible Film Fabricated with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Gelatin by Cross-Linking with Transglutaminase

  • Oh, Jun-Hy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9-14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improve the film-forming properties of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skin gelatin (CSG) by cross-linking with transglutaminase (TG), determine and optimize the TG reaction time, and characterize the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CSG edible film. Cross-linking of CSG was performed by TG for 0, 10, 20, 30, and 40 min at $50^{\circ}C$, and the reaction was confirmed by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The color and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of edible films fabricated with CSG cross-linked with TG were characterized. Gelatin yields from the extraction ranged from 18.2% to 23.3%. SDS-PAGE exhibited dark bands at 120 and 250 kDa, indicating successful TG-mediated cross-linking. The color of CSG film was not affected by TG cross-linking. The tensile strength of CSG films cross-linked with TG decreased from 42.59 to 21.73 MPa and the percent elongation increased from 42.92% to 76.96% as reaction times increased from 0 to 40 m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vapor permeability of CSG films.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의 COP1 및 PPAR-α 조절을 통한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 (Effect of Zanthoxylum piperitum Extract on Human Skin Protection from UVB by Regulation of COP1 and PPAR-α)

  • 김윤선;김유미;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93-401
    • /
    • 2016
  • 자외선은 피부 노화를 가속화하여 피부 광노화를 유발하고, 일광 화상, 피부암 등을 유발한다.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더라도 일부 자외선에 의하여 피부 손상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에 대한 피부 자체의 방어력을 올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 식물에서 자외선 보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COP1이 사람의 피부에서도 자외선에 대한 반응들을 조절한다고 새롭게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COP1과 그의 결합 단백질 DET1이 사람 피부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에 대한 시그날 조절 물질인 c-Jun 단백질 양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외선에 노출 시 COP1과 DET1 발현이 감소하였고, 그 영향으로 c-Jun 단백질이 증가하였다. 반대로 COP1과 DET1을 발현하는 DNA를 transfection 시켜줄 경우 c-Jun 단백질 양이 감소하였다. 피부 각질형성 세포에서 COP1과 DET1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이 COP1과 DET1의 발현을 증가시켜 주었다.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은 c-Jun 시그날에 의해서도 조절되는 MMP1이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억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 PPAR-${\alpha}$ 활성이 있어 장벽강화를 통한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데, 자외선에 의하여 염증 유발 물질인 IL-6와 IL-8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도 억제하였다. 사람의 팔에 자외선을 쪼여 준 경우에도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이 홍반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홍반에 의한 색소침착도 억제하였다. 종합적으로,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은 다양한 메카니즘을 통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in vivo 피부 투과 측정 및 in vitro 비교 평가 연구 (The Study on the Skin Penetration of Cosmetic Ingredient with in vivo Raman Spectroscopy and in vitro Franz Cell)

  • 전세림;한민희;정대균;황재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14
  • 현재,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흡수에 대한 연구 보고가 부족하며, 인체에서의 in vivo 피부 흡수는 거의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in vivo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8종 성분의 인체 표피 투과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in vitro 결과와 비교하여 주요 성분의 피부 흡수 자료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 사용한 성분의 피부 투과도 측정한 결과를 보면, in vitro 평가에서 ascorbyl-2-glucoside, retinol, retinyl palmitate, 그리고 kojic acid가 우수한 피부 투과율을 보였으며, in vivo 평가에서는 retinol, vitamin C, 그리고 arbutin 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In vitro 평가와 in vivo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투과율을 보인 성분은 각각 ascorbyl-2-glucoside와 retinol이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in vitro 평가의 경우 무모생쥐 모델의 피부를 모두 관통하는 물질을 평가하였고,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의 경우는 표피의 각질층을 평가하였으므로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표피 및 진피층의 영향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대부분 물질의 투과 장벽은 각질층이므로 각질층에서 물질 이동을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대표적 기능성 화장품 성분의 피부 흡수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따라서 이들 자료는 추후 많은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산소 압력과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투과도 증대에 관한 연구 (Synergistic Effect of Oxygen Pressure and Sonophoresis for Skin Permeability)

  • 차민석;이철규;윤영로;이원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9-196
    • /
    • 2002
  • 피부를 통한 약물 전달 방법은 국소 병변 부에 직접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졌으나 피부의 가장 바깥 층인 각질층의 장벽기능으로 인해 약물 전달 능력에 제한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소 압력 방법과 초음파 방법을 결합하는 방법을 시도하여 약물 전달 능력의 향상 정도를 검증해 본다. 흡수 물질로는 수분을 사용하였고 수분의 흡수도를 측정하기 위해 피부 임피던스 방법을 선택하였다. 실험은 총 42명을 대상으로 각각 대조군(13명) 초음파군(13명), 산소 압력군(6명). 초음파와 산소압력 결합군(10명)으로 나누어서 시행하였다. 각 군마다 다른 약물 전달방법을 손등 부위에 적용하여 20분간 피부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 한 값을 PC에 저장하였다. 수분을 적용한 대조군의 경우 피부 임피던스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초음파를 적용한 군과 산소를 적용한 군은 수분을 적용한 군보다 25-30배정도 높은 수분 홉수를 보였으며. 초음파와 산소 압력을 결합한 방법은 수분을 적용한 군보다 70배정도 높은 수분 흡수를 보였다. 이러한 평균의 타이를 반복 측정된 분산방법(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의 다변량 검증과 다중비교를 통해 변화량간의 차이를 검증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폴리올을 이용한 각질층 수분량 측정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Hydration in the Stratum Corneum Using by Polyols)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3-119
    • /
    • 2015
  • 피부의 최외곽층인 각질층에 대한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은 피부장벽기능과 생물리학적 특성에 대한 피부 건강함, 유연함, 부드러움 등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평가자와 피험자와의 개인적인 차이와 측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재현성과 반복성에 있어서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 여러 종류의 제품을 사용 전후에 객관적으로 수분량을 측정하는 데에 있다. 40명의 건강한 자발적 피험자의 하박 내측을 피부의 전기용량 특성을 이용하여 수화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시험제품 도포 후, 3 h, 6 h 뒤에 측정하였다. 무도포 부위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수분증가율을 이용하였고, 5반복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수분량 측정에 가장 효과를 보이는 대표적 폴리올 종류인 글리세롤과 부틸렌 글라이콜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폴리올 종류는 피부 수분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에게 0 ~ 20%의 글리세롤을 표준제품으로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낮은 농도의 글리세롤 범위에서 직선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글리세롤의 농도에 따라 피부 수분량에 대한 피험자 각각의 표준화된 곡선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피부 수분량에 대응하는 글리세롤 농도 값은 통계학적으로 재현성과 반복성을 보였다. 게다가 이렇게 얻어진 표준화 곡선은 피험자 개인의 피부특성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장품과 같은 피부외용제품에 대한 미세한 피부 상태의 변화와 외부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같은 결과를 보였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계면활성제와 지질, 수용성 물질에 대한 제품 원료에 대한 피부 측정에 필요한 비침습적 방법과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lpinetin의 Dexamethasone으로 유도한 피부 노화 완화 효과 (Relievable Effect of Alpinetin on Dexamethasone-Induced Skin Aging)

  • 남진주;김연준;강승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3-171
    • /
    • 2016
  •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glucocorticoid (GC)는 glucocorticoid receptor (GR)와 결합하여 염증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강력한 항염 효과를 준다. 따라서 GR을 활성화하는 GC 제제들이 개발되어 피부염의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GC 제제들은 피부 장벽 기능 저하, 진피층 두께 감소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고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특히 GC 성분은 11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beta}$-HSD1)에 의해 활성화되어 GR의 활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테로이드 제제인 dexamethasone에 의해 증가된 $11{\beta}$-HSD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천연 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여, 초두구 추출물에서 유래한 alpinetin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lpinetin은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dexamethasone에 의해 발현이 증가한 $11{\beta}$-HSD1를 억제함과 동시에 GR의 활성 및 cortisol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사람 섬유아세포 및 3D skin model을 이용한 평가에서, alpinetin은 dexamethasone에 의한 콜라겐 감소와 진피층 두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alpinetin은 $11{\beta}$-HSD1의 발현 증가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 및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α-Bisabolol을 함유한 PIT Nanoemulsion의 최적화 및 피부흡수연구 (Study on Optimization and Skin Permeation of PIT Nanoemulsion Containing α-Bisabolol)

  • 김희주;윤경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38-1751
    • /
    • 2020
  •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표피의 가장 윗부분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약물의 피부 전달을 방해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나노에멀젼은 특유의 작은 입자크기 때문에 세포간 지질을 통과하여 약물의 피부전달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α-bisabolol의 효과적인 피부흡수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이용하여 상반전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PIT) 유화법으로 제조한 α-bisabolol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최적화하였다. 예비실험으로 25-2 일부요인배치법과 23 요인배치법이 수행되었다. 요인배치법의 결과를 바탕으로 계면활성제(6.3~12.6%), 보조계면활성제(5.2~7.8%) 및 α-bisabolol (0.5~5.0%) 함량을 인자로 하고 반응 변수를 나노에멀젼의 입자크기로 하는 Box-Behnken design을 수행하였다. RSM 결과에 따라 PIT 나노에멀젼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최적의 나노에멀젼 처방 조건은 계면활성제 함량 10.4%, 보조계면활성제 함량 6.3%, α-bisabolol 함량 5.0%로 예측되었다. 피부흡수시험 결과 PIT 나노에멀젼의 최종 피부흡수율은 35.11±1.01%, 대조군인 일반에멀젼의 최종 피부흡수율은 28.25±1.69%로 PIT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율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