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on extrac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41초

지도영상에서의 도로정보 자동추출 알고리즘 (An Automatic Extraction Algorithm of Road Information in a Map Image)

  • 김기순;김준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2575-258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지도영상의 도로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복잡한 지도영상에서 도로영상만을 추출한다. 추출된 영상은 세선화 방법에 의해 도로의 골격만으로 이루어진 영상으로 변환된다. 세선화된 영상은 여러 종류의 문제점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정하기 위해 도로의 특성을 나타내는 Rutovitz 연결수에 의해 분류된 후 도로특성에 따라 개별적인 보정이 이루어진다. 여러 가지 지도영상에 대한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

융기된 영상의 골격선 추출에 의한 에지 보정 알고리듬 (Edge Compensation Algorithm by Extracting the Skeletons from the Uplifted Image)

  • 박미진;양영일;박중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8권6호
    • /
    • pp.675-68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에지 영상의 정보를 잃지 않으며 인접한 에지를 연결하는 에지 보정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에지 보정 알고리듬은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는 에지 영상을 반복적으로 융기시켜 융기 영상을 얻는 단계이며, 두 번째 단계는 골격선 추출 알고리듬을 이용하며 융기된 영상으로부터 에지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원래의 에지 영상의 정보를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인접한 에지를 잘 연결함을 보여준다.

  • PDF

Attributed Relational Graph를 이용한 영상 패턴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age Pattern Recognition using Attributed Relational Graph)

  • 이광기;전중남;이창한;이한욱;박규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88년도 전기.전자공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7-690
    • /
    • 1988
  • Algorithms that represent given pattern in the form of an ARG (Attributed relational graph) using not only structural relations but also symbolic or numerical attributes, and then recognize that pattern by graph matching proces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Based on definitions of pattern deformational models, algorithms that can find GPECI(Graph preserved error correcting isomorphism). SGECI(subgraph ECI) and DSECI(Double subgraph ECI) are proposed and comparisons among these algorithms are described. To be useful in performig practical tasks, efficient schemes for extraction of ARG representation fron raw image are needed. In this study, given patterns are restricted within objects having distinct skeleton, and then the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for recognition and analysis is successfully extracted.

  • PDF

반응소결 탄화규소에서 실리콘의 침윤향상 (Silicon Melt Infiltration of Reaction-Bonded Silicon Carbide)

  • 신현익;김주선;이종호;김긍호;송휴섭;이해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693-698
    • /
    • 2002
  • 반응소결 탄화규소의 잔류 실리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3성분계 탄화규소 분말을 혼합하여 최밀 충전 반음소결 탄화규소를 제조하였다. 기지상의 충전밀도 증가로 인해 반응소결 중 실리콘의 불완전 침윤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잔류 기공은 조대 탄화규소 입자의 표면을 따라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불완전 침윤은 승온 중 분해되지 않고 남은 산화물이 실리콘의 용융 온도 이상에서 분해되어 생긴 고립기공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지상의 표면에 존재하리라 여겨지는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침윤전 열처리 및 부식처리를 통해 완전침윤을 달성하였다.

X-Ray 영상에서 퍼지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한 손뼈의 윤곽선 추출 (Contour Extraction of Hand Skeleton Bone from X-Ray Images using Fuzzy Image Processing)

  • 하동민;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1-53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퍼지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손뼈의 X-Ray 영상에서 손뼈의 윤곽선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전 처리 단계로써 감마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X-Ray 영상에서 손뼈를 제외한 피부층을 제거한다. 피부층이 제거된 영상에서 손뼈를 뚜렷하게 만들기 위해 샤프닝 기법을 사용한다. 샤프닝 기법이 적용된 영상에서 손뼈의 명암대비를 선명하게 하기 위해 사다리꼴 형태의 Fuzzy Stretching 기법을 적용한다. 사다리꼴 형태의 Fuzzy Stretching 기법을 적용한 영상에서 Canny Edge 기법을 적용하여 손뼈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제안된 추출 방법을 20개의 실험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16개의 실험 영상에서는 손뼈의 윤곽선이 정확히 추출되었고 4개의 실험 영상에서는 손뼈의 윤곽선이 손실된 상태로 추출되었다.

  • PDF

승강기 내의 사람의 접촉장면 추출 (Extraction of The Contact of Person in The Elevator)

  • 신성윤;이현창;안우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107-10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승강기 내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접촉되는 부분을 추출하고자 한다. 승강기에 사람이 많이 타는 경우에는 접촉 현상은 흔히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승강기에 사람이 한 두 명 정도 적게 타는 경우에는 종종 발생하곤 한다. 신체적 접촉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은 영상을 이진으로 변환하여 이 이진영상에서 뼈대를 추출하여 접촉 여부를 판단한다.

  • PDF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의 동적 3D 모델 생성을 위한 뼈대 추출 기술 (Skeleton extraction technique for producing 3D point cloud-based dynamic 3D model)

  • 박병서;김경진;서영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34-235
    • /
    • 2019
  • 본 논문은 실사 객체를 360도 전방위에서 관찰이 가능한 3D 그래픽 모델로 변환하는 시스템에서 뼈대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텍스쳐 영상을 이용하여 뼈대를 추출하고, 깊이 정보로부터 얻어진 포인트 클라우드 정보를 이용하여 뼈대 정보를 정합, 보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텍스쳐 영상에 대해 딥러닝 기술 등을 이용하여 뼈대를 획득한다. 텍스쳐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뼈대 정보는 동일 위치에서 획득된 외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월드좌표계로 변환하여 공간상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뼈대 정보에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모든 뼈대 정보를 공간상에 표현하여 최종적인 뼈대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고정밀 스켈레톤 추출 기법 (High-precision Skeleton Extraction Method using Multi-view Camera System)

  • 김경진;박병서;김동욱;서영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97-29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을 통해 실사기반의 3D 모델을 획득하여 모션센서와 같은 별도의 기기 없이 해당 모델에 대한 고정밀 스켈레톤 추출 기법에 대해서 제시한다.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성한 3D 모델을 앞, 뒤, 좌, 우 각 위치에서의 사상 매트릭스로 사상 영상을 생성하고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2D 스켈레톤을 추출한다. 그리고 사상 매트릭스의 역변환 과정을 통해 2D 스켈레톤의 삼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추가적인 후처리를 통해 고정밀 스켈레톤을 획득한다.

  • PDF

PoseNet과 GRU를 이용한 Skeleton Keypoints 기반 낙상 감지 (Human Skeleton Keypoints based Fall Detection using GRU)

  • 강윤규;강희용;원달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27-133
    • /
    • 2021
  • 낙상 판단을 위한 최근 발표되는 연구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이용한 낙상 동작 특징 분석과 동작 분류에 집중되어 있다. 웨어러블 센서를 기반으로 한 접근 방식은 높은 탐지율을 제공하나 사용자의 착용 불편으로 보편화 되지 못했고 최근 영상이나 이미지 기반에 딥러닝 접근방식을 이용한 낙상 감지방법이 소개 되었다. 본 논문은 2D RGB 저가 카메라에서 얻은 영상을 PoseNet을 이용해 추출한 인체 골격 키포인트(Keypoints) 정보로 머리와 어깨의 키포인트들의 위치와 위치 변화 가속도를 추정함으로써 낙상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감지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낙상 후 자세 특징 추출을 기반으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중 Gated Recurrent Unit 기법을 사용하는 비전 기반 낙상 감지 솔루션을 제안한다. 인체 골격 특징 추출을 위해 공개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였고, 동작분류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으로 코, 좌우 눈 그리고 양쪽 귀를 포함하는 머리와 어깨를 하나의 세그먼트로 하는 특징 추출 방법을 적용해, 세그먼트의 하강 속도와 17개의 인체 골격 키포인트가 구성하는 바운딩 박스(Bounding Box)의 높이 대 폭의 비율을 융합하여 실험을 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 원시골격 데이터 사용 기법보다 낙상 탐지에 보다 효과적이며 실험환경에서 약 99.8%의 성공률을 보였다.

제2대구치 발치를 이용한 Class I crowding의 치험례 (TREATMENT OF CLASS I CROWDING WITH EXTRACTION OF THE SECOND PERMANENT MOLAR)

  • 박성용;최남기;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1-429
    • /
    • 2001
  • 교정 치료시 비발치에 의한 치료는 종종 치료 결과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환자의 안모가 심미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어, 조화로운 안모와 골격, 치아의 안정성을 위해 발치에 의한 교정치료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교정 치료시 바람직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소구치, 대구치 혹은 때때로 절치나 견치를 발치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데, 제1소구치 발치는 대개 I급 구치부관계의 악궁내 총생을 해결하고 치아의 안정성과 바람직한 안모를 얻기 위해 시행한다. 그러나, 안모의 함몰이나 수직 고경 상실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대구치 발치는 치료 후 안모의 풍만감이나 수직 고경이 상실되지 않고 측두하악관절에 덜 위해하며, 폐쇄해야할 공간이 없고 전치부 및 구치부의 총생을 동시에 해결하며 발치된 제2대구치를 제3대구치로 대치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료 후 채발의 관점에서도 제1소구치 발치보다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I급 구치부관계를 가지는 총생 환아에서 제2대구치 발치를 통해 교합과 안모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