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malocclusion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19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정송우;홍성규;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7-325
    • /
    • 1999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cdot$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 전치열 후방이동 절충치료의 안정성 (Stability of camouflage treatment using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송호진;유형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6호
    • /
    • pp.344-351
    • /
    • 2019
  •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s a relatively common form of malocclusion in Korea. In borderline cases where only mild skeletal discrepancy exists and if worsening of the facial profile is expected as a result of premolar extraction,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with miniscrews is the treatment of ch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tooth movement and evaluate the stability of mandibular full arch distalization an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stability and factors such as initial skeletal pattern, dental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alveolar bone in symphysis region using lateral cephalograms.

  • PDF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maxillary expans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fter segmental Le Fort I osteotomy in adul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Kim, Hoon;Cha, Kyung-Su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3-70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skeletal and dental width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fter segmental Le Fort I osteotomy in adul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requiring maxillary expansion. Methods: In total, 25 and 36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nderwent Le Fort I osteotomy (control group) and segmental Le Fort I osteotomy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Coronal CBCT images were used to measure the dental and skeletal widths before (T1) and after (T2) surgery and at the end of treatment (T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surgery and the amount of relaps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lso determined.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the dental width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of $0.70{\pm}1.28mm$ between T3 and T2. In the experimental group, dental and skeletal expansion of $1.83{\pm}1.66$ and $2.55{\pm}1.94mm$, respectively, was observed between T2 and T1. The mean changes in the dental and skeletal widths between T3 and T2 were $-1.41{\pm}1.98$ and $-0.67{\pm}0.72mm$, respectively.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skeletal expansion during segmental Le Fort I osteotomy and the amount of postoperative skeletal relap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Maxillary expansion via segmental Le Fort I osteotomy showed good stability, with a skeletal relapse rate of 26.3% over approximately 12 months. Our results suggest that a greater amount of expansion requires greater efforts for the prevention of relapse.

한국 어린이의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른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 비교 (Comparison of Dental Age and Skeletal Maturity in Korean Children with Skeletal Malocclusion)

  • 김지연;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2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골 성숙도와 치아의 성숙도를 골격적 부정교합에 따라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6세에서 14세에 이르는 총 192명의 환자(89명의 남자, 103명의 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수완부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였고 심한 질환을 가진 경우는 제외하였다. 통계는 이분법,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석회화는 골 성숙도와 연관성(p < 0.05)을 보였고 또한 골 성숙도가 높은 경우, 여자어린이 일 경우가 11.43배 높았다(p < 0.001). class II 부정교합일 경우,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제2대구치의 치아 석회화 정도가 class III 부정교합자에 비해 높았다(p < 0.05). 치아의 석회화와 골 성숙도의 연관성은 높았으며 class II와 class III 부정교합환자의 치아의 성숙도는 치아에 따라 다른 성숙도를 보였다.

골격성 III 급 부정 교합자에서 양악 회전 수술 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연구 (SOFT TISSUE CHANGES AFTER DOUBLE JAW ROTATION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정미향;최정호;김병호;김성곤;남동석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6호
    • /
    • pp.559-565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simultaneous maxillary clockwise rotation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sample comprised of 16 adult patients who had anteroposterior skeletal discrepancy. These patients ha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which consisted of Le fort I Osteotomy and bilateral saggital split ramus osteotomy. The presurgical (T1) and postsurgical (T2) lateral cephalograms were evaluated. The computeriz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s demonstrated a decrease in the vertical dimension in the soft and hard tissue. The nasolabial angle was increased and the mentolabial angle was decreased. The results showed also m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p<0.05). The lower lip closely followed the skeletal movement of the B- point in the horizontal plane. The double jaw rotation surgery can afford a good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class III malocclusion case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alysis of transverse dental compensation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 Lee, Ji-Yea;Han, Sung-Hoon;Ryu, Hyeong-Seok;Lee, Hee-Min;Kim, Sang-Cheo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57-366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nsverse dental compensation in reference to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asal bone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evalu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ransverse dental compensation and skeletal asymmetry variables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 (control group; 15 men, 15 women) and 30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with menton deviation (asymmetry group; 16 men, 14 women) were included. Skeletal and dental measurements were acquired from reconstructed CBCT images using OnDemand3D 1.0 software. All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nd between the deviated and nondeviated sides of the asymmetry group.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skeletal and dental measurements were calculated. Results: Differences in the ramus inclination (p < 0.001), maxillary canine and first molar inclinations (p < 0.001), and distances from the canine and first molar cusp tips to the midmaxillary or midmandibular planes (p < 0.01)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asymmetry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asymmetry group, the ramus inclination difference (p < 0.05) and mandibular canting (p < 0.05) were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In addition, dental measurem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menton deviation (p < 0.05). Conclusions: Transverse dental compens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symmetry patterns.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transverse dental compensation and planning surgical procedure for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한국 성인의 측모두부 수평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adults)

  • 김경호;백형선;김진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65-875
    • /
    • 1998
  • 교정이나 악교정 수술 환자에서 치료계획 수립과 치료결과의 평가를 위해서 지금까지 많은 수평기준선이 사용되고 있으나 정확성과 재현성 등의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더욱 객관적인 수평기준선이 설정 될 수 있다면 교정학 분야에서 많은 발전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의 부정교합군과 성별에 따른 Sella-Nasion(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 평면이 이루는 각도 및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임상검사를 시행하여 총 600 여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을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또는 정상교합군(남 50, 여 50),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 65),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남 50, 여50)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평면과 FH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 간에는 세 부정교합군 모두에서 차이를 보여 남자는 $7.47{\pm}2.40^{\circ}$, 여자는 $8.93{\pm}2.72^{\circ}$ 였다. 2. SN 평면 또는 FH 평면과 Mandibular Plane이 이루는 각은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컸으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나타내었다. 3. FH평면과 Palatal Plane이 이루는 각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4. Gonial angle은 남녀 모두 III급 부정교합군이 다른 두 부정교합군보다 큰 각도를 보였다.

  • PDF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hewing Movement i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성기혁;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01-813
    • /
    • 1997
  •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를 비교연구하기위해서 30명의 정상교합자와 20명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츄잉검을 사용하고 BioPAK system을 이용하여 전두면상에서 저작운동을 기록, 분석하였다. 각 개체마다 대표하는 저작경로를 정하여 저작폭경, 개구거리, 개구각, 페구각,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를 알아보았다. 또 저작경로의 형태에 따라 특징적인 7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좀 더 다양하고 수직적인 저작양상을 나타내었다. 2. 저작폭경의 비교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좁게 나타났다(p<0.01) 3. 개구거리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작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4. 개구각과 폐구각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정상교합자군보다 더욱 예각으로 나타났다(p<0.01). 5.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에서는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느리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저작운동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정상교합자군에서는 Type II가 73.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III가 35.0%, Type II가 30.0%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7. 저작운동형 태에 따른 분류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IV(chopping type)가 25.0%로 정상교합자군 3.3%에 비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골 부조화가 구치부 치성보상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and skeletal discrepancy in class III malocclusion)

  • 성지현;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1-49
    • /
    • 2003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부적절한 악골 위치에서 기능 교합을 유지하기 위해 치아의 경사도와 수직적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치성보상은 전치부 및 구치부 전반에 걸쳐 일어나며, 현재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악교정수술을 위한 술전교정시 이를 제거하여 각 골격 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히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치부 치성보상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졌으나, 구치부 경사도에 관한 연구는 미미 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 부조화에 따른 폭경 부조화 및 구치 경사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진단 모형상에서 상하악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부위의 기저골 폭경을 측정하여 상악에 대한 하악의 비율을 구하였으며, 모형 을 삭제하여 좌우 구치간 경사도를 측정하였다. 악골 부조화 심화에 따른 기저골 폭경 비율과 제1대구치 협설 경사도 변화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골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화될수록 상하악 구치간 각도합이 증가하여 치성보상이 많이 일어났으며, 특히 하악 구치가 설측 경사되는 치성보상을 보였다(p<0.001).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골의 수직적 부조화 및 폭경 부조화와 구치부 치성보상 간에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부조화의 심화와 기저골 폭경 부조화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icatory performance and skeletal malocclusion

  • Park, Jung-Chul;Shin, Hyun-Seung;Cha, Jung-Yul;Park, Jong-Ta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1호
    • /
    • pp.8-13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ransfer of different occlusal forces in various skeletal malocclusion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s: Three representative huma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es of three skeletal maloc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Seoul, South Korea. The CBCT scans were read into the visualization software after separating bones and muscles by uploading the CBCT images into Mimics (Materialise). Two separate three-dimensional (3D) files were exported to visualize the solid morphology of skeletal outlines without considering the inner structures. Individual dental impressions were taken and stone models were scanned with a 3D scanner. These images were integrated and occlusal motions were simulated.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were measured at the nodes of the FEA models. The displac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were analyzed. FEA was performed to obtain the 3D deformation of the mandibles under loads of 100, 150, 200, and 225 kg. Results: The distortion in all three skeletal malocclusions was comparable. Greater forces resulted in observing more distortion in FEA. Conclusion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fully evaluate the impact of skeletal malocclusion on masticatory performance using information on muscle attachment and 3D temporomandibular joint m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