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lass III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1초

이모장치의 적응증에 관한 후향적 고촬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INDICATION OF THE CHIN CAP THERAPY)

  • 양원식;김병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2
    • /
    • 1995
  • 본 연구는 초진시의 골격형태로부터 이모장치에 대한 반응성을 예측하는 지표를 구하여 III급부정교합환자의 조기 치료를 결정할 때 고려할 수 있는 기준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성장기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아동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영구치열완성 이후의 교합의 안정성과 최대성장기 이후의 안모의 개선도를 기준으로하여 양호반응군 25명과 불량반응군 15명으로 나누었다. 초진시 두 군 사이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주요 골격계측항목을 선택하고, 판별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치료전 $Bj\ddot{o}rk$ sum, 전후안면고경비율, genial angle, lower genial angle, occlusal plane to SN, occlusal plane to AB plane angle 등의 항목에서 두 군 사이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양호반응군이 불량반응군에 비해 치료전에 보다 수평적인 안모형태를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이었다. 2. $Bj\ddot{o}rk$ sum등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각 항목들의 임계값과 판별력을 구하였다. 3. 판별에 기여도가 높은 세 항목 즉, $Bj\ddot{o}rk$ sum, genial angle 그리고 occlusal plane to An plane angle을 이용한 판별식을 구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때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의 $85\%$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었다.

  • PDF

상악 열성장형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의 상악 치아 성숙도 (THE DENTAL MATURATION OF MAXILLA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 안울진;노홍석;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28
    • /
    • 2011
  •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반대교합 평가과정에서는 부정교합의 골격적 특성이 강할수록 상악 치아의 맹출 및 형성이 현격히 지연되는 것이 흔히 감지되었다. 만일 두개안면부의 전후방적 골격적 특성이 치아의 성숙도와 연관성을 가진다면, 치아의 발육과 맹출에 대한 평가가 반대교합의 조기 감별진단의 한 도구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초기 혼합치열기의 상악 열성장형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 상악의 치아 석회화도와 맹출률, 그리고 측두방사선규격사진 분석을 통한 수종의 계측치 간 연관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교정적 목적으로 내원한 Hellman 치령IIA IIC 아동 중,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 증례로부터 상악 열성장군과 상악 정상군 각 50례를 무작위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측두방사선 규격사진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각 군의 골격적 양상, 상하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을 구하고 그 차이와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 군의 상악 치아 성숙도 비교에 있어서 상악 열성장군의 제 1대구치만 석회화도와 맹출률 이 낮게 나타났다(p<0.05). 2. 역령은 상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상하악의 전후방적 악골 관계중 Wits는 상악 제 1대구치의 석회화도와 맹출률 모두를, SNA는 맹출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p<0.05).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직적 안모형태에 따른 혀와 설골의 위치 비교 (A study on the position of tongue and hyoid bone in relation to vertical facial patterns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우광수;윤정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79-589
    • /
    • 2000
  • 혀와 설골의 위치가 안모형태와 어떤 양태로 상관성을 갖는지 비교평가하기 위해 69명의 성인군과 63명의 성장군에서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얻었다. 성인군과 성장군에서 SN평면에 대해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과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혀의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 설골의 수직적 높이는 큰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보다는 작은 하악평면각을 갖는 군에서, 성인군보다는 성장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연령과 안모형태의 수직적 분류에 따른 설골의 전후방적인 위치는 차이가 없었다. 4.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기울기에 있어, 성인군보다 성장군에서 좀 더 가파른 경사도를 갖고 있었다.

  • PDF

Gonial Angle의 단순 회귀 모델: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간의 비교 (The Simple Regression Model of Gonial Angles : Comparison between Panoramic Radiographs and Lateral Cephalograms)

  • 박성희;김영재;이상훈;김종철;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계측치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수식화하는 것이다. 99명의 3급 부정교합 환자의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gonial angle, 하악지 높이, 하악중절치에서 하악하연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측정된 수치는 각각 대응 표본 T검증, Pearson's 상관관계 검정, 회귀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측모두부 영상에서의 gonial angle 평균값은 $127.50^{\circ}$, 파노라마 영상에서의 값은 $125.49^{\circ}$, 상관계수는 0.945(p < 0.001)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는 '측모두부 영상의 gonial angle = 0.920 ${\times}$ 파노라마 영상의 gonial angle + 12.072'로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계측치들 간의 상관관계는 gonial angle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Gonial angle은 파노라마 영상과 측모두부 영상에서 모두 재현성 있게 측정 가능하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파노라마 영상 또한 측모두부 영상과 같이 환자의 수직성장패턴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상악골 전방견인치료후 구개범인두 변화에 대한 단기간의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velopharyngeal changes after maxillary protraction)

  • 이남기;차봉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1-169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훼이스마스크로 상악 전방견인치료를 받은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25명(남 10, 여 15, 평균나이 9.9세)에서 단기간의 정적인 구개범인두 변화를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사진상에서 선 계측, 각도 계측 및 비율 계측을 시행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경구개 평면각의 변화량은 maxillary depth 또는 N-perp to A의 변화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경-연구개 각의 증가는 유의성이 있었으며, 이는 경구개 평면각의 변화보다 연구개 평면각의 변화의 영향을 더 받았다 (p<0.001). 연조직- 과 경조직- 비인두 깊이의 증가는 유의성 있었으며 (p<0.001), 이들의 변화량과 연구개 평면각의 변화량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경구개 길이의 증가는 유의성이 있었으며 (p<0.001), 이는 연조직 비인두 깊이의 증가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Need 비율 S (C)의 증가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p<0.001), 이러한 증가는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Need 비율 S (C)의 정상 범위 내에 있었다. 이 연구로 상악골의 전방견인 후에 정적인 구개범인두 부위에 변화가 있을지라도 구개범인두의 적격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제1대구치의 맹출지연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N THE DELAYED ERUPTION OF 1ST MOLARS)

  • 김주미;황보민;김주영;음종혁;이애련;김신;서수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55-560
    • /
    • 1994
  • Among the permanent teeth. the first permanent molars play the greatest role in occlusion and function. So, the congenital missing, abnormal reuption or abnormal forma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s in the course of arch development would inflict normal development of dental arches. Therefore, early detection of abnormal cases related to first permanent molars and understanding of current and predictable clinical problems are essential for proper occlusal guidance in children. With the aim of investigating the clinical patterns of delayed eruption of first permanent molars in children, panoramic tomograms of the childern in mixed and early permanent dentition were observ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delayed eruption of first permanent molars, on tooth or bilateral teeths were affected most frequently. Delayed eruption was more prevalent in maxilla than in mandible. 2. The formation of tardily erupted teeth were also delayed. 3. Delayed eruption was generally limited in first molars or molar segments. 4. Delayed eruption of first permanent molars is accompanied by abnormal position of tooth germs, for example, ectopic eruption, delayed dental age, delayed localized tooth formation and generalized congenital missing. 5. There was a tendency of delayed formation or congenital missing of second molars distal to tardily erupted 1st molars. And that was more marked in maxilla than in mandible. 6. There was reported that affected 1st molars show various size and shapes. Maxillary 1st molars showing delayed eruption showed a tendency of having 3 cusps. But, tardily erupted mandibular 1st molars showed no significant reduction in mesiodistal dimension, as reported. 7. In some cases, the delayed eruption of 1st permanent molars was associated with ectopic eruption, but their formation was not usually retarded. 8. In skeletal class III cases, there showed a tendency of mandibular 1st molars to erupt earlier than maxillary 1st molars with greater interval than in normal occlusion.

  • PDF

Condylar positioning changes following un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 Kim, Myung-In;Kim, Jun-Hwa;Jung, Seunggon;Park, Hong-Ju;Oh, Hee-Kyun;Ryu, Sun-Youl;Kook, Min-Su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36.1-36.7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change of the condyle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following un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USSRO)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wo patients exhibiting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facial asymmetry who underwent USSRO for a mandibular setback. 3D-CT was performed before surgery,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After creating 3D-CT images by using the In-vivo $5^{TM}$ program, the axial plane, coronal plane, and sagittal plane were configured. Three-dimensional positional changes from each plane to the condyle, axial condylar head axis angle (AHA), axial condylar head position (AHP), frontal condylar head axis angle (FHA), frontal condylar head position (FHP), sagittal condylar head axis angle (SHA), and sagittal condylar head position (SHP) of the two patients were measured before surgery,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In the first patient, medial rotation of the operated condyle in AHA and anterior rotation in SHA were observe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surgery in AHP, FHP, and SHP after surgery. In the second patient, medial rotation of the operated condyle in AHA and lateral rotation of the operated condyle in FHA were observe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AHP, FHP, and SHP postoperatively. This indicates that in USSRO, postoperative movement of the condylar head is insignificant; however, medial rotation of the condylar head is possible. Although three-dimensional changes were observed, these were not clin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three-dimensional changes in condylar head position are observed in patients post SSRO, there are no significant changes that would clinically affect the patient.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동반한 악교정수술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하악기능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 이형식;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88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andibular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Lateral cephalogram, M.K.G., E.M.G. recordings were obtained immediately before surgery, and 2 months and 8 months after surgery. Among the patients who received orthognathic surgery, 19(13 men, 6 wom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for each time interval differences were performed with the SPSS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opening 349.7mm/sec, closing 313.1mm/sec),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y in the skeletal Class III surger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opening 232.9mm/sec, closing 206.9mm/sec), but the values tended to increase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opening 280.9 mm/sec, closing 319.1mm/sec). 2. Compared with the pre-operative group (61.7 mm/sec), the maximum velocity of the terminal tooth contact increased in the 2 months (72mm/sec) and 8 months (105.7mm/sec) postoperative groups. 3. In the mean value of vertical freeway spa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4. In the mean values of the maximum opening, the maximum anterio-posterior movement from centric-occlusion, and the lateral deviation from centric oc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the pre-operative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s). 5. The mature swallowing pattern was 58% in the pre-operative group, but 90% in the 2 months post-operative group, and 63% in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6. In the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surgery group during the rest position. However, during cotton roll clench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e-operative group, but not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8 months post-operative group.

  • PDF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경조직 변화에 따른 안모 연조직 변화 분석 (ANALYSIS OF FACIAL SOFT-TISSUE CHANGES AFTER MANDIBULA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박희대;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87-108
    • /
    • 1996
  • 본원에서 하악지시상골 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9명 (남자 12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수술후, 장기관찰기간동안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후 하악은 반시계방향회전하면서 후방이동 하였으며 장기관찰시 B와 Pog에서 1.23mm, 1.28mm의 재발을 보였다. 이는 술후의 하악이동에 따른 순수한 효과(Net effect)가 81.7%, 82.2% 라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재발로 인하여 수술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술전 치료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할 수 있다. 2. 하악 경조직의 수평변화에 대한 하악 연조직의 변화비율은 하순구에서 100%, 이부에서 99.1-102.1% 로 나타났으며 하순의 경우 72.7-93.7% 로 나타났으며 상순의 경우 하악 전치 이동량의 5.7% 정도 후방 이동하게 되지만 통계적 상관관계는 미약했으나. 수직적으로 8.3-9.6% 정도 유의한 하방이동양상을 보였다. 3. 술수 상순과 하순의 관계가 개선되어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Ls)은 상대적으로 동출하고 하순(Li)은 후방이동하였으며, 상순구가 얕아지고 하순구가 깊어졌으며, 비순각이 개선되어 전반적 안모가 개선되었으나 턱부위의 전돌은 수술후에도 약간 남아있었다. 4. 하악 연조직점을 종속변수로, 하악 경조직점을 독립변수로한 회귀분석에서 경조직 변화와 연조직 변화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연조직 두께와 수평이동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PDF

Accuracy of three-dimensional periodontal ligament models generated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t different resolutions for the assessment of periodontal bone loss

  • Hangmiao Lyu;Li Xu;Huimin Ma;Jianxia Hou;Xiaoxia Wang;Yong Wang;Yijiao Zhao;Weiran Li;Xiaotong L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77-88
    • /
    • 2023
  • Objective: To develop a method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3D) digital model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PDL) using 3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reconstruction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agreement of the 3D PDL models in the measurement of periodontal bone loss. Methods: CBCT data collected from four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rior to periodontal surgery were reconstructed at three voxel sizes (0.2 mm, 0.25 mm, and 0.3 mm), and 3D tooth and alveolar bone models were generated to obtain digital PDL models for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Linear measurements of the alveolar bone crest obtained during periodontal surgery were compared with the digital measurements for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the digital models. The agreement and reliability of the digital PDL models were analyzed using intra- and interexaminer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Bland-Altman plots. Results: Digital models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PDL, and alveolar bone of the four patients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Relative to the intraoperative measurements, linear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3D digital models were accurat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voxel sizes at different sites. High diagnostic coincidence rates were found for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The digital models showed high intra- and interexaminer agreement. Conclusions: Digital PDL models generated by 3D CBCT reconstruction can provide accurate and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alveolar crest morphology and facilitate reproducible measurements. This could assist clinicians in the evaluation of periodontal prognosis and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orthodontic treatment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