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osterol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3초

차전자의 항암활성성분 (Anticancer Compounds of Plantago asiatica L.)

  • 문형인;지옥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46
    • /
    • 1999
  • 차전자의 메탄올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계통분획하여, 활성을 검정하고, 그 중 활성분획인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크로마토그라피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각종 기기분석과 이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beta}-sitosterol(C1)$, $cholest-5-en-3{\beta}-ol(C2)$, rutin(C3), $coumarin-7-O-{\beta}-glucopyranoside(C4)$임을 확인 하였으며, 4종의 화합물 중 $cholest-5-en-3{\beta}-ol$, rutin(C3)이 주요 항암 성분 이었다.

  • PDF

Pergularia tomentosa L.로부터의 카르데노리드와 ${\beta}$-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 (Cardenolides and ${\beta}$-Sitosterol Glucoside from Pergularia tomentosa L.)

  • Gohar, Ahmed A.;El-Olemy, M.M.;Abdel-Sattar, Essam;El-Said, M.;Niwa, 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42-146
    • /
    • 2000
  • 본 논문은 Pergularia tomentosa L.로부터의 카르데노리드와 ${\beta}$-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를 연구한 논문으로 주요내용으로는 Pergularia tomentosa L.의 지상부로부터 ${\beta}$-시토스테롤 글루코사이드와 함께 3가지 카데노이드, desglucouzarin, coroglaucigenin와 uzarigenin를 얻었다. 분리된 화합물은 IR, UV, $[{\alpha}]_D$, ID-, 2D-NMR 및 FAB-MS 실험을 포함하는 물리적 수단과 분광수단을 이용하여 동정되었다. 이전에 식물뿌리로부터 보고된 카르데노리드, ghalakinoside, calactin과 pergularoside가 지상부에서도 동정되었다는 내용이다.

  • PDF

Effect of ${\beta}$-Sitosterol in Liposome Bilayer on the Stabilization of Incorporated Retinol

  • Lee, Seung-Cheol;Kim, Jin-Ju;Lee, Kyung-E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04-607
    • /
    • 2005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beta}$-sitosterol (SS) in the liposome bilayer on the stability of incorporated retinol was evaluated. Retinol was incorporated into liposomes consisting of various ratios of soybean phoaphatidylcholine (PC) to SS, while liposomes were prepared as multilamellar vesicles by the dehydration/rehydration method. Retinol was readily incorporated into liposomes with various SS contents, with incorporation efficiencies higher than 98% for all conditions. The incorporation efficiency of retinol increased slightly as the SS content in liposomes increased. Its average particle size also increased as the SS content increased. Mean particle size at PC to SS ratios of 100:0, 90:10, 80:20, 70:30, 60:40, and 50:50 were 12.16, 17.57, 35.00, 40.62, 83.45, and $88.94\;{\mu}m$, respectively. Liposomal retinol degradation in aqueous solution was measured with respect to SS content at various periods of time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of 4, 25, 37, and $50^{\circ}C$, and the stability of the incorporated retinol enhanced as the SS content increased. At $4^{\circ}C$, for example, retinol in the liposomes of 50:50 (PC:SS) remained at 84.42% after storage for 10 days, while in 100:0 (PC/SS) it remained at 42.6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S content in liposom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incorporation efficiency of retinol and its stability.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난용성 효능물질의 안정화 연구 (A Study of Stabilization for Insoluble Active Ingredients Using Swollen Micelles)

  • 김수지;정유리;남진주;장지희;여혜림;윤명석;유권종;이준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13
    • /
    • 2016
  • 마이셀을 이용한 가용화 제형은 화장품 산업에서 스킨 로션, 토너, 미스트 등 다양한 제형으로 이용되고 있다. 마이셀은 입자 자체가 매우 작기 때문에 효능 물질의 담지체 역할보다는 향을 가용화시키는 정도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능 물질인 ${\beta}$-sitosterol을 담지 할 수 있는 새로운 마이셀을 개발하기 위하여 투명한 외관을 갖는 swollen micelle을 고려하였다. 특히, 효능 성분과의 용해도 계수를 고려하여 swollen micelle을 제조함으로써 난용성 효능 성분이 마이셀 내부에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swollen micelle의 안정도는 동적광산란장치(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투명한 입자의 외관과 모양은 육안 관찰 및 cryo-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DSC를 이용한 열분석을 통해 난용성 효능 성분인 ${\beta}$-sitosterol이 swollen micelle 내에서 안정하게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용해도 계수를 고려한 swollen micelle은 난용성 효능 성분의 새로운 담지체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잔대 추출물과 이들 분획물들의 항산화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Adenophora triphylla)

  • 정미자;이상현;박용일;권기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80-1588
    • /
    • 2016
  • 잔대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 효과 및 산화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가 있었다. 6개의 분획물 중에 잔대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AT-CH)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작용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소거작용을 가지고 있었고 $H_2O_2$에 대항하여 뇌신경 세포(SK-N-SH) 보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활성이 가장 우수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대상으로 주요 물질을 순수분리한 후 $^1H-NMR$, $^{13}C-NMR$ 그리고 EI mass spectra를 이용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한 결과 phytosterols(${\beta}$-sitosterol과 daucosterol)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eta}$-Sitosterol과 daucosterol 역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SK-N-SH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었다. AT-CH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p38 경로를 저해하였다. 이들 결과는 AT-CH는 p38 경로를 저해하고 세포 내 ROS 소거작용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가질 것이라 제안하였다.

왕겨 메탄을 추출물을 이용한 독성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의 성장 억제 (Growth Inhibition of Toxic Cyanobacterium Microcystis aeruginosa, Using Rice Hull Methanolextracts)

  • 박명환;정일민;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99-106
    • /
    • 2008
  • 본 연구는 왕겨의 메탄을 추출물이 유해 남조 Microcystis aeruginosa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및 현장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왕겨 추출물은 미정제 추출물과 이를 다시 분획하여 분리, 정제한 후 얻은 ${\beta}$-sitosterol, ${\beta}$-sitosterol-${\beta}$-D-glucoside, 1-tetratriacontanol, hentriacontane, orizaterpenoid, stigmas-5-en-$3{\alpha}$ 26-diacetate, stearic acid, myristic acid 등 8가지의 순수화합물로서, 이들 추출물을 남조 세포에 처리하여 생장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조류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분양 받은 M. aeruginosa (NIER 10010)이고, 물벼룩은 독일 BBE사에서 분양 받은 Daphnia magna로서, 이들은 각각 CB배지와 경수를 이용하여 배양 유지되었다. 왕겨 메탄을 추출물을 1, 10, 100, $1,000{\mu}g\;L^{-1}$의 농도로 처리하여 조류 배양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일정시간 배양하였다. 실험결과, 왕겨 메탄을 추출물은 모든 처리구에서 7일 후 $59{\sim}73%$의 높은 생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M. aeruginosa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한편, 8가지 물질을 M. aeruginosa에 $1,000{\mu}g\;L^{-1}$ 농도로 처리한 실험에서는 3가지 물질 (${\beta}$-sitosterol-${\beta}$-D-glucoside, hentriacontane, orizaterpenoid)에서 생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M. aeruginosa에 이들 3가지 물질을 조합하여 실험한 결과, 이들 3가지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생장 억제에 대한 유의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p<0.05). 왕겨 메탄올 추출물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1,000{\mu}g\;L^{-1}$의 추출물 농도에 물벼룩을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96시간 후에 85%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왕겨 추출물은 M. aeruginosa의 생장 억제에 효과적인 천연물질로서 조류 제어에 상승작용이 나타났으며, 현장 적용시 수중생물에 대한 독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Chloranthus japonicus Sieb.

  • Heo, Jung-Eun;Jin, Jing Ling;Lee, Yong-Yook;YunChoi, Hye-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41-44
    • /
    • 2005
  •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aerial parts of Chloranthus japonicus Sieb. led to the isolation a new compound, 9-hydroxy heterogorgiolide (1) and $isofraxidin-7-O-{\beta}-D-glucopyranoside$ (2), the isolation of which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long with the known components, ${\beta}-sitosterol,\;{\beta}-sitosterol-3-O-{\beta}-D-glucopyranoside$, palmitic acid and octacosanoic acid. The structures of compound 1 and 2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data including two dimensional NMR and high resolution MS.

Isolation of Ethanol Metabolizing Enzyme Inhibitors from Aloe spp.

  • Shin, Kuk-Hyun;Woo, Won-Sick;Chung, Ha-Sook;Shim, Chang-Sub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55-60
    • /
    • 1995
  • In the course of evaluation of hepatoprotective components against alcohol-induced toxicity from Aloe spp., the methanol extract was found to cause a significant inhibition of rat liver cytosolic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Systematic fractionation of active tractions monitored by bioassay led to isolation of four compounds; aloe-emodin, aloenin, ethylidene-aloenin and ${\beta}-sitosterol$, which were estimated as active principles for inhibition of c-ADH and c-ALDH activities in vitro.

  • PDF

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ichorium intybus L.

  • El-Lakany, Abdalla M.;Aboul-Ela, Maha A.;Abdul-Ghani, Mohamed M.;Mekky, Hatte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69-73
    • /
    • 2004
  • Continuation of a phytochemical study of Cichorium intybus L. (Astraceae) growing in Egypt, resulted i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ew sesquiterpene lactone 3,4-dihydrolactucin, in addition to the eight known compounds; kaempferol, isoscutellarin, cichoriin, umbelliferone, lupeol, lupeol acetate, ${\beta}-sitosterol$, and ${\beta}-sitosterol-3-O-glucoside$. Chemical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assigned based on different physical, chemical, and spectroscopic techniques including IR, UV, MS, 1D- and 2D-NMR spectra. Furthermore, the antimicrobial, and spasmogenic activities of some fractions and isolates were also assessed.

Identification of Triterpenoids and Flavonoids from the Seeds of Tartary Buckwheat

  • Lee, Jeong Min;Lee, Ki Ho;Yoon, Young-Ho;Cho, Eun Ju;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37-144
    • /
    • 2013
  • Phytochemical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e seeds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by open column chromatography.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beta}$-sitosterol (1), ${\beta}$-sitosterol-3-O-glucoside (2), oleanolic acid (3), kaempferol (4), quercetin (5), kaempferol-3-O-rutinoside (6), and quercetin-3-O-rutinoside (7)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alysis including $^1H$-, $^{13}C$-NMR, and MS. To our knowledge, oleanolic acid (3) has been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seeds of Fagopyrum species. The total contents of compounds 4 - 7 were 0.500 mg/g in Daesan maemil, 0.312 mg/g in Yangjul maemil, and 2.185 mg/g in tartary buckwh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