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Recycling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9초

공항포장용 순환골재의 처리방법별 경제성 분석 (Cost Analysis of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on Airport Pavement)

  • 강승민;이활웅;양성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39-47
    • /
    • 2014
  • PURPOSES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conomic effect of recycled aggregate production on job-site airport pavement. METHODS : The validation of site recycling for waste concrete as economic efficiency is analyzed through the case study of site recycling at an O airport pavement construction. The break-even point for the cost of site recycling was estimated according to two different waste concrete processing methods such as job-site recycling and processing on commission (or plant). RESULTS : Job-site recycling cost decreases as the use rate of job-sit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increases, or the amount of concrete waste increases, but transporting distance decreases. It was shown in an O airport case that as the use rate of job-sit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exceeds 61.4 %, the job-site recycling cost is cheaper than the processing cost on commission.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utilize basic data of feasibility for site recycling of waste concrete on airport pavement construction.

폐콘크리트의 현장재활용 사례를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에 따른 사회적 비용 비교분석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ocial Cost according to Emission of Carbon Dioxide through Case Study on the Site-Recycling of Waste Concrete)

  • 권순범;이재성;장서연;배기선;정종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59-462
    • /
    • 2007
  • 최근 급증하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으며, 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건설폐기물 현장재활용의 논의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미 선행연구에서 현장재활용의 경제성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현장재활용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정량화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재활용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산출하여 이를 중간처리 시 및 석산골재 생산 시 산출된 사회적 비용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서결과에 따르면, 현장재활용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폐섬유 자원재활용 기술을 통한 건설현장 친환경 시공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co-friendly construction management plan for construction site through waste fiber resource recycling technology)

  • 김대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5-46
    • /
    • 2022
  • Recent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co-friendly construction system through recycling of waste material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This is required to reflect the times that require a carbon reduction system in construction as part of domestic and overseas carbon dioxide reduction. Therefore, we intend to establish eco-friendly construction management as part of resource recycling and carbon reduction through recycling technology for waste fibers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 PDF

폐콘크리트의 현장재활용을 위한 경제성 지표개밭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Economical Index for Site Recycling of Waste Concrete - A Case study at Hosing Development District -)

  • 정종석;이재성;조휘철;전명훈;이도헌;방종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46-154
    • /
    • 2007
  • 최근 재건축 및 재개발의 활성화,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신도시 건설, 사회기반시설 확충 등의 증가로 건설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다. 급증하는 건설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03년 12월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은 중간처리업체뿐만 아니라 건설공사현장에서 배출자가 직접 재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 폐콘크리트를 현장재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통하여 경제성을 분석하여 현장재활용의 타당성 여부를 규명하였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현장재활용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 그 요소들에 따른 현장재활용의 경제적 손익분기점을 추정하였다.

Recycling of In-site waste soil material to fill a hollow between PHC pile and Earthen wall

  • Jang, Myung-Houn;Choi, Hee-Bok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10-517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recycling potential of in-site waste soil as pile back filling material (PBFM). We performed experiments to check workability, segregation resistance, bond strength, direct shear stress test, and dynamic load test using in-site waste soil in coastal areas. We found that PBFM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general cement paste in terms of workability, segregation resistance, and bond strength.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PBFM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cement paste due to the skin friction force of pile by Pile Driving Analyzer and direct shear stress. However, because this type of performance degradation in terms of structure can be improved through the use of piles with larger diameter or by changing the type of pile, considering the economics and environment, we considered that recycling of PBFM has sufficient value.

건설폐기물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알고리즘 개발 (Algorithm for Simulation Program to Revitalization Site-Recycling)

  • 안양진;이재성;이경희;배기선;정종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12-715
    • /
    • 2008
  • 도심의 노후화 등으로 재건축 및 재개발의 활성화,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신도시 개발, 사회기반시설 확충 등의 증가로 건설폐기물의 발생이 매년 급증하고 있다. 이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중의 하나로써 건설폐기물을 직접 재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장에서 직접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경우, 재활용 자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순환골재의 사용처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건설용 자재의 현장 반출입량이 감소됨에 따라서 운송비용, 이산화탄소 발생량, 교통량 등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현장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건설폐기물의 발생에서부터 "현장재활용" 적용까지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현장재활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간이이동법에 의한 폐아스콘 재생시 대기오염물의 배출분석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Pilot Study on Emission Analysis of Air Pollutants Produced from Portable Recycling of Asphalt Concrete)

  • 이병규;김행아;정의량;;채포기;박경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5-392
    • /
    • 2007
  • Currently, portable equipment for recycling of waste asphalt concrete (ASCON) has been used. However, any air pollution control devices are not attached in the simple portable one. Thus, a lot of air pollutants have been produced from recycling processes of waste ASCON which resulted from aging of paved roads or repavement of roads. This study deals with a preliminary result of concentration analysis of air pollutants obtained from a pilot and a real recycling processes of waste ASCON using simple portable recycling equipment. Air pollutants were taken from 4 steps of the pilot recycling process including an initial heating by liquid petroleum gas (LPG), intermediate heating and melting (H&M) process, final H&M process, and pavement processes using recycled ASCON at the recycling site. Also, air pollutants were taken front 4 steps of the real recycling processes including an initial H&M, final H&M and mixing, loading of recycled ASCON to dump trucks, and at the recycling site after leaving the loaded dump trucks for real pavement sites. The air pollutants measured in this study inclu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ldehydes, particulate matter (PM: PM1, PM2.5, PM7, PM10, TSP (total suspended particulate)). The identified concentrations of VOCs increased with increasing time or degree for H&M of waste ASCON. In particular, very high concentrations of the VOCs at the status of complete melting, which is exposed to the air, of the waste ASCON just before paving tv the recycled ASCON at the recycling site. Also, considerable amount of VOCs were identified from the recycling equipment after the dump trucks leaded by recycled ASCON leaved the recycling site for the pavement sites. The relative level of formaldehyde exceeded 80% of the aldehydes Identified in the recycling processes. This is because the waste ASCON is exposed to direct flame of LPG during H&M processes. The PM concentrations measured in the winter recycling processes, such as the loading and rotation processes of waste ASCON into/in the recycling equipment for H&M,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summer ones. In particular, the concentrations of coarse particles such as PM7 and PM10 during the winter recycling were very high as compared those during the summer one.

폐콘크리트의 현장재활용 시 경제성 분석;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An Economic Analysis of Recycling for Waste Concrete;A Case study at Hosing Development District)

  • 고은정;이재성;정종석;전명훈;이도헌;방종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8-203
    • /
    • 2006
  • 최근 재건축 및 재개발의 활성화,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신도시 건설, 사회기반시설 확충 등의 증가로 건설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다. 급증하는 건설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03년 12월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은 중간처리업체뿐만 아니라 건설공사현장에서 배출자가 직접 재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건설폐기물은 중간처리업체를 통하여 재활용되고 있을 뿐, 건설공사현장에서 배출자에 의해 직접 재활용되는 사례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장재활용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은 현장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의 불투명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발생 및 처리과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실태, 현장재활용 절차 및 과정 등을 조사 ${\cdot}$ 분석하고,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에서 폐콘크리트를 현장재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통하여 경제성을 분석함으로써 현장재활용의 타당성 여부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현장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수립 및 현장재활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폐교시설(閉校施設)의 재활용(再活用)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 경상북도지역(慶尙北道地域) 초등학교(初等學校) 폐교(閉校) 사례(事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Recycled properties of the Closed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the Recycling Situation of Closed School Facilities in Kyungsangpookdo province -)

  • 김성균;김현주;최무혁
    • 교육시설
    • /
    • 제8권3호
    • /
    • pp.15-2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recycled school facilities. To achieve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re performed. In the case study total 207 recycled school facilities located within Kyungsangpookdo Province were analyzed in terms of its gross building area, size of the site, and new uses. Results of the analyses about the data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apted use and size of the site and conditions of the adapted uses are influenced by the size of the site and gross building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finds that in case of extensions 53% of the total cases are used for training facilities. Finally, this study shows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achieving better decision in recycling closed school facilities.

  • PDF

건설현장 폐목재의 발생원인 분류를 통한 재활용 요인분석 (Recycling Factor Analysis on Wood Wastes in the Construction Site by Classification Origination Reason)

  • 정찬영;김재준;정영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7-11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목재의 발생현황 및 원인을 조사 분석하고, 국내 및 국외 폐목재의 발생, 처리, 재활용 동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오늘날 산업사회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인간의 생활은 보다 편리하고 윤택해졌지만, 그 부작용으로 환경오염과 자원고갈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건설 산업에서 환경보호와 자원의 절약 등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의 관리와 재활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발생되는 폐기물은 양적으로도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매우 복잡 다양하여 이들의 원천적 감량과 재자원화 촉진 등 자원 순환형 처리방식의 절감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그 중 폐목재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자원 중에서 약33%정도만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소각하거나 비정상적인 유통과정을 거쳐 처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건설현장 폐목재 처리현황의 실태 및 요인분석을 통하여 폐목재의 적법한 처리 및 재활용에 불합리한 원인은 무엇이며 그에 영향을 주는 수많은 변수들을 도출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몇 가지 요인으로 묶어 단순화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