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 Search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1초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외부정보탐색노력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nfluence Factors on External Information Search Effort in Online Shopping Malls)

  • 최낙환;이창원;황윤용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93-116
    • /
    • 2005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외부정보탐색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보경제학적 관점, 심리적 관점, 웹사이트 이론 관점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으며, 세 가지 이론을 통합하는 통합모델을 설계하였다. 통합 모델을 실증 분석한 결과,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외부정보탐색노력정도는 탐색동기, 탐색이익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탐색동기는 탐색이익, 구매관여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탐색이익은 구매관여, 구조적간결성, 탐색의 편리성,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탐색비용은 구매관여, 시간압박성, 구조적 간결성, 탐색의 편리성,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쇼핑몰의 관리에 대한 이론 및 관리적 시사점들을 제안하였다.

  • PDF

검색결과 역배열 제시를 통한 순서 기반 정보탐색 유형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Click Patterns in Information Exploration)

  • 조봉관;김형중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01-307
    • /
    • 2018
  • 일반적으로 검색엔진은 이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우선 탐색할 수 있도록 검색결과의 주요내용을 요약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검색 결과 클릭이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요약 내용 기반으로 진행되는 것인지 검색결과 배치 순서에 기인한 것인지를 검색 결과 역배열 제시를 통한 실증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검색엔진 업체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검색결과를 정배열과 역배열로 제시해 주는 검색사이트를 제작하여 각 이용자들의 검색결과에 대한 클릭 행동을 실제 클릭 순서와 클릭 위치, 클릭 수, 검색결과 내에서의 페이지 간 이동경로 등과 같은 이용자 검색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검색결과 정배열 또는 역배열 제시와 상관없이 첫 번째와 두 번째 노출된 검색 결과를 우선 클릭하는 이용자가 60% 이상 차지하였다. 이는 검색 결과 요약 내용과 상관없이 검색 결과 배치 순서에 따라 이용자의 정보탐색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웹 정보검색 시스템의 문서 순위 결정 (Document Ranking of Web Document Retrieval Systems)

  • 안동언;강인호
    • 정보관리연구
    • /
    • 제34권2호
    • /
    • pp.55-66
    • /
    • 2003
  •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웹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종류와 수는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문서 위주의 구성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쇼핑몰 등 종류와 매체에 있어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단위는 문서 뿐만 아니라, 사이트 그리고 서비스 단위로 확장되고 있다. 웹 환경에서 사용자의 정보 요구를 보면 크게 세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원하는 정보를 설명하는 혹은 정보와 관련된 문서를 찾는 내용검색, 둘째는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개인이나 단체의 사이트 입구를 찾는 사이트 검색, 셋째는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찾는 서비스 검색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정보 요구 목적에 따라서 문서 순위화가 달라져야 함을 보인다. 지금까지 정보 검색에서 언급된 내용 정보, 링크 정보 그리고 URL 정보의 유용함을 사용자의 정보 요구 형태에 따라서 분류한다. 내용 검색에서는 내용 정보가 유용한 반면 링크 정보와 URL 정보를 결합할 경우 성능의 저하를 초래했다. 반면 사이트 검색에서는 내용 정보만 쓰는 것 보다는 링크 정보와 URL 정보를 결합할 경우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웹 페이지 방문 시간을 고려한 연관 규칙 탐색

  • 강형창;김익찬;김철수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3-269
    • /
    • 2005
  •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정보를 편리하게 얻고자 한다. 웹 사이트 운영자들은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따른 패턴 분석을 해야 한다. 연관 규칙은 패턴 발견을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중의 하나이다. 사용자에 따른 패턴을 찾아내면, 사용자에 따른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 따른 패턴은 연관 규칙 탐색으로 알 수 있고, 웹 페이지 방문 시간을 고려한 연관 규칙 탐색 결과는 차별화된 웹 구조 서비스 및 추천 서비스가 가능하다.

  • PDF

국내 의약품 정보 검색 사이트 사용 경험 연구 - 국가검색사이트와 사기업검색사이트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Experience of Drug Information Search Site in Korea - Focused on National Search Site and Private Business Search Site -)

  • 장정인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77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의약품 검색 사이트를 국가와 사기업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 경험을 평가하였다. 피터 모빌의 허니콤 모델을 해당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편리성, 정보접근성의 차이점, 그리고 신뢰도에 대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총 18개의 문항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구글 설문지를 통해 10대에서 60대까지의 219명에게 답변을 받았다. 분석방법은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사용경험이 재방문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설문결과 91%가 사기업 사이트를 더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개발될 의약품 정보 검색과 앱개발에 기반자료가 될 수 있고 보다 편리한 검색환경의 개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PDF

3D VISION SYSTEM FOR THE RECOGNITION OF FREE PARKING SITE LOCATION

  • Jung, H.G.;Kim, D.S.;Yoon, P.J.;Kim, J.H.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361-367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stereo vision based localization of free parking site, which recognizes the target position of automatic parking system. Pixel structure classification and feature based stereo matching extract the 3D information of parking site in real time. The pixel structure represents intensity configuration around a pixel and the feature based stereo matching uses step-by-step investigation strategy to reduce computational load. This paper considers only parking site divided by marking, which is generally drawn according to relevant standards. Parking site marking is separated by plane surface constraint and is transformed into bird's eye view, on which template matching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parking site. Obstacle depth map, which is generated from the disparity of adjacent vehicles, can be used as the guideline of template matching by limiting search range and orientation. Proposed method using both the obstacle depth map and the bird's eye view of parking site marking increases operation speed and robustness to visual noise by effectively limiting search range.

IMO문서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국내.외 정보시스템 동향 분석 (Tendency Analysis of Information System for Effectively Management of IMO Document)

  • 장운재;장승도;조민철
    • 선박안전
    • /
    • 통권33호
    • /
    • pp.63-73
    • /
    • 2012
  •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constructed the IMO Korea homepage to owned jointly IMO information when establishing a international standard in about marine transport and the shipbuilding, in order to speak for the profit of Korea in IMO and it was double renewal since 2004. But the newly re-opened the IMO Korea homepage is also operated to the level which simply keeps IMO documents because of limited H/W siz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omestic and similar foreign homepages to provide effectively about the IMO informations At the result, these homepages were serviced to the meeting resultants using the various contents such as Semantic search, Thesaurus search, establishment of web accessible etc. Therefore, the existing IMO Korea homepage must be re-constructed as IMO Information Portal Site to provide better information.

  • PDF

Analysis of the Problem of fire Qualification Information and Employment Information Due to Incomplete Information in the Job Search Process

  • Kong, Ha-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92-96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fire qualification information websites and job search websites due to incomplete information in the job search process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cost of job searching is incomplete information required for a job search and job search through existing analysis.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o construct a smooth information system for economic entities and to provide easy access to information by mitigating the incompleteness of information. Based on this, analysis of the problems of Korean qualifications in the firefighting realm reveals that there is a qualification holder information and a job information site, and a qualification holder management system is established but only information of either qualific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or employment information is provided. In addition, it is easy to access information through a qualific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and employment information site via the Internet, but there are inconveniences that qualific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and employment information are dualized.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build a new customized integrated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overs existing Q-net qualific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and worknet employment information.

구매자 카테고리 기반 지능형 e-Commerce 메타 서치 엔진 (Buyer Category-Based Intelligent e-Commerce Meta-Search Engine)

  • 김경필;우상훈;김창욱
    • 산업공학
    • /
    • 제19권3호
    • /
    • pp.225-235
    • /
    • 200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lligent e-commerce meta-search engine which integrates distributed e-commerce sites and provides a unified search to the sites. The meta-search engine performs the following functions: (1) the user is able to create a category-based user query, (2) by using the WordNet, the query is semantically refined for increasing search accuracy, and (3) the meta-search engine recommends an e-commerce site which has the closest product information to the user’s search intention by matching the user query with the product catalogs in the e-commerce sites linked to the meta-search engine. An experiment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our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general keyword-based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