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n Click Patterns in Information Exploration

검색결과 역배열 제시를 통한 순서 기반 정보탐색 유형 실증연구

  • Cho, Bong-Kwan (Department of Big Data Application and Security, Korea University) ;
  • Kim, Hyoung-Joong (Department of Big Data Application and Security, Korea University)
  • 조봉관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빅데이터 응용 및 보안학과) ;
  • 김형중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빅데이터 응용 및 보안학과)
  • Received : 2017.12.31
  • Accepted : 2018.02.26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Generally, search engine summarizes the main contents of the search results so that user can click the site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s to search first.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whether the user clicks on the search results based on the summary content provided by the search engine or on the order of the search result placement through empirical studies through the presentation of search results. By using the API provided by the search engine company, a search site that presents the search results in a regular and inverse order is created, and the click action of each user's search result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actual click order, click position, and the user's search type such as the route of mov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st users account for more than 60% of users who click on the first and second exposed search results regardless of the search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search priority of user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search results regardless of the summary of search results.

일반적으로 검색엔진은 이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우선 탐색할 수 있도록 검색결과의 주요내용을 요약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검색 결과 클릭이 검색 엔진에서 제공하는 요약 내용 기반으로 진행되는 것인지 검색결과 배치 순서에 기인한 것인지를 검색 결과 역배열 제시를 통한 실증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검색엔진 업체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검색결과를 정배열과 역배열로 제시해 주는 검색사이트를 제작하여 각 이용자들의 검색결과에 대한 클릭 행동을 실제 클릭 순서와 클릭 위치, 클릭 수, 검색결과 내에서의 페이지 간 이동경로 등과 같은 이용자 검색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검색결과 정배열 또는 역배열 제시와 상관없이 첫 번째와 두 번째 노출된 검색 결과를 우선 클릭하는 이용자가 60% 이상 차지하였다. 이는 검색 결과 요약 내용과 상관없이 검색 결과 배치 순서에 따라 이용자의 정보탐색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ISA, 2016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Summary Report, 2016. Available at: https://isis.kisa.or.kr/board/?pageId=060100&bbsId=7&itemId=818&searchKey=&searchTxt=&pageIndex=1
  2. N. Elkin-Koren, "Let the Crawlers crawl: On virtual gatekeepers and the right to exclude indexing," University of Dayton Law Review, vol. 26, pp. 179-209, 2001.
  3. S.-K. Cho and H.-Y. Lee, "A study on the antirust regulation of Internet search engines," Journal of Korean Competition Law, vol. 31, no. 0, pp. 268-305, 2015.
  4. D.-U. Park, B.-J. Jang, W.-S. Kim, D.-M. Im, and J.-K. Lee, "포털사이트운영자의 법적 책임에 관한 고찰," IT Report World, vol. 19, no. 12, pp.1-23, 2007.
  5. M.-H. Ryu, J.-H. Kim and S.-C. Kim, "Search neutrality: Key issues and arguments," Information Society & Media, vol. 6, no. 3, pp. 85-101, 2015.
  6. J.-Y. Lee, "Search bias issues on portal and effective search values: Focusing on keyword searches of 'Naver'," MS. Thesis,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7. "2017 인터넷 서비스 이용 행태 및 광고 효과 분석 보고서 요약본," DMC Report, 2017. Available at: http://www.dmcreport.co.kr/content/ReportView.php?type=Consumer&id=12204&gid=8.
  8. J.-H. Oh and S.-G. Park, "The effects of search engine credibility and information ranking on search behavi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3, no. 6, pp. 26-49, 2009.
  9. E. van Couvering, "New media?: A political economy of search engines," 2004. Available at : https://pdfs.semanticscholar.org/1efc/f37af04604f701f51dd36e8cd12c1318879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