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parent family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5초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on of children's self-care and media exposure-)

  • 양경해;강현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221-2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여부가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을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데이터의 초4학년패널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총 1,916명의 아동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주요한 통계방법으로는 인과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다중매개모형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모형(phantom model)에 의한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가정여부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뿐 아니라, 아동의 자기보호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자기보호와 미디어 노출은 한부모가정여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한부모 가정은 일반가정에 비해 아동 자기보호 수준이 높으며, 이는 미디어 노출을 증가시키고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아동 자기보호와 미디어노출에 관련한 정책이 한부모가정 아동의 학교 적응을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이라는 구조적 특성과 그에 따른 특수한 욕구에 맞는 방과후 돌봄과 아동 미디어노출 관련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Assets and liabilities in single-parent households: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 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1호
    • /
    • pp.93-114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assets and debts that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have in comparison to married-couple households. Toward this end, a series of analyses of data from the 2011 Korean Household Finance Survey on the assets and debts of single-parent households are conducted.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amounts of assets and net worth of married-couple household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A comparison between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show that the latter were more likely to hold financial assets such as savings accounts, savings insurance and mutual funds. The amounts of assets of female-headed household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male-headed households. Furthermore, the amount of credit card debt in mele-headed households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in female-headed households.

다양한 가족유형에 대응하는 사회통합적 주거모델개발을 위한 주거현황 분석연구 (Analysis on the current housing types for development of social integrated housing models responding to family diversity)

  • 김경연;이수진;이연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0-144
    • /
    • 2008
  • While we go through a rapid change in society, family types composing social relationship underwent lots of changes. Recently the range of family is included not only families on the basis of blood relationship but also single family, a one-parent family and non-blood relationship family. Now we need not unified types of housing but social integrated housing models responding to family d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examine family diversity through social statistics and demography and grasp the current housing types responding to family diversity. The features of family diversity are reducing the number of family member and turning up a unformal family type. At the social statistics and demography in 2005, the number of family member is only 2.9 people per family. Due to decline of birth rate and change of marriage consciousness, various family types appear and increase such as single family, a one-parent family and non-blood relationship family. But there is lack of housing types responding to such family diversity. This study will be a basic research to develop social integrated housing models responding to family diversity. Housing must be sensitive to change of family type, so it responds our needs based on thorough understanding on various housing life.

  • PDF

성별에 따른 이혼 한부모 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of Divorced Single Parent Families According to Gender)

  • 지선례;이숙
    • 아동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50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of divorced single parent families according to gender.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grades 3-6). 266 children from divorced single parent families were survey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self control had a moderating role to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for girls. Second, social support also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for boys. Third, the variables having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also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differences in gender should be considered when seeking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양육형태에 따른 저소득층 자녀의 안경착용실태 연구 (Research on the Wearing Actual Conditions of G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ents in the Rearing of Low-income Children)

  • 이완석;예기훈;신범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7-216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저소득층 양육형태에 따른 자녀의 시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양육형태에 따라 교정 전 후의 시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소득 최하위층에서 교정 전 양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91, 편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3, 조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2 그리고 소득 중하위층에서 교정 전 양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80, 편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77, 조부모 가정의 자녀 시력은 0.50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양육형태에 따른 저소득층 자녀의 시력에 대한 관심 부족은 근시유발의 한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시기의 부모의 역할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갈등적인 부부관계와 한부모가족, 어느 것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더 해로운가? (Influences of Single-Parent Family and Parental Conflict on Children's Mental health)

  • 정소희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165-186
    • /
    • 2011
  • 본 연구는 아동의 정신건강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부부갈등과 한부모가족 중 어느 것이 더 아동의 정신건강(아동의 우울/불안, 스트레스, 정서조절, 자아존중감,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그리고 부부갈등과 한부모가족 등이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 초등학교 패널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전체 대상자 2,844명 중 2,816명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부부갈등이 높다고 응답한 청소년들이 부부갈등이 낮은 양부모가정이나 모자가정, 부자가정 청소년에 비해 우울/불안 및 스트레스가 높은 반면 정서조절, 삶에 대한 만족도, 자아존중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행동도 부부갈등이 높은 집단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갈등적인 부부관계가 가족구조보다도 아동의 정신건강에 있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부갈등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부모의 양육행동을 통제한 후에는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아 부부갈등보다는 부모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신건강에 훨씬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일부 농촌지역 여고생의 흡연 행동 특성조사 (Cigarette Smoking Habits among Teenage Girl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 임우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7호
    • /
    • pp.755-762
    • /
    • 2000
  • female smoking especially in the population of teenage girls is regarded as an important health problem as the young female smokers are increasing sharply. We surveyed 895 teenage girls(15-19 years of age) living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for their cigarette smoking habi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status of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and view on other's smoking. Of the subjects 11.6% stated that they were currently smoking and 67.3% of current smokers began smoking regularly sometimes before high school. The average smoking period of current smokers waas 20.6$\pm$1.5 mounts and they smoked 7.5 cigarettes/day on an average. Their main reason for starting to smoke was curiosity. The parents attitude for their offspring was more undemocratic in smokers. Smokers had lower academic sachievement and they had the family system such as single parent more undemocratic in smokers. Smokers had lowe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y had the family sysstem such as single parent family or divorced parent family more often than did non-smokers. Smoking status of subject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at of their parents siblings and friends respectively. Smokers accepted others' smoking more positively than did non-smokers. Above results show that cigarette smoking is prevalent among teenage girl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and smoking of subjects are affected by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view on others' smoking. Therefore the prevention the prevention programs aimed at adolescent smoking should be started before middle school and they should be included all influenc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y school and mass media.

  • PDF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방임적 양육태도와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및 양부모가족과의 다집단 분석 (The Effect of Economic Status of Single-Parent familli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neglectful rearing attitudes and mental health, Multi-Group Analysis on two-parent famillies)

  • 김현숙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4호
    • /
    • pp.297-331
    • /
    • 2016
  •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수준과 자녀의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방임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2010) 중1패널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중학교 3학년 2,195명(한부모 249명, 양부모 1,946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21.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의 경제적 수준 및 학교적응은 양부모 자녀보다 낮으며, 방임적 양육태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가족과 양부모가족의 다집단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부모가족은 경제적 수준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한부모가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자녀의 학교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양부모가족과 한부모가족 모두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임적 양육태도 및 자녀의 정신건강은 양부모가족의 경우 경제적 수준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한부모가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저소득한부모가족에 집중되어 있는 한부모가족 지원 기준에 대한 문제점, 둘째, 한부모 자녀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한부모가족의 특성을 반영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 비행의 구조모형 검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bout Family Relationship, Self-Efficacy, Self-Esteem, and Delinquency of Adolescent in Single-Parent Families)

  • 이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759-771
    • /
    • 2014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개인내적 심리요인인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총괄적 구조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여 한부모가정 청소년 비행의 보호요인을 확인하고, 비행의 예방 및 개입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2012년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지원방안 연구의 횡단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최종분석 대상에는 516명의 한부모가정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이 포함되었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비행 간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수간의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가족관계가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매개변수로서 검증되었다. 따라서 가족관계는 청소년의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통해서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비행이 감소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비행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