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3초

Post-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Myocardial Ischemia Caused by an Overgrown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Side Branch

  • Kim, Eung Re;Oh, Se Jin;Kang, Hyun-Jae;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65-467
    • /
    • 2014
  • We present a patient who developed recurrent angina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Myocardial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demonstrated deterioration in the myocardial perfusion, and coronary angiography revealed an overgrown side branch of the grafted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ITA); otherwis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with previous imaging studies obtained after the CABG. After percutaneous embolization of the grafted left ITA side branch, the angina was resolved and myocardial SPECT showed improved perfusion.

SPECT 회전중심 측정에 있어서 콜리메타의 영향 (The Influence of Collimators on SPECT COR Measurements)

  • 이만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9권1호
    • /
    • pp.89-94
    • /
    • 1996
  • Misalignment between the electronic and mechanical axes of rotation will result in artifact generation and image degradation during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reconstruction. Acceptance and quality control testing procedures have not emphasized the variability in center of rotation(COR) measurements caused by collimators and the need to verify uniformity across the full collimator field of view (FOV). Variation from the mean COR across the FOV was tested in four different collimators using multiple point source acquisitions. The mean COR was different for each collimator and one of the four had a > 0.5 pixel difference from the mean COR on some area of the FOV, This variation makes this collimator unacceptable for SPECT acquisition. Thus, initial acceptance testing of SPECT collimators should verify a uniform COR across the full FOV and collimators with a variability from the mean COR > 0.5 pixels should be rejected.

  • PDF

Redo-Coronary Artery Bypass due to Progression of the Celiac Axis Stenosis

  • Yeom, Sang-Yoon;Hwang, Ho-Young;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4호
    • /
    • pp.251-253
    • /
    • 2012
  • We report a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in a 55-year-old man. Angina recurred 7 years after the initial surgery. Coronary angiography showed all patent grafts except a faint visualization of the in situ right gastroepiploic artery (RGEA) graft, which was anastomosed to the pos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associated with celiac axis stenosis. Redo-CABG was performed at postoperative 10 years because of aggravated angina and decreased perfusion of the inferior wall in the myocardi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The saphenous vein graft was interposed between the 2 in situ grafts used previously; the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and RGEA grafts. Angina was relieved and myocardial perfusion was improved.

한의학적 치료로 $^{99m}Tc-HMPAO$ SPECT상 현저한 재관류를 보인 아급성기 중대뇌동맥경색 환자 1례 (Significant Reperfusion on $^{99m}Tc-HMPAO$ SPECT in a Case of Subacute MCA Infarction)

  • 박정미;정우상;서알안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37-442
    • /
    • 2001
  • For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t is well known that early luxury perfusion is related to a good clinical outcome and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has the potential for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bout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We report one case of Rt. MCA infarction mainly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and revealed luxury perfusion without thrombolysis. In acute stage, neurological deficits of the patient were very severe. 99mTc-HMPAO SPECT images obtained 10days after the attack showed large perfusion defect in the Rt. MCA territory. We followed up 99mTc-HMPAO SPECT 40days after the ictus. Despite of the poor early perfusion, we found considerably improved perfusion and neurological improvement.

  • PDF

방사성동위원소 위치에 따른 산업용 SPECT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dioisotope Position on Performance of Industrial SPECT)

  • 문진호;김종범;정성희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5-249
    • /
    • 2012
  • Demand of fluid flow visualization has increased in industrial processes, because medical imaging technology is highly developed. As a part of the industrial process imaging technology, industri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system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cross-sectional distribution of the process fluid. The SPECT consists of 36 NaI (Tl) detectors with the hexagonal configuration. Reconstructed images were acquired for various positions of radioactive source to estimate SPECT device performanc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In general, the experimental and simulation results were consistent. However, as the source position was getting far from the center of the reactor, the accuracy of reconstructed images was compromised. It seems to be due to the inconsistent spatial resolution of the collimators according to the source position.

공정 내 기포가 산업용 SPECT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oid on Performance of Industrial SPECT System)

  • 박장근;정성희;김종범;문진호;김찬형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3-27
    • /
    • 2014
  • Industri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is an useful technique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of process flow. In the present study,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 void on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 SPECT, industrial SPECT with various radioisotope sources and gas holdups was modeled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The results are very encouraging; that is, the void little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 SPECT, which means that industrial SPECT could be a suitable tool to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flow in a water-air phase process.

심전도 게이트 심근관류 Tl-201 SPECT로 측정된 좌심실 기능 및 좌심실 용적의 정확성 (Accuracy of Ventricular Volume and Ejection Fraction Measured by Gated Tl-201 Perfusion Single Photon Emission Tomography)

  • 배문선;문대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4-99
    • /
    • 2005
  • Electrocardiogram-gated single photon o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in the assessment of both myocardial perfusion and ventricular function. Tl-201 is a suboptimal isotope for gating. Tl-201 images are more blurred compared with Tc-99m tracers due to the increased amount of scattered photons and use of a smooth filter. The average myocardial count densities are approximately one-half those of conventional technetium tracers. However, Tl-201 is still widely used because of its well-established utility for assessing myocardial perfusion, viability and risk stratification. Gated SPECT with Tl-201 enables us to assess both post-stress and rest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Previous studies with gated Tl-201 SPECT measurements of ejection fraction (EF), end-diastolic volume (EDV), end-systolic volume (ESV) have shown high correlation with first-pass radionuclide angiography, gated blood pool scan, Tc-99m-MIBI gated SPECT, contrast ventriculography, echocardiography, and 3-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However, problems related to these studies include few agreement data of EDV and ESV, use of a reference method that is likely to have the same systemic errors (gated Tc-99m-MIBI SPECT), and other technical factors related to the count density of gated SPECT. With optimization of gated imaging protocols and more validation studies, gated Tl-201 SPECT would be an accurate method to provide perfusion and function informa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GATE 시뮬레이션을 통한 고해상도 저선량용 소동물 영상화를 위한 CdTe 검출기 기반의 SPECT 기기 연구 (A Low-Dose High-Resolution SPECT System with CdTe for Small-Animal Imaging Applications: A GATE Simulation Study)

  • 박수진;유아람;김예슬;이영진;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3호
    • /
    • pp.162-170
    • /
    • 2013
  • 인간의 질병연구를 위한 소동물용 픽셀화 반도체 검출기 기반의 단일광자단층촬영(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시스템의 고해상도 및 저선량 소동물 영상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NaI(Tl) 섬광결정 검출기로 구축된 SPECT 시스템과 비교 평가하였다. CdTe 검출기는 $44.8{\times}44.8$ mm의 크기이며 $0.35{\times}0.35{\times}5$ mm크기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기의 내인성 분해능은 0.35 mm 이며 이는 픽셀 크기와 동일하다. GATE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하여 두 시스템간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시스템의 공간 분해능과 민감도는 10 MBq의 $^{99m}Tc$ 점 선원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복셀화된 MOBY (mouse whole-body) 팬텀을 사용하여 정량적 평가 및 흡수선량을 계산하였다. 점선원과 조준기 사이의 거리가 30 mm 일 때, NaI(Tl) 섬광결정 검출기 기반의 SPECT의 분해능은 1.54 mm, 민감도는 83 cps/MBq였으며,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시스템의 분해능은 1.32 mm, 민감도는 116 cps/MBq로 더욱 향상된 공간 분해능과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두 시스템의 정량적 통계 분석은 CNR 계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주입 선량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두 시스템에서의 CNR을 획득하였다. Mouse brain내 striatum의 주입선량이 160 Bq/voxel일 경우,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에서 획득한 CNR은 2.30이었으며 섬광결정 검출기 SPECT에서 획득한 CNR은 1.85로 CdTe검출기 기반의 SPECT에서 더욱 큰 CNR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CdTe기반의 SPECT를 사용할 경우 NaI(Tl) 섬광결정 검출기 기반의 SPECT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보다 동일한 정량적 수치획득을 위한 소동물의 피폭선량을 감소시켜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검출기 CdTe기반의 SPECT은 NaI(Tl) 섬광결정 검출기 SPECT 시스템보다 공간 분해능과 민감도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보였음을 증명하였다. 실제 시스템과의 검증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피폭 선량을 줄이는 동시에 영상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소동물용 SPECT 시스템 구축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의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조수철;이명철;문대혁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권1호
    • /
    • pp.27-39
    • /
    • 1990
  •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는 학령전기 또는 학령기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질환들 중의 하나로서 학령기아동의 악 $3{\sim}20%$ 의 아동이 이 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질환의 원인에 대하여는 유전적인 소인, 사회환경적인 요인등 여러주장들이 있어 왔으나, 임신 전후한 합병증이 많다는 연구, 신경학적인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많이 발견된다는 보고, 납중독과의 관련설, 어머니의 술중독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등은 환경적인 요인보다는 기질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와 관련있는 뇌의 부위를 연구하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30.4%(14/46)에서 혈류의 감소가 있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소견이 발견된 뇌의 부위는 대뇌피질, 시상부, 실부회백질, 기저핵, 소뇌등 일정하지는 않았다. 정신병리와의 관계에서는 이상소견이 나타난 군에서 심한 장애를 보였으며, 특히 과잉운동. 언어 소운동부분에서의 차이가 뚜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는 크게 뇌의 혈류장애가 있는 군과 없는 군의 두군으로 대별할 수가 있으며, 향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대상군을 선정하여, 정확한 뇌의 부위를 발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 PDF

뚜렛씨병과 만성틱장애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 조수철;이명철;김자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68-78
    • /
    • 1993
  •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는 7세 전후한 연령에서 가장 흔히 시작되는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행동장애로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전적인 경향이 아주 강한 질환들로 알려져 있다. 원인으로서도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뇌의 기능 또는 기질적인 장애로 인하여 발병될 가능성도 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질환들의 생물학적인 원인들 중 일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시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1.0%(13/42)에서 대뇌피질의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전두엽이 가장 흔한 혈류 이상 소견을 보인 부위였다.2) 4.8%(2/42)애서 대뇌기저핵의 혈류에 감소를 나타내었다. 3) 4.8%(2/42)에서 시상부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4) 16.7%(7/42)에서 소뇌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5)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간에 혈류장애의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6)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에 있어서, 혈류장애가 동반된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걸과로 미루어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중의 하나로 뇌혈류장애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뇌혈류의 정도를 정량화시키거나, 또는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높여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