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embryo transfer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2초

근이양증 가계에서의 PEP-PCR을 이용한 착상전 유전자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Using Primer Extension Preamplification in Duchenne/Becker Muscular Dystrophy(DMD/BMD) Families)

  • 최수경;이은호;이호준;전진현;강인수;백은찬;류현미;전종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109-114
    • /
    • 1996
  • General PCR technique alone has a limitation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PGD) using single blastomere. Recntly developed primer extension preamplification(PEP) technology amplifies the whole genome and thus, simultaneous multiple locus analysis became possible. In this study, we report the efficacy of PEP-PCR for PGD in three muscular dystrophy carriers undergoing IVF-ET. A total of 37 blastomeres were obtained from 40 embryos at six to eight cell stage in three IVF cycles in two DMD and one BMD carriers. Whole genome from single blastomeres were amplified using I5-base oligonucleotide random primers. PCR amplified products of exon 45 in the dystrophin gene and alphoid X/Y loci for gender determination were analysed by 2% metaphor gel electrophoresis. A total of 37 PEP-PCR replicates from 37 single blastomeres from 40 embryos and 37 blanks were performed. We obtained the reliable results for exon 45 and alphoid X/Y. Transfer of female embryos and unaffected male embryo was attempted in three couples. Unfortunately, pregnancy was not achieved in these cases. PEP-PCR is a reliable and efficient PGD method in multiple locus analysis using single blastomere.

  • PDF

돼지에서 HSP70 유전자형과 IVF 수정란 배 발달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SP70 Gene Polymorphisms and IVF Embryo Development in Pigs)

  • 진현주;김인철;위미순;연성흠;김종대;조창연;최선호;조상래;손동수;김영근;정종현;최화식;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89-295
    • /
    • 2005
  • 본 연구는 돼지에서 스트레스 관련 HSP70 유전자의 다형성과 IVF 수정란의 배발달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HSP70-K1, -K3 및 -K4의 PCR 산물로부터 SSCP 다형성은 각각 다르게 확인되었다. 체외수정란의 분할율 시험에서 HSP70 K1-AA($73.1\%$) 및 K1-AB($62.3\%$) 난할율은 HSP70 K1-BB($49.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HSP70 K3-AA($72.4\%$) and K3-AB($62.2\%$)형도 HSP70 K3-BB($49.1\%$)형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돼지품종들과 정자의 HSP70 유전자형에 따른 2-cell 단계까지의 체외수정란 배발달은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Landrace(28.8)와 Duroc(29.8)에서 2세포기까지 발달된 수정란의 수는 Yo.kshire(10.9)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HSP70 K4-AB(29.6)형의 2세포기 단계까지의 배발달 수정란 수는 HSP70 K4-AA(10.6)형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러나 돼지 품종 및 HSP70 유전자형에 따른 배반포기까지 수정란 배발달 정도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돼지 체외수정란의 초기 배발달은 HSP70 유전자형과 품종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uperovulation and Transplantation of Demi- and Aggregated Embryos in Rabbits

  • Ju, J.C.;Chang, Y.C.;Huang, W.T.;Tang, P.C.;Cheng, S.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55-461
    • /
    • 2001
  • The effect of exogenous gonadotrophins on superovulation in rabbits was examined. One hundred and sixteen sexually mature California, Chinchilla and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control (100 IU hCG), PMSG-treated (100 IU HCG following 150 IU PMSG) and FSH-treated groups (0.3 mg/head /12 h for 3 days followed by 100 IU hCG). All does were mated after hCG injection and were sacrificed or laparotomized within 1 to 4 days postcoitus for counting the number of ovulation points. The number of ovulations was higher in FSH-treated animals than in the control and PMSG-treated groups (37.2 vs. 10.4 and 14.5, p<0.05). Follicle haemorrhagicum was observed in many cases in the PMSG-treated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lation number was observed between left and right ovaries regardless of gonadotropin treatment. In another experiment, 2-cell stage embryos were collected at 26 h postmating and blastomeres were separated by mechanical pipetting or gentle pressure with a fine glass needle. Aggregated or chimeric embryos were produced from two single blastomeres from two breeds, New Zealand White and Chinchlla, with different coat colors. All the embryos were cultured in Ham's F-10 medium supplemented with 1.5% BSA (bovine serum albumin fraction V) and 10% PRS (pregnant rabbit serum), and incubated in a humidified atmosphere with 5% $CO_2$ at $38^{\circ}C$. After development to morula or early blastocyst, the embryos were transferred into the oviducts of recipient does. Results showed that 7 out of 10 does (70%) receiving intact embryos (control) became pregnant and 41 kits were delivered. However, no pregnancy was obtained from the recipient of either denuded demi- or aggregated embryos. It is suggested that embryos without zona pellucida could not develop to term in rabbits.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세포질내 정자주입술(ICSI)의 수정률과 임신율 (Fertilization and Pregnancy Rate of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ICSI))

  • 전진현;이호준;김정욱;박용석;이유식;홍재엽;손일표;전종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3호
    • /
    • pp.247-252
    • /
    • 1994
  •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ICSI) was known as effective method in treatments of couples who unable to be helped by conventional in vitro fertilization. In 78 treatment cycles of 78 infertile couples using ICSI performed at our infertility clinic between May and August 1994 were analyzed. These patients were classified two groups, andrological factor(AF) and non-andrological factor(non-AF) group. The AF group, which had abnormal sperm physiology, included oligozoospermia, asthenozoospermia, oligoasthenoteratozoospermia(OATS) and microsurgical epididymal sperm aspiration(MESA) patients. The non-AF group, which had abnormal oocyte physiology, included abnormal zona pellucida, poor quality of oocyte and immune factor infertile patients. A single spermatozoon was injected into the ooplasm of 776 metaphase II oocytes. The fertilization rate was 44.6%(346/776) and 319 embryos were transferred. After 73 embryo transfers(93.6% of treatment cycles) 23 pregnancies were estabilshed, i. e. pregnancy rate of 29.4% per started cycle and 31.5% per embryo transfer. Fertilization rate of AF and non-AF group was 46.2% and 35.8%, pregnancy rate was 34.5%(20/58) and 20.0%(3/15), respe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assisted hatching(AHA) has done after lCSl in 47 treatment cycles. Pregnancy rate of ICSI with AHA and without AHA group was 34. 0% (16/47) and 26.9%(7/26), respectively. ICSI was more effective in andrological factor infertility and the pregnancy rate was increased by ICSI with AHA procedure.

  • PDF

돼지 공여세포의 조건이 핵이식 수정란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onor Somatic Cell Conditions on In Vitro Development of Nuclear Transplanted Porcine Embryos)

  • 홍승표;박준규;이명열;이지삼;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3-221
    • /
    • 2001
  • 본 연구는 복제 돼지의 생산성 향상과 형질전환에 의한 대체상기용 복제 돼지 생산에 기여하기위한 기초연구로 공여세포의 조건, 핵이식 수정란의 융합 및 활성화와 체외발달에 미치는 각종 요인들은 조사하였다. 공여세포는 생후 10개월 된 Landrace 종으로부터 귀 세포조직(5$\times$5mm)을 채취하여 0.05%의 trypsin과 EDTA가 첨가된 D-PBS로 세포를 분리하여 10% FBS가 첨가된 TCM-199 배양액으로 계대배양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핵이식은 laser system 으로 투명대를 drilling하여 수핵난자의 극체와 핵을 제거한 후 공여세포를 주입하였으며. 핵이식란은 DC 1.9kv/cm, 30$\mu$sec 1회의 전기자극으로 융합과 1시간 후 AC 1.50kv/cm, 30$\mu$sec 1회의 조건으로 활성화를 실시하여 분할을 유도하였다. 분할된 핵이식 수정란은 10% FBS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으로 $CO_2$배양기에서 6~8일 동안 체외배양을 실시하여 배반포기로 발달한 수정란을 Hoechst 33342로 핵염색을 하여 할구수를 조사하였다. 공여세포의 기아배양을 3~4 및 5~6 일간 실시하여 핵이식 후 전기자극으로 융합을실시하였을 때 융합율은 각각 45.6 및 36.8%로써 기아배양 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융합 및 활성화가 유기된 핵이식란의 분할율은 3~4일간 기아배양을 실시한 공여세포가 67.1%로써 가장 높았으며(P<0.05), 5~6일간 기아배양을 실시한 공여세포의 57.1%와는 차이가 없었다. 공여세포를 1~2, 5~6 및 13~14대 계대배양한 것을 사용한 핵이식란의 융합율은 각각 52.7, 53.0 및 51.7%로써 차이가 없었다. 융합이 이루진 핵이식란을 활성화를 유도했을 때 1~2, 5~6 및 13~14대 계대배양한 공여세포의 분할율도 각각 42.7, 46.8 및 45.5%로써 차이가 없었다. 25$\mu$m$\geq$ 크기의 공여세포를 사용하였을 때 핵이식란의 융합율은 65.3%로써 25~30$\mu$m 및 30$\mu$m $\leq$ 크기 공여세포의 융합율 42.5 및 45.5% 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융합과 활성화가 유기된 핵이식란의 분할율은 25$\mu$m $\geq$, 25~3o$\mu$m 및 30$\mu$m $\leq$ 크기에서 각각 56.5, 68.8 및 58.5%로써 공여세포의 크기에 따른 분할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외수정란과 체세포 핵이식 수정란의 발달에 있어서는 분할율이 각각 80.1%와 64.0%로써 핵이식 수정란이 체외수정란 보다 낮았으나,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는 각각 12.4%와 10.5%로써 차이가 없었다.

  • PDF

An update of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in gene diseases, chromosomal translocation, and aneuploidy screening

  • Chang, Li-Jung;Chen, Shee-Uan;Tsai, Yi-Yi;Hung, Chia-Cheng;Fang, Mei-Ya;Su, Yi-Ning;Yang, Yu-Shih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3호
    • /
    • pp.126-134
    • /
    • 2011
  •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 is gradually widely used in prevention of gene diseases and chromosomal abnormalities. Much improvement has been achieved in biopsy technique and molecular diagnosis. Blastocyst biopsy can increase diagnostic accuracy and reduce allele dropout. It is cost-effective and currently plays an important role. Whole genome amplification permits subsequent individual detection of multiple gene loci and screening all 23 pairs of chromosomes. For PGD of chromosomal translocation, fluorescence $in-situ$ hybridization (FISH) is traditionally used, but with technical difficulty.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can detect translocation and 23 pairs of chromosomes that may replace FISH.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rray with haplotyping can further distinguish between normal chromosomes and balanced translocation. PGD may shorten time to conceive and reduce miscarriage for patients with chromosomal translocation. PGD has a potential value for mitochondrial diseases. Preimplantation genetic haplotyping has been applied for unknown mutation sites of single gene disease. Preimplantation genetic screening (PGS) using limited FISH probes in the cleavage-stage embryo did not increase live birth rates for patients with advanced maternal age, unexplained recurrent abortions, and repeated implantation failure. Polar body and blastocyst biopsy may circumvent the problem of mosaicism. PGS using blastocyst biopsy and array CGH is encouraging and merit further studies. Cryopreservation of biopsied blastocysts instead of fresh transfer permits sufficient time for transportation and genetic analysis. Cryopreservation of embryos may avoid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and possible suboptimal endometrium.

FSH 투여 용량과 방법Ul 따른 한우의 과배란 처리 효율 (Superovulation Response by FSH Treatments in Hanwoo)

  • 최수호;박용수;손우진;이준희;노규진;김주헌;최상용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99-205
    • /
    • 2007
  • 본 실험은 polyethylene glycol (PEG)에 용해시킨 FSH의 투여 방법과 용량에 따른 체내 수정란 생산 효율을 난소 반응과 회수되는 수정란의 수량과 품질, 수정란 이식 효율을 조사하였다. 공란우 88마리를 네 군으로 구분하였다. 처리 1군은 50mg의 FSH를 하루 2회 4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처리 2 및 3군은 30% PEG에 녹인 400mg과 200mg의 FSH용량을 1회 투여하였으며, 처리 4군은 CIDR로 처리 후 7일째에 30% PEG에 녹인 200mg의 FSH를 처리하였다. 과배란 처리 후 황체수에서는 처리 1, 2, 3 및 4군에서 각각 11.2, 18.5, 13.1 및 13.9개로서, 처리 2군에서 다른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회수된 난자의 총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8.5, 10.4, 8.7 및 7.9개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3.9, 4.3, 4.7 및 3.7개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과배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 $36.0{\sim}50.0%)$ 및 채란시 혈중 progesterone 농도 또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공란우에 스트레스를 적게 주며 과배란 처리 호르몬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마리의 공란우를 발정 주기에 상관없이 한번에 과배란 처리를 할 수 있는 CIDR를 사용 후 7일째 200mg의 FSH를 1회 투여 방법이 축산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젖소 과배란 처리시 PEG(Polyethylene Glycol) 처리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G on Embryo Production in Superovulated Hostein Cows)

  • 최선호;류일선;한만희;조상래;최창용;김현종;손동수;김영근;이종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7-322
    • /
    • 2005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고능력의 유전인자를 조기에 확산할 수 있도록, 젖소에 있어서 PEG를 이용하여 과배란 처리기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선자극호르몬의 처리 방법에 따른 황체반응은 Folltropin 단독처리시 $5.8\%$, Folltropin+EB는 $20.6\%$, Folltropin+PEG는 $24.0\%$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2. 성선자극호르몬의 처리 방법에 따른 이식 가능 수정란 수에 미치는 영향은 Folltropin V 단독처리시 3.6개, Folltropin +EB 처리시 3.3개, Folltropin +PEG 8,000 처리시 2.8개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1). 3. 성선자극호르몬의 처리방법에 따른 퇴행란과 미수정 란 Folltropin+EB와 Folltropin+PEG 처리구에서 Folltropin 단독처리보다 많이 회수되었으며,배반포 수정란의 수에 있어서는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임의의 발정주기에 CIDR 삽입후 Folltropin의 1일 2회 4일간의 분할 투여법 뿐만 아니라 Folltropin을 PEG로 용해하여 1회 투여법을 이용한 과배란 처리기법도 젖소 공란우에서 수정란의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PEG 융해 FSH 투여방법에 따른 소 과배란 유기 및 수정란이식 효율 (Superovulation Response and Quality of Embryos Recovered from Cattle after a Single Subcutaneous Injection of FSH Dissolved in Polyethylene Glycol)

  • 최상용;최수호;박용수;조상래;강태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7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한우에 있어서 PEG를 이용한 FSH의 투여 방법에 따른 과배란 유기 방법 및 수정란 이식의 효율을 조사하였다. 과배란 처리는 대조구를 포함하여 네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실험하였으며, 대조구는 12시간 간격으로 1일 2회, 4일간 50 mg의 FSH를 근육주사, 처리구 1은 30% PEG에 용해시킨 400 mg의 FSH를 1회 피하주사, 처리구 2는 30% PEG에 용해시킨 200 mg의 FSH를 1회 피하주사, 그리고 처리구 3은 30% PEG에 용해 시킨 200 mg의 FSH를 2회 피하주사하였다. 발정일을 0일로 하여 8~14일째 FSH로 과배란 처리를 하였으며 인공수정은 PGF$_2$$\alpha$ 25 mg 투여 후 48시간과 60시간에 외부적인 발정에 상관없이 실시하였고, 2차 인공수정 후 7일째 비외과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난자 또는 수정란을 회수하였으며 황체 수와 총 회수란 수를 조사하고 회수된 수정란을 등급 분류하여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를 조사하였다. 혈중 progesterone과 estradiol-17 $\beta$ 농도는 RI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정 발현은 대조구 (77.8%)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100% 나타났으며 과배란 유기는 대조구에서 77.8%, 처리 1구는 87.5%, 처리 2구는 88.9%, 처리 3구는 100% 이루어졌다. 2. 처리구 1에서 황체수가 평균 19.6개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대조구와 처리구 2, 3의 평균 황체수 11.1, 13.4, 9.6로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회수란과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회수란 수는 대조구와 각 처리구에서 평균 9.1, 10.9, 9.4 그리고 6.9개였고,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는 굉균 5.1, 5.9, 7.3 그리고 4.6개였다. 3. 회수된 난자 또는 수정란의 등급을 분류하였을 때,'Excellent'로 분류되는 수정란의 비율은 처리구 3이 가장 높았으며 처리구 1이 가장 낮았다 (52.1%와 30.3%). 회수된 난자중 'Unfertilized'로 분류되는 난자는 처리구 2에서 가장 낮았다(4.0%).

체외수정술 후 난할단계 배아와 포배기단계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예후의 비교 (The Optimal Time for Embryo Transfer in Fresh IVF: Comparison between Day 3 and Day 5 on Pregnancy Outcomes)

  • 유상우;김아리;석현하;김유신;이우식;윤태기;원형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43-151
    • /
    • 2010
  • 목 적: 본 연구는 체외수정술 후 배양 3일째 2개의 난할단계 배아 (D3ET)와 배양 5일째 2개의 포배기단계 배아(D5ET)를 이식했을 때 각각의 임신예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강남차병원 여성의학연구소에서 체외수정술 후 D3ET을 시행한 90명의 환자를 나이와 체외수정 주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D5ET군 90명과 비교한 후향적 환자군-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두 군 모두 2개씩의 양질의 배아를 이식하였다. 각각의 임신율, 착상률, 다태임신율을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의 특성, 체외수정주기 및 배아의 특징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신예후를 비교했을 때, D3ET군과 D5ET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착상률 (39.4% vs. 32.8%), 임신율 (57.8% vs. 46.7%), 임상적임신율 (53.3% vs. 45.6%), 진행임신율 (50.0% vs. 42.2%), 유산율 (13.5% vs. 9.5%). 두 군 모두 높은 다태임신율을 보여주었다 (37.5% vs. 34.1%). 결 론: 체외수정술 후 배양 5일째 포배기단계 배아이식이 배양 3일째 난할단계 이식보다 더 좋은 임신예후를 보여주지 못한다. 또한 나이가 젊고, 양질의 배아를 가진 좋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여성에서는 다태임신율을 줄이기 위해 단일배아이식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