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pson diversity index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독도의 토양 선충상 (Soil Nematode Fauna in Dokdo Island of Korea)

  • 김동근;박병용;류영현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1-386
    • /
    • 2012
  • 독도 생태 연구의 일환으로 2008-2009년 2개년간 독도의 토양을 채집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식이습성군, 생태지수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독도에서 총 31종의 선충이 발견되었으며 평균 밀도는 $m^2$당 239,500마리(26,000-836,000)였고 biomass는 $103.9mg/m^2$(3.0-388.6)였다. 중요도는 Acrobeloides 속이 Prominence value(PV) 11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Rhabditidae(PV = 81.9), Prismatolaimus(PV = 39.0), Aphelenchoides(PV = 31.4) 순이었다. Feeding Group별로는 세균성선충이 전체 선충 중에서 밀도로는 77%, biomass로는 62%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그룹이었고 다음으로는 식물기생성선충과 식균성선충류였다. 동도 참소리쟁이에서 발견된 뿌리썩이선충은 신종으로 추정된다. 독도 선충의 생태적 분석 결과 Shannon and Wiener 지수(2.46), Simpson's diversity 지수(0.86), 종 균일도(0.73), 종 풍부성(1.30)을 볼 때 독도의 선충상은 종이 풍부하고, 다양한 것이 특징이며, 독도만의 독특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겠고 이것은 경작되지 않고 자연 그대로 보존된 원시적 환경의 특징이다. 이번의 조사 결과는 독도의 생태적 모니터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산림 내에서 곤충의 현존도와 식충목 4 종의 풍부도간의 상관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Invertebrate Availability and the Abundance of Three Species of Shrews and the Shrew-mole in Managed Forests)

  • Lee, Sang D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4호
    • /
    • pp.441-449
    • /
    • 1995
  • The abundance of coarse woody debris (CWD) has been hypothesized to increase niche for forest dwelling insectivores, concentration of nutrients, and the diversity of invertebrates. However, no abjective assessment based on replication in the field has yet been don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invertebrate availability and the abundance of four insectivores (Sorex trowbridgii, S. vagrans, S. monticolus and Neurotrichus gibbsii) in western Washington, USA. Pitfall traps were used to determine abundance and diversity of invertebrates. Abundance of insectivores was not different between habitats except for S. vagrans which was more abundant in habitats with low amounts of CWD than in habitats with high amounts of CWD. Simpson’s diversity index computed for invertebrates did not differ between habitat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diversity indices of invertebrates and the abundance of shrews. Shrew abundance and the Coleoperan beetles also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results suggested insectivores might select a wide range of prey items in addition to surface-active invertebrates.

  • PDF

줄댕강나무 (Abelia tyaihyoni) 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공간구조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Structure in Populations of Abelia tyaihyoni)

  • 정지희;김규식;이철호;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67-675
    • /
    • 2007
  • I-SSR 표지자를 이용하여 영월지역의 줄댕강나무 2개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과 공간구조가 조사되었다. 줄댕강나무는 분포가 제한되어있고 집단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개체 수준에서 추정된 유전변이는 다른 관목류와 유사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S.I.=0.336, h=0.217). Genet 수준에서 조사된 유전다양성 역시 개체 수준의 값과 큰 차이가 없었다(S.l.=0.339, h=0.219). 전체 유전변이의 약 18.7%가 집단 간 차이로 나타나, 다른 관목류에 비해 다소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N_G/N$ 값과 Simpson's index로 추정된 유전자형 다양성 역시 다른 관목류에 비해 높았다($N_G/N=0.729$. $D_G=0.988$). 한 genet의 최대직경은 5.5 m로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유전자 및 유전자형 다양성과 genet의 작은 직경 크기는, 무성번식이 줄댕강나무 집단의 유전적 구성에 차지하는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개체 및 genet 수준에서 큰 차이 없이, 약 12-18 m 거리 내에 분포하는 개체 간에 자기상관성이 인정되었다. 줄댕강나무 집단의 현지외 보전을 위한 표본 추출 시, 연속 분포하는 집단에서는 최소 18m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것이 좋고, 소규모 단편으로 분리되어 분포하는 경우 최대한 많은 단편으로부터 표본을 채취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Tree Diversity,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 Riparian Forest from Certain Zones along the Dikhu River in Nagaland, India

  • Leishangthem, Devlin;Singh, Maibam Rome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31-45
    • /
    • 2018
  • At present the biodiversity of the riparian forest is under threat due to various anthropogenic pressures. Hence study was conducted along the three unprotected zones of riparian forest in Dikhu river, Nagaland, north-east India in order to compared the diversity,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riparian trees. In each zone $100{\times}100m^2$ plot were marked and subdivided into 20 plots of $10{\times}10m^2$. 10 plots on each side of the river were taken randomly covering 0.02 ha. Only tree with dbh ${\geq}10cm$ and dbh above 1.5 m above ground level were recorded as individual species. A total of 29 tree species belonging to 18 families were recorded from the three zones of the river. Tree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at the middle zone (19) followed by upper (14) and lower zone (7). The most abundant species and family recorded at upper, middle and lower zones were Melia azaderach of Euphorbiaceae ($380\;stems\;ha^{-1}$), Terminalia chebula of Euphorbiaceae ($432.5\;stems\;ha^{-1}$) and Duabanga grandiflora of Lythraceae ($365\;stems\;ha^{-1}$) respectively. The ranges of diversity indices observed in the three zones were: Shannon-Wiener index (1.25-0.73), Simpson diversity index (0.42-0.93), Evenness index (0.47-0.37) and Index of co-dominance (0.75-0.94). Rest of other indices were also estimated and compared. Distribution of trees shows the contagious pattern common in the upper and middle zones and regular in the lower zone. The girth size class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riparian forest is in less mature succession stage. This study emphasize the need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riparian forest by developing policy to declare the riparian zone as protected area to prevent further degradation and loss of biodiversity from these unregulated zones along the river.

Community Structure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s in the Area of Agar-Producing Alga Ahnfeltia Tobuchiensis Field (Starka Strait, Peter the Great Bay, East Sea)

  • Pavlyuk, Olga;Trebukhova, Yuli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3호
    • /
    • pp.165-170
    • /
    • 2007
  • The structure of the nematodes communities has been studied in the sediments on two sites located outside and under the layer of Ahnfeltia tobuchiensis (Kanno and Matsubara 1932; Makijenko 1970). Bottom sediments at the stations were represented by sands with a different degree of silting. Specific structure of nematodes at the station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under the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water depth, dissolved oxygen saturation, salinity, temperature of the bottom layer and organic carbon content inside of the sediment). Nematodes dominated (75.7 %) in meiobenthos community under the layer of A. tobuchiensis where concentration of silt particles was 12 %. Representatives of the family Comesomatidae were dominant. Low index of species diversity and high Simpson domination index were detected in this community. Under a layer of A. tobuchiensis with the thickness of 30 cm concentration of the silt particles was 5.39 %; nematodes density was low and made 32.1 % of the general density of meiobenthos. Species of the families Xyalidae and Monoposthiidae were dominant. Outside of A. tobuchiensis, field percentage of silt particles was minimal (3.1 %) and representatives of families Cyatholaimidae and Axonolaimidae dominated. The specific structure of nematodes in this type of the ground is characterized by high index of species diversity and low level of domination.

Global Tribology Research Output (1998 - 2012): A Macro Level Scientometric Study

  • Elango, B.;Rajendran, P.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4호
    • /
    • pp.35-48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ountry output and citation impact as well as to assess the level of interdisciplinarity in the field of tribology research during the period 1998-2012, based on the SCOPUS database. Macro-level scientometric indicators such as growth rate, shar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apers, citation per paper, share of un-cited papers, and publication efficiency index were employed. Further, the Simpson Index of Diversity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interdisciplinarity. The performance of top countries contributing more than 1000 papers during the study period was discussed. Contributions and share of continents and countries by income groups were examined. Further research contributions and citation impact of selected country groups were analyzed. This study reveals that high levels of interdisciplinarity exist in tribology research. Asia outperforms the other world regions and China contributes most of the papers (25%), while the United States receives most of the citations (22%).

사과 과수원(果樹園)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 우인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4-16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사과 과수원(果樹園)에서 잡초방제법(雜草防除法)을 확립(確立)하는데 필요(必要)한 자료(資料)를 얻고자 아산(牙山)과, 예산(禮山) 2개(個) 지역(地域)을 선정(選定)하여 약(約) 15일(日) 간격(間隔)으로 잡초(雜草)를 채취(採取)하여 잡초수(雜草數), 건물중(乾物重),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종생태적(種生態的) 및 사회적특성분석(社會的特性分析)과 우점도(優占度)를 구명(究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8과(科) 48종(種)이 발생(發生)했으며 명아주, 여뀌가 우점(優占)하였고 바랭이, 쇠비름, 망초가 차우점(次優占)하였다. 2. 잡초발생본수(雜草發生本數)는 4월(月), 건물중(乾物重)은 6월(月)과 10월(月)에 많았으며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의 발생(發生)이 많았고 월년광엽잡초(越年廣葉雜草)와 월년화본과잡초(越年禾本科雜草)는 봄에 발생(發生)이 많았다. 또한 연간(年間) 잡초(雜草)의 발생양상(發生樣相)을 보면 3월(月)에 발생(發生)하여 초여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월동잡초(越冬雜草)인 냉이, 둑새풀 이었으며 4월(月)에 발생(發生)하여 가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여뀌, 명아주였고 6월(月)에 발생(發生)하여 가을까지 생육(生育)하는 초종(草種)은 바랭이, 쇠비름 등(等)이었다. 3. 시기별(時期別)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最大種) 다양도(多樣度)와 안정도(安定度)가 높아 발생초종(發生草種)이 많은 숙전(熟田)이었으며 Simpson 지수(指數)도 높아 몇 초종(草種)이 우점(優占)하는 군락(群落)이었고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종내경쟁(種內競爭)보다 높아 초종간(草種間) 경쟁(競爭)이 많았다.

  • PDF

마늘 및 고추 경작지(耕作地)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Garlic and Red Pepper Fields)

  • 우인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원예작물(園藝作物) 경작지(耕作地)에서 잡초방제방법(雜草防除方法)을 확립(確立)하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마늘은 월동전(越冬前)인 1984년(年)과 월동후(越冬後)인 1985년(年), 고추는 1985년(年)에 천원(天原), 아산(牙山), 서천(舒川), 유성(儒城) 4개(個) 지역(地域)에서 2개(個) 지점(地點)을 선정(選定)하여 약(約) 15일(日) 간격(間隔)으로 잡초(雜草)를 채취(採取)하여 잡초수(雜草數), 건물중(乾物重),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종생태적(種生態的) 및 사회적(社會的) 특성(特性) 분석(分析)과 우점도(優占度)를 구명(究明)하였다. 1. 마늘경작지(耕作地)에 발생(發生)하는 초종(草種)은 27과(科) 68종(種)이었으며 우점초종(優占草種)은 쇠비름, 명아주, 바랭이였고 차우점초종(次優占草種)은 쇠뜨기, 둑새풀, 강아지풀이었으며 발생잡초(發生雜草)의 본수(本數)는 5월(月), 건물종(乾物種)은 6월(月)에 가장 많았고 마늘재배기간(栽培期間) 동안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2. 고추경작지(耕作地)에서는 17과(科) 38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했으며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이 우점(優占)하였고 피, 왕바랭이, 민바랭이, 중대가리풀 등이 차우점(次優占)했으며 발생잡초(發生雜草)의 본수(本數)는 6월(月)에 많았고 건물중(乾物重)은 6월(月)과 10월(月)에 낮았던 것을 제외하면 재배기간(栽培期間) 동안 큰 차이가 없었으며 여름 화본과(禾本科)와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는 6, 7월(月)에 발생(發生)이 많았다. 3. 고추경작지(耕作地), 마늘경작지(耕作地)에서 시기별(時期別)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와 안정도(安定度)가 높아 발생초종(發生草種)이 많은 숙전(熟田)이었으며 Simpson 지수(指數)도 높아 몇 초종(草種)이 우점(優占)하는 군락(群落)이었고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종내경쟁(種內競爭)보다 높아 초종간(草種間) 경쟁(競爭)이 많았다.

  • PDF

경주 국립공원내 개발지구별 딱정벌레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Coleoptera from Kyeongiu National Park)

  • 박종균;안승락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3-137
    • /
    • 2000
  • 경주국립공인은 경북의 동쪽 경주시 주위에 위치하고 전체 면적이 138.16km$_2$으로 총 8개 지구고 구성되어 있다. 본 조사에서는 이 중 주위 환경 특히 식생이 다소 상이한 4개 지구(단석산 지구, 토함산 지구, 남산지구, 대본지구)를 선정하여 주로 잎에 서식하는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및 분포도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30과 115속 139종에서 565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잎벌레과가 34속 45종 270개체로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지구별로 보면 토함산지구는 26과 86속 100종 321 개체였고, 단석산지구는 17과 58속 10종 216개체가 조사 되었다. 이 두 지구는 참나무류 및 초본류가 대부분으로 잎벌레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산림 식생을 이루었으며 따라서 높은 종 다양도를 보였다. 반면에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곰솔나무 군락지인 대본지구와 소나무군락지인 남산지구는 각각 2과 2속 2종 5개체와 7과 11속 11종 23 개체로 종 우점도는 높으나 종다양도에서는 아주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곤충류의 종 다양성, 그 중에서도 주로 식물의 잎에 서식하는 곤충류들은 그들이 서식하는 주위환경, 특히 산림식생과 밀접한 관계가 시음을 보여 주었다. 본 조사를 통하여 Stigmatium pilosellum Gorham (신칭: 검은띠개미붙이)과 Mordellina brunneotincta Marseul (신칭: 가슴세점박이꽃벼룩) 그리고 Rhaphitropis guttifer Sharp (신칭: 회색무늬소바구미)을 한국 미기록종으로 처음 보고하고자 한다.

  • PDF

Status, Distribution, Conservation and Use Value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MAPs) in Sagarmatha National Park, Nepal

  • Gaire, Damoda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3호
    • /
    • pp.253-258
    • /
    • 2014
  • The study attempts to assess the status, distribution, conservation and use value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MAPs) in the Sagarmatha National Park. Altogether 62 species of MAPs belonging to 47 genera and 33 families have been recorded in the study area. 10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are categorized as the potential species. Out of the these species, most potential in local but threatened species are Allium hypsistum Stearn, Cordyceps sinensis Sacc, Dactylorhiza hatagirea Soo, Nardostachys grandiflora DC, Aconitum orochryseum, Ephedra gerardiana Wall. Ex. Stapf, Swertia multicaulis D. Don, Picrorhiza scrophulariflora Penne, Rheum australe. D. Don, Malva verticillataL and Swertia pedicallata Benerji. By analysis of data using Simpson's diversity index (SI) and Shannon weaver function (H'), there was high diversity (more heterogeneous) MAPs species composition in the Manjo Gate to Large Dobhan. (0.98349). Less diversity (less heterogeneous) MAPs species composition was in Tyanboche to Pangoche (0.90419). Similarly, the Shannon weaver function shows that in plots laying out in Mongla to Phorche are evenly distributed than others However, higher MAPs species (i.e., 31) was found in the way of Manjo Gate to Larja Dobhan than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