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ple estimation techniqu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1초

Modified T-Plate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for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A New and Versatile Option

  • Ahmad, Imran;Mir, Mohd Altaf;Bariar, Lalit Moha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16-720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aim of evaluating modified T-plate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Methods A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in patients admitted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Ankylotic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plasty included condylectomy gap arthroplasty in 7, temporalis muscle flap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in 8, and modified T-plate interpositional arthroplasty in 13 cases. The patients were followed for three years. Collected data were tabulated and subjected to Fisher's exact test, chi-square test and probability estimation. Results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incisal distance of 32 mm was seen in 12 (92.31%) patients in the T-plate interposition group, in 2 (25%) cases of the temporalis muscle flap interposition group, and in 1 case (14.28%) of the condylectomy group at 12, 24, and 36 months. Re-ankylosis was observed in 1 case (9.69%) of the T-plate interposition group, while as it was observed in 4 (50%) cases in the temporalis muscle flap interposition group and 4 (57.14%) cases in the condylectomy group, and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the use of the T-plate over the past 5 years has been encouraging, and our physiotherapy technique is quite simple. Even illiterate parents can assess it easily. Hence, we recommend this easy technique that does not damage the temporalis muscle for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인접 영상 프레임에서 기하학적 대칭점을 이용한 카메라 움직임 추정 (Camera Motion Estimation using Geometrically Symmetric Points in Subsequent Video Frames)

  • 전대성;문성헌;박준호;윤영우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39권2호
    • /
    • pp.35-44
    • /
    • 2002
  • 카메라의 이동과 회전은 영상 프레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전역 움직임(global motion)을 유발한다. 이러한 전역 움직임을 포함하는 영상을 부호화하는 경우, 변화성분 검출(change detection) 기법을 사용하여 정확한 오브젝트를 분할하는 것은 실제적으로는 불가능하며 큰 움직임 벡터로 인해 높은 압축률을 얻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전역 움직임이 보상된 영상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전역 움직임 보상을 위한 기존의 카메라 움직임 추정 방법들은 계산량이 많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선 형식으로 구성되는 전역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영상 프레임 내의 대칭점(symmetric points)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패닝(panning)과 틸팅(tilting), 줌잉(zooming)에 대한 전역 움직임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전역 움직임 계산에는 카메라 회전에 대해 깊이(depth)에 독립적인 원경만이 사용되며, 영상 내에서 원경을 구분하기 위한 판별식도 논문에 제시된다. 또한, MPEG 시험 영상을 사용한 실험 결과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의 실시간 수행 능력은 많은 영상처리 분야의 전처리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A Comparison of Methods for Estimating the Productivity of Zostera marina

  • Park, Sang-Rul;Li, Wen-Tao;Kim, Seung-Hyeon;Kim, Jae-Woo;Lee, Kun-Seop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1호
    • /
    • pp.59-65
    • /
    • 2010
  • Because seagrass production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biodiversity and production of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accurate estimation of seagrass productivity is a critical step toward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roles of seagrass in these ecosystems. To develop an accurate and effective method of measuring seagrass productivity, we estimated leaf productivity of eelgrass (Zostera marina)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using three methods, the conventional leaf marking method, the elongation-mass method (Short '87 method), and the plastochrone method. In each season, shoots were pierced through the bundle sheath using a hypodermic needle and were collected after 2-4 weeks had elapsed to estimate their productivity. The leaf elongation and the leaf plastochrone intervals varied significantly among seasons. On an annual basis, the conventional leaf marking method showed the lowest leaf productivity estimates compared to the elongation-mass method and the plastochrone method, suggesting that the conventional leaf marking method underestimated leaf productivity as it ignored leaf maturation processes and new leaf growth within the sheath. Since the elongation-mass method considered leaf maturation processes, this method produced higher leaf productivity estimates than the conventional leaf marking method. On an annual basis, the plastochrone method produced the highest leaf productivity estimates. Below-ground productivity, which can be easily estimated using the plastochrone method, ranged between 3.29 and 5.73 (mg dry weight $shoot^{-1}\;day^{-1}$) and accounted for about 17.8% to 30.3% of total productivity. Because of the high contributions of below-ground productivity to total seagrass production, we suggest that the plastochrone method is an effective and simple technique for assessing both above- and below-ground productivities.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조계수추정 목적의 최적 계측점 선정 (Optimal Sensor Placement for Structural Parameter Estimation Using Genetic Algorithm)

  • 방은영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9-16
    • /
    • 2010
  • 구조물 상시모니터링에서 센서위치 최적화는 모니터링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구조계수 또는 손상도를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특성 자료를 계측하고자 할 때, 충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최적의 계측점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계측점 선정을 위한 최적화 기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의 핵심인 적합도함수를 구조계수에 의한 모드벡터의 민감도와 모드벡터의 직교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간단한 타워 구조물에 대한 예제 해석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적합도함수를 구성하고 있는 모드 민감도와 모드 직교성이 최적 계측점 선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예제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적합도 함수를 사용하면 계측 목적에 타당한 계측점을 선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계속조사에서 응답률을 반영한 표본크기 (Sample size using response rate on repeated surveys)

  • 박현아;나성룡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5호
    • /
    • pp.587-597
    • /
    • 2018
  • 조사목적에 부합하는 표본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추출방법 및 조사방법 결정, 설문지 작성 등의 절차가 필요하며 중요한 결정 중 하나가 표본크기 공식의 적용이다. 표본크기 공식은 추출방법에 따른 목표오차와 총비용 등을 설정함으로써 결정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단순임의추출에서 목표오차와 예상 응답률이 주어져 있을 때 과거 및 현재 시점의 모집단의 변동과 과거 자료의 추정오차 및 응답률을 사용한 표본크기 공식을 제안한다. 실제조사에서는 설계가중치 외에도 여러 가중치가 복합적으로 적용되는 추정량을 사용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설계가중치와 무응답 보정계수를 사용한 추정량에서의 표본크기 공식을 유도하며 이것은 시점별 조사방법이 달라질 경우 응답률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반영한 공식이 될 수 있다. 또한 모의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표본크기 공식과 비교함으로써 제안된 공식의 다양한 적용방안을 살펴본다.

NDVI와 기온자료를 이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추정 (Estimation of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NDVI and Temperature Data)

  • 신사철;안태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9-89
    • /
    • 2004
  • 원격탐사 기법은 식생 및 토지이용과 같은 지형조건과 관련된 증발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지표면에서 발생되는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인자는 기온, 습도, 바람, 일사량 및 토양조건 둥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다. 식생은 그 지점의 증발산량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증발산량을 지배하는 복잡한 인자는 식생의 성장조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결국 증발산량과 식생조건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성립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비교적 넓은 지점에 대한 식생상태를 파악을 위해서는 NOAA/AVHRR 자료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식생지수(NDVI)를 이용함으로서 증발산량과 NDVI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근거로 하여 NDVI와 기상자료를 조합하는 간편한 방법에 의한 실제증발산량 산정방법을 제안한다.

  • PDF

식물병(植物病) 진전(進展)의 한 유연적(柔軟的)인 통계적(統計的) 생장(生長) 모델 (A Flexible Statistical Growth Model for Describing Plant Disease Progress)

  • 김충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6
    • /
    • 1987
  • 식물병(植物病) 진전곡선(進展曲線)을 간편하고 융통성있게 기술하는 절편(切片) 1차(次) 회귀(回歸)모델이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안(提案)되었다. 이 모델은 병진전상황(病進展狀況)을 그 진전형태(進展形態)에 따라 소수(少數)의 1차(次) 회귀식(回歸式)으로 나누고 지표변수(指標變數)를 사용(使用)하여 다시 한개로 묶어 작성(作成)된다.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 얻은 12개(個)의 실제병진전상황(實際病進展狀況)에 대(對)한 절편(切片) 1차(次) 회귀(回歸)모델의 통계적(統計的) 적합도(適合度)는 기존(旣存)의 두모델(Logistic모델과 Gompertz모델)에 비(比)하여 증진(增進)되었으며 이 모델이 가진 단순성(單純性), 융통성 및 모수예측(母數豫測)의 용이성(容易性)이 논의(論議)되였다. 그 결과(結果), 절편(切片) 1차(次) 회귀(回歸)모델은 식물병(植物病) 진전(進展)을 기술(記述)하는 한 통계적(統計的) 모델로써 유용(有用)하게 사용(使用)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3차원 계층적 육면체 고체요소에 의한 p-적응적 해석 (p-Adaptive Analysis by Three Dimensional Hierarchical Hexahedral Solid Element)

  • 우광성;조준형;신영식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81-90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적분형 르장드르 다항식을 사용한 3차원 계층적 고체요소의 유한요소 정식화를 보여준다. 제안하는 육면체 고체요소는 절점, 변, 면, 그리고 내부모우드를 포함한은 4개의 서로 다른 모우드로 구성되어 있다. 영에너지 모우드와 일정변형률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고유치 시험과 조각시험이 수행되었다. 여기에 추가되어, 적응적 p-유한요소해석을 위해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구한 후처리 응력값의 평활화에 기초를 둔 사후오차평가 기법이 연구된다. 자유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렴속도측면에서 균등 p-분배와 불균등 p-분배에 의한 유한요소해의 차이점이 비교된다. 제안된 요소의 성능을 보이기 위해 간단한 캔틸레버보가 테스트되었다.

  • PDF

귓볼 하부 전위피판을 이용한 결손형 선천성 귓볼갈림증의 재건 (A One Stage Reconstruction of Defective Type Cleft Earlobe: Infra-auricular Transposition Flap)

  • 정동우;강대훈;김태곤;이준호;김용하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5-138
    • /
    • 2012
  • Purpose: Reconstruction of the cleft earlobe is challenging. Several procedures are available to reconstruct congenital earlobe deformities. However, for large defective type, surgical procedures and designs are complex and tend to leave a visible scar. We present a simple method of reconstruction for defective type congenital cleft earlobe using a one stage technique with infraauricular transposition flap. This allows for easy and accurate size estimation and good aesthetic outcomes. Methods: A 4-year-old male patient has congenital cleft earlobe and antihelical deformity. Otoplasty for antihelical deformity correction and one stage infra-auricular transposition flap for earlobe reconstruction were performed. The flap was designed from the inferoanterior margin of the earlobe. The size of the flap was determined based on the normal side, and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lap was 1 cm and 3 cm in size, respectively. An incision was made at the midline of the defective lobule. Further, the elevated flap was inserted. The elevated flap and the incision margins of the lobule were sutured together. Then, the donor site was closed primarily. Results: The volume and shape of the reconstructed earlobe were natural. There was no flap necrosis. The donor site had no morbidities and scar was not easily notable. Conclusion: Infra-auricular transposition flap can be designed easily and offer sufficient volume of earlobe. Furthermore, the scar is inconspicuous. In conclusion, infra-auricular transposition flap can be a good option for reconstructing a large defect type cleft earlobe.

조기 화재인식을 위한 화염 및 연기 검출 (Flame and Smoke Detection for Early Fire Recognition)

  • 박장식;김현태;최수영;강창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27-43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화재에 의한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기에 화재를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공조명으로 부터 화염을 판별하기 위해 화염의 고유한 색정보를 이용하여 화염후보영역을 판별하고 화염후보영역이 아닌 경우는 배경과 현재 프레임의 밝기차이와 채도를 측정하여 연기후보영역을 판별한다. 그러나 단순한 밝기 및 색체 정보만으로 화염이나 연기로 판별할 경우 오인식할 경우가 많아 화염 및 연기 후보영역에 대해 움직임을 측정한다. 각 후보영역에 대해 전형적인 움직임이 검출되면 최종적으로 화염인 경우는 활동성 정보를 이용하여 화염으로 판별하고 연기인 경우는 경계검출법을 적용하여 최종 연기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하는 방법에 대해 실제 CCTV 카메라의 영상신호에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과적으로 화염과 연기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