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ilarity of brand extens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인터넷 브랜드 확장 전략 사례 연구 (Case Study of Internet Brand Extension)

  • 양희동;황선숙;이채영;박민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95-107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의 브랜드 확장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소비자들이 인터넷 브랜드 확장을 평가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특성을 감안하여 인터넷 벤더에 대한 신뢰라는 변수를 새롭게 도입하였고, 이러한 신뢰가 인터넷 브랜드 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례 분석 결과 인터넷 브랜드는 확장 제품의 유사성의 영향보다는 소비자 경험에 의해 축적된 인터넷 벤더에 대한 신뢰가 인터넷 브랜드 확장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브랜드 제품-확장브랜드 제품간 유사성이 확장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중심으로 - (Influence of Product Similarity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ded Brand on Extended Product Evaluation - Focus on Franchise Brand -)

  • 김기석;신봉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78-389
    • /
    • 2011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다양한 제품군으로 브랜드를 확장하는 상황에서 모브랜드 제품과 확장브랜드 제품간 유사성 차이를 살펴보고, 각 확장제품과 모브랜드 제품간 유사성이 확장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제품간 유사성은 확장제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유사성이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간 인식적 태도 및 행동적 태도를 살펴 본 결과, 유사성이 높은 제품은 인식적 태도, 행동적 태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음식속성 유사성이 기술적 유사성에 비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브랜드확장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모브랜드 태도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유사성과 모브랜드 소비경험의 조절역할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Parent Brand on Trial Intention of Brand Extensions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imilarity and Consumption Experience of Parent)

  • 박지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9-67
    • /
    • 2019
  • 기존 연구들은 브랜드확장의 효과성을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 구매의도를 주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된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예측하는데 더 적절한 지표로 시용의도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도출한 영향요인인 모브랜드 태도, 지각된 유사성, 모브랜드 소비경험이 확장브랜드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모브랜드 태도가 확장브랜드 제품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또한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사성과 모브랜드 소비경험의 조절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브랜드확장 제품의 사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에는 최종적으로 186개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회귀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확장제품의 시용의도에 대한 모브랜드 태도의 강력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유사성이 높을수록 모브랜드 태도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브랜드에 대한 소비경험이 많을수록 두 변인 간의 관계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연구와는 달리 소비자 관점에서의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밝혔다.

Eye-tracking 연구: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소비자 지각 과정 (An Eye-tracking Study: Consumer Perceptual Processing of SPA Brand Extensions)

  • 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87-98
    • /
    • 2015
  • 최근 국내 의류 시장에서 SPA 브랜드의 급격한 성장을 기반으로 관련 업체들이 기존 의류 이외에 다른 종류의 다양한 제품(SPA 브랜드 확장)을 출시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 이면의 심리적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소비자 정보 처리 과정을 개념적으로 (1) SPA 브랜드 확장과 원 SPA 브랜드 간의 유사성 지각과 (2) 평가(태도와 구입의향)로 구분하였다. 이후 가상의 3종류 SPA 브랜드 확장(저, 중, 고 유사성 조건)에 대한 소비자의 유사성 지각 과정과 평가를 각각 아이트래커와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해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SPA 브랜드 확장의 유사성 지각 과정에서 외적 정보 탐색량과 정보 처리 수준은 '중>저>고 유사성 조건'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태도와 구입의향은 '고=중>저 유사성 조건'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평가가 유사성 지각 정도와 유사성 지각 과정에서 투입된 인지적 노력량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제안한다.

소비 양극화 시대에 확장 유사성, 출시 시기, 메시지 유형이 확장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milarity, time of release, and message type on the evaluation of extended brand in the era of consumption polarization)

  • 곽준식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141-149
    • /
    • 2017
  • 하루에도 수많은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고 소비는 점차 양극화되고 있다. 기존 고객의 이탈을 막고 양극화된 소비자를 잡기 위해 고급브랜드나 저가브랜드 모두 끊임없이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기업에게 있어 신제품 출시는 기존 고객 유지뿐 아니라 새로운 고객을 유인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신제품을 출시하면 소비자들에게 신제품의 이름과 핵심편익을 알려야하는데 이 비용이 만만치 않다. 게다가 신제품이 실패라도 하게 되면 기업이 지불해야 하는 금액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기업들은 기존에 고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유명브랜드의 이름을 신규제품에 활용하는 브랜드확장전략을 많이 사용한다. 확장브랜드는 소비자들에게 좀 더 쉽게 선택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양극화시대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유사성, 출시시기, 메시지 전략이 브랜드 확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브랜드와 유사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메시지보다는 추상적인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런 효과는 출시시기가 가까울수록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유사성이 높은 제품으로 브랜드 확장을 할 경우에는 출시시기가 가까울 경우에는 구체적 메시지 위주로, 출시시기가 먼 경우에는 추상적 메시지를 위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기업이 브랜드확장을 할 때 확장 유사성뿐만 아니라 출시시기와 메시지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확장 외식 브랜드에 대한 개념 일치성과 고객의 지식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Consitency of Brand Concept on Consumer Attitudes : Moderating Roles of Knowledge, Involvement and Typicality)

  • 추상용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9
    • /
    • 2005
  • The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concept consistency and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and the moderating roles of knowledge, involvement and typicality on their relationship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In the severely competitive market, brand extension strategy has become a key strategy to the companies that are trying to expand in the new market and to cut down the marketing cost. First , the similarity which is measured by consistency of brand concep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Second, the knowledge on the original brand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stency of brand concept and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More knowledge brings on more favorable attitudes.

  • PDF

Effects of Product Number and Brand Breadth on the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 Yeu, Minsun;Yuk, Hyeyeon;Kim, Boha;Yoo, Jung-Hyun;Cho, Seong Wan;Yeo, Junsang;Park, Chan Su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97-115
    • /
    • 2013
  • This paper was motivated by two gaps in the extant literature on brand portfolio planning. First, research has shown that, as the number of products connected to a brand increases, the extended product receives more favorable evaluations. However, this result was obtained by comparing two brands with different number of products while controlling the brands' breadths. Hence one may question if the above result would hold when the brand is narrow as well as broad. Second, the literature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brand breadth on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within a relatively limited range ("narrow vs. broad") and not considered the case of a "very broad" brand. To address these gaps, we propose two hypotheses: 1)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products associated with a brand on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 moderately far brand extension are moderated by the brand's breadth (H1);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a brand's breadth and a moderately far extension's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looks like an inverse-U shape (H2). Study 1 was conducted to test H1. Study 1 employed a 2 × 2 within-subjects design in which the first factor was the number of products (small (2) or large (5)), and the second factor was brand breadth (narrow or broad). We measured brand breadth as the perceived similarity among products associated with a brand. Participants provided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Study 2 was conducted to test H2 as well as to replicate Study 1 in a more general setting and with different products. It employed a 2 × 3 within-subjects design, in which the first factor was the number of products (small (2) or large (5)), and the second factor was brand breadth (narrow, broad, or very broad). The results from two experiments support both hypothese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brand extensions in two ways. First, it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product number and brand breadth on extended product evaluations by considering the two factors jointly. Second, we believe this study to be the first to present evidence that brand breadth can exert an inverted U-shape effect on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The results also offer implications for marketers. First, marketers should heed the finding that adding similar products to a narrow brand does not help the brand's extension launch. Second, the find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breadth and extended product evaluations might not be linear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While a narrow brand should not keep launching close extensions, nor should a broad brand continue producing far extensions to broaden its breadth. A firm with a broad corporate or family brand might want to consider introducing a new brand instead of adding dissimilar products under the brand umbrella.

  • PDF

조정변수로서 소비자의 유행관여, 상표친숙성, 부정적 정보가 의류상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shion Involvement, Familiarity and Expertise of Negative Information as Moderate Variable on Extended Apparel Brand Evaluation)

  • 황선진;송기은;이윤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ustomers' fashion involvement, brand familiarity, and expertise of negative information moderate the influence of the original brand attitudes on the attitude toward extended brand attitudes in the fashion market. For these purposes, four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data was collected from 480 student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methods such as factor analysis, frequency, 1-test,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original brand attitudes positively influence the extended brand attitude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original brand attitudes on the extended brand attitudes was stronger when fashion involvement was high rather than low. Third, in the case that perceived similarity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extended product classes was high, the influence of the original brand attitudes on the extended brand attitudes was stronger when brand familarity was high. Fourth, the influence of original brand attitudes on the extended brand attitudes was stronger when the perceived expertise of negative information source on the extended brand was high.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extending brands requires the systematic brand management considering customers' variables such as fashion involvement, brand familiarity, negative information etc. Also, it seems that the brand strategy should be based on the segmentation for targeted customers' characteristics.

PL의 브랜드확장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모브랜드 적합도 인식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Brand Extension of Private Label on Consumer Attitude -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fit difference between parent brands and an extended brand -)

  • 김종근;김향미;이종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7
    • /
    • 2011
  • 브랜드확장은 다양한 마케팅 영역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던 영역으로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나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는 PL(Private Label)제품에 대해 브랜드확장의 개념을 활용하여 차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최근 PL제품에 관한 마케팅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채 단순한 적용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확장에 관련된 연구들에서도 PL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특히 PL제품의 확장에 있어서는 두 가지 모브랜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두 가지 모브랜드인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모브랜드가 PL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 모브랜드와 확장 PL제품간 유사성에 의해 상이할 것이라고 제안하였으며,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신뢰와 만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 모두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적합도 정도에 따라 그 영향력이 상이함도 실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였다. 즉 확장 PL제품의 태도는 모브랜드의 적합도가 보다 강하게 형성된 모브랜드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PL제품을 확장할 경우 소비자가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모브랜드에 기초하여 해당 모브랜드와의 연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