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ilver Contents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1초

실버세대를 위한 기능성 게임 콘텐츠 개발 (Developing Functional Game Contents for the Silver Generation)

  • 김은석;이현철;주재홍;허기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51-162
    • /
    • 2009
  • 고령화가 진전되면서 실버세대가 경제적으로 차지하는 비율도 매우 증가하여 생산과 소비의 주체가 되는 시대로 변모하고 있다. 실버세대의 경제적 활동이 증가하는데 반해 여가 활동을 대비하는 실버 콘텐츠개발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실버세대는 신체적 노화로 지각능력과 학습능력, 운동능력 등이 젊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이동성이나 활동성 면에서도 취약하기 때문에 실버세대를 위한 기능성 실버콘텐츠와 사용이 용이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버세대의 여가 활용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하체 운동 효과를 갖는 게이트볼, 체감형 자전거, 두더지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게임으로서의 재미와 함께 실버세대의 인지능력, 신체 활동 능력에 맞는 기능적 디자인 요소를 고려하였고, 실버세대들이 사용하기 쉬운 체감형 인터페이스와 개별적인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진행 방법을 통해 지속적인 흥미와 하체운동 효과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특성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Silver Towns)

  • 권지혜;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79-288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액티브 시니어'로 불린다. 액티브 시니어는 높은 거주 비용에도 불구하고 도심의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며 그들만의 새로운 도시콘텐츠를 만들어 간다. 액티브 시니어의 생활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도시 콘텐츠는 그들의 거주지 선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바탕으로 액티브 시니어의 주요 거주지로 선호되는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고려한 도시형 실버타운 입지 특성으로는 1) 대중교통, 2) 주변간선도로, 3) 문화 쇼핑시설, 4) 의료시설, 5) 아파트 단지, 6) 자연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자연적 환경보다는 주변의 의료시설 및 아파트 단지 및 문화 쇼핑 시설이 도시형 실버타운의 주요한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액티브 시니어의 새로운 도시 콘텐츠인 도심 실버타운의 입지선정뿐만 아니라 고령자 주택 관련 정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韓國) 남서부(南西部)의 덕음(德蔭)과 전주(全州)-금은광상(金銀鑛床)에 대(對)한 암석지구화학적(岩石地球化學的) 연구(硏究) (Lithogeochemistry on the Dukum and Jeonjuil gold - silver deposits in Southern - western part of Korea)

  • 윤정한;전용원;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21권4호
    • /
    • pp.389-400
    • /
    • 1988
  • Minor elements such as Ag, As, Au, Bi, Cd, Cu, Co, Ni, Pb, Rb, Sb, Sr and Te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and induced coupled plasma spectrophotometry in order to investigate pathfinders for gold in quartz porphyry, granite porphyry and vein materials in Jeonjuil gold - silver mine, and in altered biotite granites and vein materials in Dukum gold - silver mine. In Dukum gold - silver mine, it is observed that Au contents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s, Co, and Rb contents, but negative relation with Bi contents in altered biotite granites. Au contents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g, As, Co and Te contents in vein materials. In Jeonjuil gold - silver mine, it is observed that Cd, Rb, Sr and Te are enriched near ore vein in quartz porphyry and granite porphyry. Au contents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s, Cd, Cu, $Fe_2O_3$ and $K_2O$ in vein materials.

  • PDF

실버포탈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 연구: 40세 이상의 잠재 실버포탈 이용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ference of Silver Portal Contents: Focused on the Pre-senior Internet Users)

  • 강명진;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33-244
    • /
    • 2009
  • 본 연구는 향후 40세 이상의 예비노인 및 노인들이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 인터넷 포탈사이트를 실버포탈(silver portal)로 정의하고, 이러한 포탈이 향후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유형에 대하여 잠재 실버포탈 이용자들이 어떠한 선호도를 나타내는가를 파악하고자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40세 이상의 예비노인의 개인의 특성(인구통계적 특성, 인터넷 이용 특성)에 따라 실버포탈이 제공할수 있는 콘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탐색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향후 관련 실증연구들에서 적용하여 사용할수 있는 연구명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의뢰하여 실증적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개인의 여러 가지 특성에 따라 실버포탈의 콘텐츠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달라지는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들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명제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실버세대를 위한 그림동화책의 필요성과 특성 (The Necessity and the Characteristic of Picture Books for the Silver Generation)

  • 이서;오치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87-39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그림동화책의 필요성과 특성을 학문적 고찰을 통해 실버세대를 위한 그림동화책의 디자인적 특성들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고령화 현상과 문헌정보학, 교육학, 문학치료학 등 문헌자료의 분석결과를 통해 그림동화책은 실버세대들의 심신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지만 실버세대를 위한 동화책은 수요에 비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실버세대를 위한 동화책 연구개발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세대의 시각기관, 몸 기능, 심리적 요인 등 특성을 반영한 그림동화책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면서 동시에 실버세대를 위한 동화책을 디자인 할 때 그림의 특징 요소 중 스토리내용, 그림(표현방법, 크기, 레이아웃, 구도, 색채), 타이포 등에서 실버세대들의 독서 장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버세대의 특성에 맞춰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에는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실버세대를 위한 그림동화책의 구성에 적합한 디자인적 특성이 입체적인 분석 데이터를 연구함에 있어 선행 자료의 일부분으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Solid Contents 에 따른 Ag Paste 의 특성 변화 (Characterization of Ag Pastes with solid contents variation)

  • 조현민;유명재;이우성;양형국;박종철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02년도 추계기술심포지움논문집
    • /
    • pp.169-172
    • /
    • 2002
  • Silver pastes for inner conductor in the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are composed of silver powder, binder, solvent and additives. The composition of the chemicals have influence on rheology, printability, shrinkage rate, etc. In this study, commercial Ag pastes and Ag pastes made in KETI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Ag paste and solid contents. Ag pastes with 68~90 wt% Solid Contents were tested. Substrate/paste matching property and conductivity of the conductor lines showed large dependence on solid contents of Ag paste.

  • PDF

실버 세대의 의존성과 웹 사용 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dependency of silver generation and web use environment improvement)

  • 김양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30-634
    • /
    • 2008
  • 본 논문은 초 고령화 사회를 앞두고 실버 세대의 의존성을 보완하기 위한 웹 환경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일반인에 비해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실버 세대의 웹 환경 개선을 위해서, 내용 구성과 기능 보강을 통한 웹 인터페이스 기능 확장 사례를 통해 접근성과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실버세대와 관련 사이트에서 웹 사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시도는 긍정적이었지만, 통일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디자인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학습이 요구되고 개발 업체는 표준화되지 못한 디자인을 양산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운영체제의 모듈 지원, 표준화된 디자인 방안 수립 등의 해결 방향 제시를 통해 실버세대의 정보화 사회 적응을 유도하기 위한 웹 환경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 PDF

Effects of nano silver contents on screen printed-etched gate electrodes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OTFTs

  • Lee, Mi-Young;Park, Ji-Eun;Song, Chung-Ku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17-919
    • /
    • 2009
  • Effects of nano-silver contents(15~50wt%) on screen printed-etched gate electrodes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OTFTs were investigated. As Ag contents increased, the screen-printed film was transferred exactly without spreading and obtained the densely-packed layer with a stable and excellent conductivity but, its thickness was increased and surface became rougher. It was found that the leakage current of MIM devices and off-state currents of OTFTs became larger due to poor step coverage of PVP dielectric layer on the thick and rough gate electrodes for nano-Ag inks with Ag contents more than 30wt%.

  • PDF

나노 크기의 실버 및 글래스 분말로부터 형성된 실버 전극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ilver Electrode Formed from Nano-Sized Silver and Glass Powders)

  • 구혜영;김정현;이장희;고유나;강윤찬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570-574
    • /
    • 2010
  • Silver conducting films were formed from nano-sized silver powders and glass frits prepared by flame spray pyrolysis. The mean sizes of the silver powders and glass frits were 73 and 63 nm, respectively. Nano-sized glass frits improved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silver conducting film to the glass substrate. The densities of the silver conducting film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glass contents of the films at firing temperatures of 400 and $500{^{\circ}C}$. The specific resistances of the silver conducting films with 5 wt.% glass of silver component were 7.8, 4.2 and 2.4 cm at firing temperatures of 400, 450 and $500{^{\circ}C}$.

Diffraction Efficiency Analysis of Silver Halide Film for Color Holography Recording

  • Park, Sung Chul;Kim, Sang Il;Son, Kwang Chul;Kwon, Soon Chul;Lee, Seung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16-27
    • /
    • 2015
  • Holography technology which was developed by Dennis Gabor (1900~1979) in 1948 is a technology to record wave planes of actual 3D objects. It is known as the only technology which can express 3D information most perfectly close to human-friendly. Holography technology is widely used in advertisement, architecture and arts as well as science technology areas. Especially, digital holographic print which is an applied area is greatly used in military map, architecture map and cultural asset restoration by printing and reproducing 3D information. Holography is realized by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amplitude and phase information on high resolution film using coherent light like laser. Recording materials for digital holographic printer are silver halide, photoresist and photopolymer. Because the materials have different diffraction efficiency according to film characteristics of each manufacturer, appropriate guide lines should be suggested through efficiency analysis of each film. This paper suggests appropriate guide lines through the diffraction efficiency measurement of silver halide which is a holographic printer recording medium.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ppropriate guide lines through diffraction efficiency analysis of Ultimate 08-C and PFG-03C which are commercially used. The experiment was prepared by self-diffraction efficiency system which measures the strength with the defector by penetrating RGB recording medium and concentrating diffracted beams through collimating lens. The experiment showed Geola's PFG-03C which is a silver halide for full color has price/performance advantage in optical hologram recording, but recording angles and reproduction angles are irregular for digital holographic printer recording. Ultimate's Ultimate08-C for full color shows its diffraction efficiency is relatively stable and high according to recording angles and laser wavel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