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oxane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6초

Preparation of Carbosilane Dendrimers Based on Siloxane Tetramer: Silane Arborols $(VII)^1$

  • 김정균;안경미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8권2호
    • /
    • pp.164-170
    • /
    • 1997
  • Via hydrosilation-alkenylation approach using hydrosilanes (HSiMeCl2 and HSiCl3) and allylmagnesium bromide with siloxane tetramer (MeCH2=CHSiO)4 as core molecule, noble carbosilane dendrimers with 12, 24, 48 and 96 allylic end groups have been prepared. The reaction path of the repetitive alkenylation and hydrosilation was monitored by means of NMR spectroscopic measurements. Every step for the formation of dendrimer provided almost quantitative yields as pure dendrimer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UV spectroscopic measurements of Gn (n=1-4) molecules containing allylic end groups, the maximal molal absorption coefficients (εmax) at λmax and the number of double bonds proved an exponentially increased correlation.

시멘트 모르타르 내 실란-실록산 고정을 위한 다공성 혼화재료의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tilization of Porous Admixtures for Fixing Silane-Siloxane in Cement Mortar)

  • 윤창복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7-68
    • /
    • 2023
  • After mixing the pozzolan-based powder and water repellent with porosity into the cement mortar, micro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water repellent contact angle confirmed that the NZS specimen using natural zeolite had the highest contact angle. The specific surface area is increased due to the porosity of natural zeolite, so the adhesion of silane-siloxane is relatively better than that of FA, and it is judged to have a uniform distribution inside the mortar.

  • PDF

페닐기 함유 열경화성 폴리유기실록산 코팅제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t Curable Polyorganosiloxane Coating Materials)

  • 이진혁;강두환;강호종
    • 폴리머
    • /
    • 제39권3호
    • /
    • pp.499-505
    • /
    • 2015
  • Dimethyldimethoxysilane(DMDMS), methyltrimethoxysilane(MTMS)과 phenyltrimethoxysilane(PTMS)을 이용하여 폴리유기실록산 열 경화성 코팅액을 제조하고 가교도와 페닐기 함량이 코팅액과 도막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Si-NMR 측정에서 얻어진 D $T^{Me}$ $T^{Ph}$ 구조 코팅액 조성비가 사용된 DMDMS, MTMS, PTMS의 몰 비로부터 얻어진 이론치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교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페닐 함량이 낮을수록 실록산 결합의 증가에 의하여 코팅액 분자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으며 페닐기 증가는 코팅액 굴절률 증가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가교밀도가 높을수록, 페닐기 함량이 감소할수록 코팅도막 경도는 증가되었으며 내열특성 또한 우수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같은 실록산 결합을 갖는 폴리유기실록산 코팅제라도 치환도에 따른 가교도 조절과 페닐기 함량에 따라 코팅액 물성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kW급 LFG 가스터빈 발전용 연료화 정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uel Conditioning System for 30 kW-class LFG Gasturbine Power Generation)

  • 허광범;박정극;임상규;이정빈
    • 신재생에너지
    • /
    • 제6권1호
    • /
    • pp.29-37
    • /
    • 2010
  • Biogas is a carbon neutral energy and consists of mostly methane and carbon dioxide, with smaller amounts of water vapor, and trace amounts of $H_2S$, Siloxane and other impurities. Hydrogen sulfide and Siloxane usually must be removed before the gas can be used for generation of electricity or heat. The goals of this project are to develope the Fuel conditioning system of Land Fill Gas for 30kW-Micro Gas Turbine co-generation system. The fuel conditioning system mainly consists of $H_2S$ removal system, Land Fill Gas compressor, Siloxane removal system and many filtering systems. The fuel requirement of 30kW MGT is at least 32% of $CH_4$, $H_2S$ (<30 ppm), Siloxane (<5ppb) and supply pressure (> 0.6 MPa) from LFG compressor. Main mechnical charateristics of Micro Gas Turbine system by using LFG have the specific performance; 1) high speed turbine speed (96,000 rpm) 2) very clean emmission NOx (<9 ppm) 3) high efficiency of energy conversion rate.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y for LFG fuel conditioning system. The study also has the plan to replace the fuel of gas turbine and other distributed power systems. As the increase of Land Fill Gas (LFG), this system help to contribute to spread more New & Renewable Energy and the establishment of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 for Korea.

Nickel Ferrite 함유 Poly(organosiloxane) Rubber Nanocomposite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organosiloxane) Rubber Nanocomposite Containing Ultrafine Nickel Ferrite Powder)

  • 강두환;이권수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156-160
    • /
    • 2005
  • Octamethylcyclotetrasiloxane$(D_4)$과 1,3,5-trimethyl-1,3,5-triphenylcyclotrisiloxane$(D_3^{Me,Ph)$을 1,1,3,3-tetramethyl-1,3-divinyldisiloxane(MVS)과 평형중합시켜 실리콘의 Si원자에 dimethyl 및 methylphenyl기가 도입된 $\alpha,\omega-vinyl$ poly(dimethyl-methylphenyl) siloxane prepolymer(VPMPS)를 제조하였으며, 또한 $D_4$와 1,3,5-trimethylcyclotrisiloxane$(D_3^:Me,H})$을 1,1,3,3-tetramethyldisiloxane(MS)와 평형중합시켜 Si원자에 dimethyl 및 methylhydrogen기가 도입된 $\alpha,\omega-hydrogen$ poly (dimethyl-methyl) siloxane prepolymer(HPDMS)를 제조하였다. Poly(acrylic acid)(PAA)을 chelating agent로 하여 nickel(II) nitrate와 iron(III) nitrate를 솔-젤 방법으로 PAA 금속염을 제조하고 이틀을 소결시켜 nickel ferrite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nickel ferrite는 XRD 패턴으로 확인하고 입자의 크기를 TEM으로 측정하였다 1,3-Divinyltetramethyldisilazane(VMS)으로 표면처리한 나노 실리카, nickel ferrite, VPMPS, HPDMS 및 촉매를 고속 교반기에 가하고 $130^{\circ}C$에서 컴파운딩하여 poly(organosiloxane) rubber nanocomposites를 제조하였다. Nickel ferrite 함유한 nanocomposite, POX-30과 POX-50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기계적 및 열전도 특성 그리고 체적 저항을 측정하였다.

시판 폴리비닐실록산 인상재의 물성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properties of commercial polyvinyl siloxane impression materials)

  • 강재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71-18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with the properties of commercial polyvinyl siloxane impression materials on the Korean product and the other country one.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5 hydrophilic polvinyly siloxane impression materials of light body automixing type (Perfect-F, Handae Chemical, Korea; Examix, GC, Japan; Contrast, VOCO, Germany; Express, 3M, U.S.A; Extrude, Kerr, U.S.A.). Specimens of each impression material were fabricated from a mold with dimensions identical to that specified in ASTM D624-91 and were subjected to tensile lode at 500 mm/min until failure for tear strength. Properties of consistency, strain in compression, recovery from deformation, detail reproduction and linear dimensional change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testing methods of the ISO specification no.4823(1992). From this study, the follow 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tear strength values were high ET(3.4kN/m), EP(3.4kN/m), PF(3.0kN/m), CT(3.0kN/m), but the lowest was EM(2.2kN/m)(p<0.05). 2. In the consistency, CT(47 mm)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PF(42.1 mm), ET(41.2 mm), and EM(39.6 mm), EP(39.2 mm)(p<0.05). It means more flow that the consistency value is high. 3. The strain in compression values were high followed by EM(5.8%), PF(52%), CT(4.6%), ET(4.1%), EP(2.9%)(p<0.05). 4. In the recovery from deformation, ET(99.95%) and PF(99.90%) ha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EP(99.75%), EM(99.74%)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tion, CT(99.64%) had the lowest value(p<0.05). 5. Detail reproduction reappeared to line $20{\mu}m$ all products. 6. The linear dimensional change was a little shrinked all products. and there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tion (p>0.05). All products were satisfied the ISO specification.

  • PDF

그래프트형 실록산 폴리올을 이용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Organic-Inorganic Hybrid Waterborne Polyurethane by Using Graft Type Siloxane Polyol)

  • 임재우;임진형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69-574
    • /
    • 2009
  • 수분산 PUD 필름의 내스크래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카보네이트(PCD), 에스터(PCL), 실옥산(PDSBP)형의 폴리올을 혼성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수분산 폴리우레탄(PUD)을 합성하였다. 선형구조(Linear type)의 PUD보다 그래프트형(graft type)의 PUD가 유화입경이 커지는 경향이며, 이는 소수성의 실옥산 그래프트 구조에 기인된다고 생각된다. 합성 PUD의 열적성질은 linear type의 PUD는 PC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리전이온도($T_g$)는 증가하였으며, 열분해온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graft type PUD는 PDSBP의 양이 증가할수록 $T_g$는 감소하였고, 열분해온도는 거의 유사하였다. Graft type PUD는 PDSB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스크래치 특성 및 hardness는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9 wt%의 PDSBP 폴리올이 혼성된 경우, 3.3 N의 내스크래치 특성과 9 H 이상의 연필경도를 가지는 우수한 PUD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감귤 Essence Aroma 모델액의 농축 (Concentration of Citrus Essence Aroma Model Solution by Pervaporation)

  • 이용택;박중원;신동호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68-76
    • /
    • 2006
  • 본 연구는 투과증발법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 미량의 감귤 향 성분을 농축하는 방법으로,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이용하여 막 종류와 구조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적의 막을 선정하여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 유속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resistance-in series model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통한 감귤 essence aroma 모델액의 투과 실험에서 지지층이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이고 활성층이 polyoctylmethyl siloxane (POMS)인 막이 가장 높은 향 성분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을 나타내었으며,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유속을 변화시키며 투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는 증가하고 농축계수 값은 감소하였으며 순환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 모두 증가하였다.

보론 나이트라이드와 탄소나노튜브로 충전된 실리콘 고무의 열전도도 향상 (Improv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of Poly(dimethyl siloxane) Composites Filled with Boron Nitride and Carbon Nanotubes)

  • 하진욱;홍진호;김민재;최진규;박동화;심상은
    • 폴리머
    • /
    • 제37권6호
    • /
    • pp.722-729
    • /
    • 2013
  • Poly(dimethyl siloxane)(PDMS, 실리콘 고무)의 열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보론 나이트라이드과 탄소나노튜브를 열전도성 충전제로 사용하였다.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함량은 0에서 100 phr로 증가시켰으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은 보론 나이트라이드의 함량을 100 phr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0에서 4 phr로 증가시켰다. 실리콘 고무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는 보론 나이트라이드 함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탄소나노튜브를 추가로 첨가하더라도 열전도도 향상에 대한 효과는 미미하였다. 100 phr 함량의 보론 나이트라이드 함량에 탄소나노튜브를 충전 시 복합재료의 열분해가 가속화되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얻었다. 이를 해석하기 위하여 Horowitz-Metzger 방법을 이용하여 열분해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였다. 또한 보론 나이트라이드/탄소나노튜브가 충전된 실리콘 고무 복합재료의 경화거동, 전기저항 및 기계적 물성을 연구하였다.

Si-O Bridged 실리카가 충진된 치아수복용 고분자 복합체의 중합 특성 (Polymerization Behavior of Polymeric Dental Restorative Composites Filled with Si-O Bridged Silica)

  • 김오영;이정수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672-676
    • /
    • 2005
  • 치아수복용 고분자 복합체(polymeric dental restorative composite, PDRC)의 전치부와 구치부에의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PDRC를 구성하는 실리카 충진재를 다양한 온도에서 열처리시켜 siloxane 기로 연결된 구조의 개질된 실리카를 제조하고 이를 PDRC 제조에 사용하였다. 제조된 PDRC의 중합 특성을 중합전환률, 중합깊이, 그리고 체적 중합수축률 등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실험 결과, 사용된 실리카의 열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조된 PDRC의 중합깊이는 감소하였고 체적 중합수축률과 중합전환률 값은 실리카 입자의 평균크기 감소에 따른 PDRC 내 resin matrix의 상대적 양의 증가로 인해 일정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