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ificant wave height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6초

수치 모델링을 이용한 홑자망 어구의 유실 원인 분석 (Analysis for gillnet loss in the West Sea using numerical modeling)

  • 이건호;김인옥;차봉진;정성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600-613
    • /
    • 2015
  • The Fishing gear loss has been repeated every year in the West Sea; however, there has been no solution. So fisher men have undergone economic loss every year. Thus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loss of fishing gear. In this study to find out the reason that the fishing gear is lost in the Sea, 10 years data of wave and current for 6 locations in the West Sea were investigated and a numerical modelling were conducted into the behaviour of a gillnet in wave and current. The fishing gear was modelled with the mass spring model. As a result,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the location where fishing gear loss occurred most frequently was Choongnam province. The height of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in this province was 6.7 m and the period of that was 4.4 second. The maximum current speed was 0.7 m/s. As a result of simulation with thes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 buoy is one of the reasons to decrease the holding power of the gillnet. For example, the tension of anchor rope was decreased to 50% while the drag coefficient or volume of buoy was decreased to 25%. So it is predicted that an improvement of the buoy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the gillnet loss.

부선의 파랑중 저항 증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ded Resistance of Barge in Waves)

  • 안병길;이상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41-746
    • /
    • 2010
  • 선박이 파랑중을 항행할 경우에는 정수중에 비하여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예부선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예선의 예인마력과 예인삭의 절단하중 등을 산정할 때에 부선의 정수중 저항값 및 파랑중 저항값을 정확히 추정해야 안전한 예항업무를 이행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법에 의하면 부선의 전저항 산정시 마찰저항, 조파저항, 공기저항은 선체의 형상 및 예선의 속력 등을 고려하여 산정하지만 부가저항은 유의파고에 따라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랑중 부가저항 추정을 위해 수치계산을 실시하여 wigley 선형에 대한 기존의 실험 데이터와 상호 비교함으로서 본 계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수치계산법을 토대로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두개의 부선 모델을 대상으로 계산을 실행한 결과 부선의 부가저항은 파도와의 만남각에 따라 약 0.3∼1.1톤, 예인속력에 따라 약 0.4∼1.2톤, 선수형상에 따라 약 0.5∼1.1톤으로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사석방파제 위에 피복한 Rakuna-IV의 안정공식 (Stability Formula for Rakuna-IV Armoring Rubble-Mound Breakwater)

  • 서경덕;이태훈;;남홍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181-1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사석 방파제 위에 피복한 Rakuna-IV에 대하여 파랑조건과 구조물의 경사를 변화시키며 51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안정공식을 유도하였다. 안정공식에서 안정수는 상대피해, 파의 개수, 구조물 경사 및 surf similarity parameter의 함수로 표시된다. 안정공식은 권파와 쇄기파에 대하여 따로따로 유도되었으며, 둘 중 안정수를 크게 계산하는 공식을 사용한다. 또한 권파와 쇄기파의 경계가 되는 critical surf similarity parameter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Hudson 공식에서 사용되는 안정계수에 익숙한 기술자들에게 Rakuna-IV의 안정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권파와 쇄기파 조건에 대하여 유의파고의 변화에 따른 Rakuna-IV의 소요중량을 계산하고, 이를 몇몇 다른 안정계수를 사용한 Hudson 공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저자원(海底資源) 개발용(開發用) Semi-Submersible 설계기준(設計基準)의 정립(定立)을 위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asic Design Concept for Semi-Submersibles)

  • 박종은;김재근;황종흘;임상전;최항순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0
    • /
    • 1983
  • In this paper design criteria for semi-submersibles, effective at the stage of basic design, are reviewed first generally. Thereafter an extensive study is focussed on essential problematic areas such as design load, heaving motion, overall structural analysis and welding technique. The necessity for this kind of research is apparent in the light of the fact that ocea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becomes extended to deeper ocean and that semi-submersibles are the most favorite unit for operation under this environment. In some sense principles in naval architecture are indeed applicable to the design of semi-submersible. However,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geometry between ships and semi-submersibles, there are significant deviations in design method. A thorough discussion is made on particular behaviours of a semi-submersible in stability, wave load, motion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responses. Then some calculation-procedures and design guidelines are tentatively proposed. A numerical calculation for a semi-submersible Sedco 708 is exemplifi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e structure has 4 main and another 4 secondary stabilizing columns with catamaran-type lower hull. In this example design condition is supposed to be 28m wave height, 90 knots wind speed for survival condition and seastate 6 for operational condition in water of 100m depth. The numerical result implies that the actual design of this model can be assessed close to optimum. Further intensive research is strongly required in the subject fields of dynamic stability, rational evaluation of wave load statistical basis for fatigue life judgement.

  • PDF

세굴을 고려한 해상풍력터빈 지지구조물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Offshore Wind Turbine Support Structures Considering Scouring)

  • 김영진;이대용;김동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524-530
    • /
    • 2020
  • 세굴에 의한 해상풍력터빈 지지구조물의 위험도 평가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방법은 세굴깊이별 발생확률과 세굴깊이에 따른 취약도를 이용한 위험도 평가방법이며 지진위험도 평가기법을 변형한 것이다. 세굴깊이의 확률분포는 유의파고, 유의 주기, 조류속 등 해양 환경조건을 고려하기 적합한 경험식을 이용해 산정했으며, 해상풍력터빈 지지구조물의 동적응답을 이용하여 세굴취약도 곡선을 산정하였다. 세굴깊이별 발생확률과 세굴에 의한 구조물의 세굴취약도 곡선을 결합하여 세굴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거친 바다표면의 마이크로파 반사 계산을 위한 이론적 모델 정확도 검증 (Accuracy Verification of Theoretical Models for Estimating Microwave Reflection from Rough Sea Surfaces)

  • 박신명;오이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788-79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거친 바다표면의 마이크로파 반사를 계산할 수 있는 이론적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우선 Pierson-Moskowitz 해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거친 바다표면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바다표면의 유의파고와 유효높이(root-mean square height)값을 추정하여 풍속에 따른 유의파고, 유효높이 관계식을 유도하였고, 다른 측정 데이터들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거칠기 조건(풍속)에서 생성된 바다표면의 반사계수를 계산하였고, 기존에 반사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론적 모델인 Ament 모델, PO(Physical Optics) 모델, GO(Geometrical Optics) 모델, B-M(Brown-Miller) 모델과 비교하였다. 비교적 거칠기가 매우 낮은 경우($kh_{rms}$<0.4, k는 파수, $h_{rms}$는 RMS 높이) 외에는 Ament 모델은 정확하지 않았다. 또한 거칠기가 크지 않은 바다($kh_{rms}$<10)에서는 PO, GO, B-M 모델들의 정확도가 보장되지만, 풍속이 높아 거칠기가 높은 바다($kh_{rms}$>10)에서는 입사각이 $70^{\circ}$ 이하에서는 PO 모델과 GO 모델이 수치해석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으며, $80^{\circ}$ 이상에서는 B-M 모델이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함을 보였다.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한 직립방파제 콘크리트 케이슨의 기대활동량 산정 (Calculation of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Concrete Caisson of Vertical Breakwater Considering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 홍수영;서경덕;권혁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Shimosako and Takashi(1999)가 직립방파제 케이슨의 기대활동량을 계산하기 위해 개발한 신뢰성 설계법을 방향 불규칙파의 방향 분산, 심해 설계주파향이 해안선에 직각 방향과 이루는 각도, 심해 주파향의 설계치에 대한 변동 등과 같은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심해로부터 방파제 설계 위치까지의 파랑변형을 계산하기 위하여 Shimosako and Takahashi는 평행한 등심선을 갖는 직선 해안에 직각으로 입사하는 일방향 불규칙파를 가정하여 Goda(1975)가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향 불규칙파의 변형을 계산하기 위하여 Kweon et al.(1997)이 개발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파랑의 방향분산 및 심해 주파향의 변동에 의한 영향은 별로 크지 않은 반면에, 심해 설계주파향이 해안선에 직각 방향과 이루는 각도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커서, 이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대활동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우리나라 동해안 일부 지역의 현장 자료를 이용한 경우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했을 때의 기대활동량이 이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약 1/3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파랑변형 계산을 위하여 Goda 모형을 사용하는 경우 무시되는 굴절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하여 계산된 유의파고를 일률적으로 6% 감소시키는 것은 심해 설계주파향이 약 20$^{\circ}$인 경우에 적합한 값이며, 심해 설계주파향이 보다 작은 경우에는 6%보다 작은 값을, 보다 큰 경우에는 6%보다 큰 값을 사용해야 한다. 케이슨의 기대활동량을 30cm로 설계할 경우 수심이 약 25 m 이하의 지역에서는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결정론적 설계보다 최대 약 30% 정도까지 케이슨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동해안 일부 지역의 현장 자료를 사용하여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할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 약 10% 정도까지 케이슨의 소요 폭이 감소하며, 고려한 전 수심 구간(10∼30 m)에서 결정론적 설계보다 작은 케이슨 폭이 요구된다.

기상조건에 따른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작업시간 분석 (Analysis of Working Time at the Test Site of Southwest Offshore Wind Project in Korea Based on Weather Window)

  • 김민석;김지영;곽지영;강금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358-363
    • /
    • 2015
  • 서남해 해상풍력 실증단지 건설의 기초단계로 실증단지 예정부지에서 해상작업가능시간을 산정하고 분석하였다. 활용 자료로는 해모수 기상타워의 해양 및 기상자료와 기상청 수치모델 자료이다. 해상작업이 가능한 파고와 풍속 기준을 선정하고 기준별 작업시간을 산정한 결과 계절적으로는 고파랑이 지나가는 겨울의 작업시간이 봄, 가을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름의 경우 작업시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월별로는 7,9월보다 5,6,8월에 가장 많은 작업시간이 나타났다. 그리고 파고1.5 m와 풍속 8 m/s 이상의 기상조건에서는 파고와 풍속이 증가하더라도 작업시간은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이형 수중감시 시스템에서 계류라인의 구조 설계 (A Design of Mooring Line for the Buoy-Enabled Underwater Surveillance System)

  • 변양헌;최범규;오태원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41-47
    • /
    • 2018
  • 부이형 수중감시 시스템은 필요시 특정해역에 설치되어 일정기간 운용하고 회수이후, 다른 해역으로 이동하여 수중감시를 수행하는 장비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이형 수중감시 시스템에 적용되는 계류라인에 대하여 설치성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계류방법을 선정하고 계류라인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부이형 수중감시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배열센서조립체의 신호전송 케이블의 간섭을 고려하여 2점 계류방법을 선정하였고, 계류라인은 해역 이동에 따른 설치/회수성을 고려하여 부이체인, 나일론 로프, 그리고 앵커체인의 3단 복합구조를 기본 구성으로 설계하였다. 설계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실험과 조파수조 시험을 수행하여 유사성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해상시험 위치의 환경을 대상으로 계류라인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최종 설계에 의해 제작된 계류라인은 해상시험을 통하여 설계 시 고려한 유의파고 이상에서도 안정적인 계류를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THE CASPIAN SEA LEVEL, DYNAMICS, WIND, WAVES AND UPLIFT OF THE EARTH'S CRUST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RY

  • Lebedev, S.A.;Kostianoy, A.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973-976
    • /
    • 2006
  • The oscillations of the Caspian Sea level represent a result of mutually related hydrometeorological processes. The change in the tendency of the mean sea level variations that occurred in the middle 1970s, when the long-term level fall was replaced by its rapid and significant rise, represents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changes in the natural regime of the Caspian Sea. Therefore, sea level monitoring and long-term forecast of the sea level changes represent an extremely important task. The aim of this presentation is to show the experience of application of satellite altimetry methods to the investigation of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sea level, wind speed and wave height, water dynamics, as well as of uplift of the Earth’s crust in different parts of the Caspian Sea and Kara-Bogaz-Gol Bay.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estimates of the Volga River runoff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ry data. The work is based on the 1992-2005 TOPEX/Poseidon (T/P) and Jason-1 (J-1) data se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