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ht

검색결과 1,479건 처리시간 0.028초

의류소재의 주관적인 태평가 실험방법 연구 -시촉각, 시각, 촉각 방법비교- (Influence of the Sense of Sight & Touch, Sight, and Touch on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Fabric Hand)

  • 이미식;김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84-78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how the evaluation method affects the subjective hand evaluation of fabrics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evaluation method. Three methods such as the sense of sight & touch, the sense of touch, and the sense of sight were respectively used when judges estimated the hand of fabrics using questionnaire. The result obtained by the method of touch was same as that by the method of sight & touch. The time required for the evaluation by these two methods was statistically same. Consequently, the method of touch has no attraction compared to that of touch & sight. In case of using the method of sight, 8 properties among 10 showed the same results as in the method of sight & touch. The properties of [moogupda/kabyupda] and [shinchuksung-e-itda/ shinchuksung-e-upda] evaluated with the sense of sight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btained by the other methods. These properties seem to be difficult to evaluate only by seeing the fabric on the table. For the precise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show dynamic movement of the fabric. The time required for the evaluation by the sense of sight was shorter than that by the other two methods.

블랙 패션 소재의 특성과 시촉각적 질감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aracteristics and Texture of Sight and Touch on the Tactile Preferences for the Black Fabrics)

  • 김여원;최종명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3호
    • /
    • pp.556-56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tructural properties,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on the tactile preferences for the black fabrics.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and tactile preference to the nine different black fabrics which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mean, factor analysis, t-test, F-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for black fabrics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moothness, bulkiness, extensibility, firmness. This texture of sight and touch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ve relationship to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black fabr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lack fabrics on the point of texture of sight and touch. The velvet was evaluated the most smooth fabric, while the velvet and fake leather were evaluated the most bulky fabrics. Also, the jersey and lace fabrics were evaluated the most extensible fabrics, while the melton was evaluated as the most firm fabric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ve relationships not only between the structural properties and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but also between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the texture for black fabrics. Also, among the structural properties,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of black fabrics, major variable factor of influencing on the tactile preference was turned out to be the texture of sight and touch.

저가 관성센서 기반의 시선안정화 제어시스템 설계 (A Control System Design for the Line-of-Sight Stabilization based on Low-Cost Inertial Sensors)

  • 위정현;홍성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04-209
    • /
    • 2003
  • The line-of-sight stabilization system is an equipment which is loaded on a vehicle and stabilizes the direction of the line-of-sight of the vision sensor to obtain a not-swayed image in the existence of external disturbances. To obtain accurate Euler angles and angular velocities simultaneously we usually need a control system which uses high-price inertial sensors including Vertical Gyro(VG) or Rate Integrating Gyro(RIG).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control system of a gimbal, which is a line-of-sight stabilization system using a low-cost mixed algorithm of a rate gyro and an accelerometer instead of a VG and a RIG. In the experiment where we laid the implemented line-of-sight stabilization system on the rate table. we can see the stabilized performance to external disturbances.

빔분리프리즘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Dot Sight with Prism Beam Splitter)

  • 이동희;정보선;박승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19-524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빔분리프리즘을 가져서 길이가 축소된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방법: 빔분리프리즘을 사용하기 위해 doublet 반사경을 재설계하였으며, 시차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사경의 광축 기울임을 없애도록 하여 길이가 축소된 새로운 도트사이트 장치를 개발하였다. 결과: 도트시표발생부와 빔분리프리즘과 doublet 반사경과 관찰자 눈의 광축이 T자 형태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빔분리프리즘을 가지는 도트사이트 장치를 개발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우리는 기존의 도트사이트 보다 사격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광학적 전장길이를 축소 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빔분리프리즘을 채택한 도트사이트를 설계 개발하였다. 설계되어진 도트사이트는 기존의 도트사이트보다 수평방향의 사격의 정확도를 3배 이상 높일 수 있었으며 광학적 전장길이를 2.2.배 축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2× 배율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Dot Sight with 2× Magnification)

  • 이동희;박승환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5-440
    • /
    • 2012
  • 목적: 본 연구는 $2{\times}$ 배율을 가지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방법: 무배율 도트사이트로 먼 거리를 주시할 때 목표물을 확대해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 무배율 도트사이트에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새로운 광학계를 개발한다. 이는 기존 무배율($1{\times}$) 도트사이트를 $2{\times}$ 배율 도트사이트로의 전환을 필요에 따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결과: 배율이 없는 도트사이트에 착탈할 수 있는, doublet 렌즈가 쌍으로 구성되는, $2{\times}$ 배율 어포칼 광학계를 설계 제작하였다. 이를 사용하였을 때 우리는 외부 목표점을 2배 확대하여 조준할 수 있어서 조준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었다. 결론: 배율이 없는 일반 도트사이트에 착탈할 수 있는 $2{\times}$ 배율 어포칼 광학계를 설계 제작할 수 있었다. 이것에 의해 외부 목표점을 2배 확대하여 조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준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었다.

밀리미터파 탐색기 2축 직구동 김발 서보 시스템의 직접 및 간접 시선안정화 성능 분석 (Analysis of Line of Sight Stabilization Performance based on Direct vs. Indirect of a 2-axis Gimbaled Servo System for Millimeter Wave Seeker)

  • 신승철;이성용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11호
    • /
    • pp.1555-1561
    • /
    • 2018
  • Tracking and detecting targets by the millimeter wave seeker is affected by movement of platform. Stabilization equipments use an inertial sensor to compensate for disturbance of stabilizing gimbal or platform. In the direct line of sight stabilization system, an inertial sensor is mounted on inner gimbal to compensate the disturbance directly, so the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simple. However gimbal design requires somewhat larger volume. Since an inertial sensor is mounted on gimbal base in the indirect line of sight stabilization system, additional space of gimbal is not required for the gimbal design.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directly compensate for the disturbance of the line of sight stabilization axis, which can degrade performance. In order to perform the tracking performance, two methods are analyzed for line of sight stabilization performance based on direct and indirect of a 2-axis gimbaled servo system for millimeter wave seeker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validate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two methods.

3차원 입체선형을 고려한 도로시거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3-Dimensional Sight Distance Model for Highway Alignments)

  • 박제진;최주용;하태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08
  • 도로기하설계의 기준이 되는 요소에는 시거(視距), 차량의 안정성, 운전자의 안락감, 배수, 경관 등이 있으며, 이 중 선형 결정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시거이다. 도로와 그 위를 주행하는 운전자의 관찰 행위는 분명히 입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의 도로설계는 과정상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인해 평면과 종단을 분리하여 2차원적으로 시거를 분석하여 설계시 적용하여 왔다. 입체시거의 계산이 까다롭고 2차원적인 시거가 실제의 입체시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도 그 원인에 포함된다. 하지만 최근의 도로안전에 관한 연구에서 도로일관성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일관성 평가를 위해서는 안전요소들의 안전여유(safety of margin)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시거에 관한 정확한 안전여유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입체시거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의의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도로선형에서 입체시 거를 계산할 수 있는 모형을 유도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제시되는 모델을 이용하여 도로선형을 가정한 후 시거분석을 실시해 보았으며 2차원적 시거와의 단순비교를 통하여 두 경우의 시거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3차원 도로선형에 대한 설계기준을 정량화 하거나 입체시거 분석이 요구되는 도로안전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3차원시거를 이용한 도로일관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Consistency Using 3-Dimensional Sight Distance)

  • 박제진;오영욱;강정규;하태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7-197
    • /
    • 2008
  • 운전자는 도로를 주행하는 동안 도로의 기하구조 및 교통상황, 신호등, 표지판 등을 통하여 많은 정보를 얻게 되고, 이에 따라 가감속도 및 주행방향 등을 결정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정보를 운전자의 시각을 통하여 구득하게 된다. 따라서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시거확보는 안전한 도로 주행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현행 기하구조 및 시거 설계지침에서는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을 분리하여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복합선형에 관한 정량적인 설계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현재 2차원적 투영면에 분리된 요소로 설계되어지고 있지만 실제 도로는 3차원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2차원적 설계는 안전하고 쾌적한 설계를 보장해주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인 계산을 통하여 입체시거를 분석한 기존의 모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하구조 요소 및 유형별로 분류한 후 기존의 2차원시거와 3차원시거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2차원시거에 비해 3차원시거가 얼마나 과대 또는 과소평가 되어지는 지를 알아보고, 지방부 2차로 도로 곡선부의 주행속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여 예측된 주행속도로 주행할 때 필요한 정지시거와 3차원시거를 비교하여 도로의 일관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3차원 GIS기법으로 환경영향을 고려한 곡선부 시거 안정성 분석 (Estimate for Ensuring sight Distance of Curve Section from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ased on the 3D GIS)

  • 최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00-705
    • /
    • 2006
  • 최근 GIS 시스템은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변환되고 있다. 3차원 GIS를 이용한 관련 분야가 급성장함에 따라 공공분야, 국방분야를 비롯한 일반산업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다양화 되고 있다. 본 논문은 3차원 GIS기법으로 환경영향평가를 고려한 곡선부의 시거 안정성에 대한 분석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시거는 입체성격을 지닌 도로 위를 입체성격의 운전자 시선과의 관계를 통해 결정하기 때문에 평면과 종단을 동시에 고려해야만 정확한 산정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 도로에 대한 설계속도 80km/h와 주행속도 60-120km/h까지 속도를 고려한 주행 시뮬레이션으로 시거 분석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경관 주위 구조물 및 교량과의 조화, 안정성 평가뿐만 아니라 환경영향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