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nkage

검색결과 3,252건 처리시간 0.032초

TMA를 이용한 국내 발전용 탄의 용융점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sh Fusibility Temperature of Domestic Thermal Coal Implementing Thermo-Mechanical Analysis)

  • 이순호;임호;김상도;전충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233-239
    • /
    • 2014
  • 석탄 연소 시 발생하는 회가 보일러 벽면에 부착되어 일어나는 슬래깅 현상은 보일러의 열효율을 감소시키고 보일러 안정성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슬래그의 유동 특성은 회의 용융 특성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회의 화학적 조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회의 용융특성을 TMA(Thermo-Mechanical Analysis)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테스트는 회의 수축률에 따른 용융온도(T25%, T50%, T75%, T90%)를 정량적으로 측정 하는 방법이다. TMA에서 측정된 각각의 온도는 용융단계별 특성을 나타낸다. TMA로 분석된 결과 값에 XRF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한 회의 성분 조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회에 포함된 성분 중 refractory, fluxing contents가 회분의 용융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ractory contents 성분인 $SiO_2$, $Al_2O_3$의 함량이 많을수록 전체적인 용융온도가 올라가며 $SiO_2/Al_2O_3$가 커질수록 고온에서의 용융온도인 T75%, T90%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달리 fluxing contents 성분인 $Fe_2O_3$, $K_2O$, CaO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전체적인 용융온도가 낮아지며 이중 $K_2O$, CaO는 초기 용융 온도인 T25%를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MA 분석과 회의 조성 비교를 통하여 회의 용융 특성을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었다.

섬유 조합변화가 HPFRCC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brid Fibers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HPFRCC)

  • 한동엽;한민철;강병희;박용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39-645
    • /
    • 2014
  •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기술발전으로 인간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설산업에서도 재료 및 건축구조물의 발전이 계속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콘크리트 재료의 발전이 특히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는 간편성, 공기단축 및 높은 압축강도 등의 이점이 있는 반면에, 낮은 인장 및 휨강도, 취성파괴 및 건조수축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여 일부 기업 및 학계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섬유보강 콘크리트 등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섬유의 다량혼입으로 큰 응력에서 넓은 범위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HPFRCC 재료 개발의 경우 섬유의 다량 혼입으로 높은 인성 등 발휘하는 장점이 있으나, 섬유 뭉침 등의 문제로 유동성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궁극적으로는 콘크리트의 품질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장 및 휨 강도 성능 향상을 확보를 위해 섬유를 활용한 섬유보강 HPFRCC의 시멘트 복합재료에 시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유 무기 섬유 조합변화에 따른 HPFRCC의 유동 특성 및 역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므로서 최적의 섬유조합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1 % 소량 혼입시 유동성 측면에서는 섬유 조합변화한 경우보다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SS섬유의 경우가 가장 높은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공기량이 낮았던 유기섬유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기량이 높았던 강섬유의 비해 강도는 높았지만 인장 및 휨 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알칼리 활성 슬래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Slag-Based Concrete Using Lightweight Aggregates)

  • 양근혁;오승진;송진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405-412
    • /
    • 2008
  • 친환경 콘크리트 개발의 의미와 한계를 파악하기 위해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 6배합이 실험되었다. 무시멘트 친환경 결합재를 생산하기 위해 고로슬래그와 분말형 규산나트륨이 각각 모재와 활성화제로 이용되었다. 최대직경 13 mm의 경량골재가 굵은골재로 이용되었으며, 최대직경 5 mm의 경량골재가 천연모래의 용적비로 0, 15, 30, 50, 75 및 100% 치환되었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른 슬럼프 변화가 측정되었으며, 굳은 콘크리트에서는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발현속도, 할렬인장강도, 파괴계수, 탄성계수, 응력-변형률 관계, 부착강도 및 건조수축 변형률이 측정되었다. 실험된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경량 잔골재 치환율이 30% 이상일 때 급격히 감소하였다. 특히 사용된 경량골재의 불연속 입도분포는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들을 나쁘게 만들었다. 알칼리 활성 경량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들은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경량콘크리트를 위해 제시된 ACI 318-05 및 EC 2 설계기준 또는 Slate 등의 제안모델들과 비교되었다. 또한 측정된 응력-변형률 관계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 경량콘크리트의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제시된 Tasnimi의 모델과 비교되었다. 실험 결과와 각 제안 모델들과의 비교는 잘 일치하지 않았다.

하이브리드 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포장의 역학적 특성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 박종섭;최성용;정우태;박영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1-18
    • /
    • 2013
  •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중차량에 대한 뛰어난 적용성과 장기간의 공용성을 지녔고, 아스팔트보다 구입이 용이하여 내구성 및 경제적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노후화 되거나 파손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유지보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콘크리트 포장의 손상은 대부분 균열에 의한 것으로 콘크리트 포장의 초기 및 장기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구조용 콘크리트 배합에 비해 단위수량이 낮고 굵은 골재 최대 치수가 큰 콘크리트 포장 배합에서의 섬유보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직경이 작고 형상비가 큰 마이크로 섬유와 직경이 크고 형상비가 작은 매크로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 포장용 배합에 대한 기본적인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콘크리트 포장 배합의 섬유보강 효과는 일반 구조용 콘크리트 배합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이브리드 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 포장 배합은 휨강도 및 인성보강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포장 손상의 주요 요인인 콘크리트 포장의 초기 건조수축을 제어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저감형 4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수화 특성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Hydration Properties of Quaternary Component Blended High Fluidity Concrete with CO2 Reduction)

  • 최연왕;오성록;조준희;강현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03-41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탄소저감을 위한 산업부산물 사용 증대 및 시공성능 향상을 위하여 시멘트 사용량을 80% 이상 감소시킨 탄소저감형 4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QC-HFC)를 제조하여 품질특성 및 수화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QC-HFC의 품질은 목표 성능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유동 및 역학특성의 경우 기존에 적용되는 콘크리트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QC-HFC의 건조수축은 기존 배합과 비교하여 약 2배 이상, 수화열의 경우 약 36%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으며, 그 결과 수화열 저감 효과에 따른 온도응력 감소, 상대적으로 작은 내외부 온도차로 인한 변형 감소로 균열 발생량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매스 구조물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온도균열지수 1.1 이상으로 균열발생 확률이 약 35%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남에 따라 온도에 의한 균열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소이온 농도의 변화가 배양 인체 치주인대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BIOLOGICAL EFFECTS OF pH CONCENTRATION ON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ACTIVITY IN VITRO)

  • 김성호;박귀운;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539-556
    • /
    • 1995
  • Periodontal therapeutic modalities should be re-establishing and regenerating the periodontal tissue previously lost to the disease. To achieve periodontal regeneration, periodontal ligament cells must selective migrate to the deneded root surface, attached and proliferated it. Local pH concentration is one of the most factors that periodontal regener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on biological effects of pH to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especially on the cell morphology, attachment, activity, vitality and viability.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ultured from extracted tooth for non-periodontal reason.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any soft tissue adhering to the cervical parts of the roots was carefully removed with a sterile curette. To produce different pH levels in the media, Eagle's MEM was adjusted from pH 6.6 to 8.2 in 0.2 intervals with 1 M NaOH and 1 N HCl. After cultivation, The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ultured at pH ranging from 6.6-8.2. attachment assay was done at 1, 2 day incubation and activity assay was done at 1, 2, 3 day incubation. The experiments were evaluated by scaning electron microscopic techniques (HITACHIX-650 Scaning Electron Microanalyzer, Tokyo, Japan), MTT assay, and the culture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fixed in neutral formalin for 24 hours and immunohistochemically processed by PCNA for proliferating ability. The surviving cells in the medium showed slightly increased volume and widening intercellular distances at low concentration of pH than control group (pH 7.4), and apparently shrinkage at high concentration of pH than control group (pH 7.4).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from the experiment on attachment, vitality and viability were as follows. Attachment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t 1st and 2nd day, similar attachment rate of low concentration pH compared with control value (pH 7.4). But above pH 8.0, attachment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control value(P<0.05). Periodontal ligament cell's activities were maximum at pH 7.6 by MTT assay. Similar with control value at low concentration of pH. But, the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at high concentraration of pH(P<0.05). Cellular proliferating rate (PCNA inde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control value at low and high concentration of pH(p<0.05). This results suggested that hjgh concentration pH, in other words, alkali pH was cytotoxic effects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 PDF

유구치 1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MICROTENSILE BOND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DENTIN WALL POSITION IN CLASS I CAVITY OF PRIMARY MOLAR)

  • 이현헌;정태련;김정욱;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93-698
    • /
    • 2006
  • 유구치 1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시 C-factor가 가장 크게 나타나며 중합수축에 의한 응력도 가장 크게 나타난다. 이 실험에서는 응력이 각 와동벽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microtensile bond strength(MTBS)실험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하악 제2유구치 20개를 두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각 다른 종류의 복합레진으로 수복하였고 개별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 시편과 축벽 시편을 얻어 총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MTBS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student T-test를 통해 검정하였다. ZP: Filtek Z250- 치수벽, ZA: Filtek Z250- 축벽, SP : Filtek Supreme - 치수벽, SA: Filtek Supreme - 축벽,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ZP군과 ZA군, SP군과 SA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p<.001). 2. ZP군과 SP군, ZA군과 SA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p<.001).

  • PDF

인공 우식 수복시 레진 침투법 전처리의 미세누출에 대한 효과 (Microleakage Assessment of Resin Infiltration Combined Restoration in Artificial Decalcified-Cavitated Lesion)

  • 장은정;박소영;신종현;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57-265
    • /
    • 2020
  • 이 연구는 와동이 형성된 초기 우식 병소를 재현하여 레진 침투법 처리 후 복합 레진과 레진 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로 수복을 시행하고 그에 따른 미세누출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전한 20개의 발치된 제3대구치에 인공 우식을 유발하고 무작위로 I군과 II군으로 나누었다. 각 치아의 근원심면에 각각 와동을 형성하여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실험군에는 레진 침투법 전처리를 시행하였고 대조군에는 전처리 없이 수복하였으며, I군은 유동성 레진을, II군은 레진 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로 수복하였다. 열순환 및 질산은 침지 후 μ-CT로 미세누출 양상을 확인하였다. 질산은 침투 깊이는 I군과 II군 모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II군에서만 확인되었다. 재료 별로 비교 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I군에 비해 II군의 침투 깊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인공적으로 재현한 와동성 초기 우식 병소에 대하여 수복 전 레진 침투법 전처리를 하는 것은 치면과 수복물 계면에서의 미세누출을 감소시켰다. 레진 침투법 전처리 후 레진 강화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로 수복하였을 때 유동성 레진에 비하여 미세누출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실험적인 한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Si3N4-코팅 유/무기 복합 분리막을 통한 리튬이온전지용 분리막의 제조 및 평가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Si3N4-coated Organic/inorganic Hybrid Separators for Lithium-ion Batteries)

  • 여승훈;손화영;서명수;노태욱;김규철;김현일;이호춘
    • 전기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8-53
    • /
    • 2012
  • 리튬 이차전지의 대표적인 분리막인 polyethylene(PE) 분리막은 열에 의한 수축 및 기계적 파열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 PE 분리막을 개선하기 위해 $Si_3N_4$ 코팅 분리막 (SCS, Silicon-nitride Coated Separator)을 제작하였다. $Si_3N_4$ 코팅이 분리막의 열적/기계적 수치안정성, 이온전도도, 및 전지의 출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Si_3N_4$ 분말을 polyvinylidene fluoride(PVdF) 결착재를 이용하여 PE 분리막의 한 쪽 면에 10 ${\mu}m$ 두께로 코팅하여 SCS를 제작하였다. SCS는 PE 분리막보다 $100{\sim}150^{\circ}C$에서 우수한 열적안정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150^{\circ}C$에서의 수축률은 10~20% 감소를 보였다. 또한, SCS의 인장강도는 PE 분리막에 비해 증가를 보였다. SCS는 PE 분리막에 비해 다소 낮은 이온 전도도를 보였지만, $LiCoO_2$/Li 코인전지의 C-rate(0.2~3C) 특성 평가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용접부 형상이 협개선 용접부 잔류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ove Shape on Residual Stress Distribution in Narrow Gap Welds)

  • 소나현;양준석;표창률;허남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6호
    • /
    • pp.635-642
    • /
    • 2011
  • 일반적인 용접법은 용접 그루브(groove) 각도가 크기 때문에 용접 결함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원자력 발전소 배관 용접 시, 용접 그루브 각도가 작고 용접부 비드 폭이 좁은 협개선 용접법을 다수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협개선 용접법은 용접시간 단축, 용접부 변형과 잔류응력의 감소, 용접 결함의 감소 등과 같은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개선 용접부의 실제 용접 공정을 모사함으로써, ER308L 용접재의 변형 거동과 용접잔류응력을 비선형 2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예측하였다. 특히 용접방법 및 순서가 다른 두 형상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고, 용접부 폭 넓이 변화에 따른 잔류응력 분포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협개선 용접부의 용접 개선과 용접부 결함의 건전성 평가 등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