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 day plant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7초

파종기 이동이 들깨 생태변이에 미치는 영향 (Respons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Sowing Times with Perilla(Perilla ocimoides L.))

  • 박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0
    • /
    • 2005
  • 들깨 4품종을 4월 25일부터 30일 간격으로 7월 25일까지 4차에 걸쳐서 파종하여 각 파종기에 따른 생태변이를 조사하였다.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 1차분지수 착화방수, 생체중, 건물중, 발아요소일수 및 개화소요일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파종기와 이들 형질간에 높은 부의상관 및 개화소요일수와 소요적산온도 사이에는 높은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온, 장일조건하에 조기파종하면 영양생장이 길어서 개화기까지 약 132일이 소요되고, 그 후 파종은 점차로 단축되어 불과 57일만에 개화를 볼 수 있다. 파종기에 따른 종실수량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즉 A형(논산종)과 B형(진천종)은 조기파 종할수록 수량이 많았고, C형(남양종과 울진종)은 5월 25일 파종구가 가장 많았다. 1000립종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무거워 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들깨는 단일성작물로서 파종기 여하를 막론하고 9월상$\~$중순까지 개화함으로 품종에 따라 충분한 영양생장기간을 고려하여 파종하여야 한다.

들깨 파종기와 일장처리에 의한 품종간 개화반응 (Flowering Response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Dates and Day-length Treatment in Perilla)

  • 정찬식;오기원;김현경;권일찬;배석복;박충범;곽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90-494
    • /
    • 2003
  • 1) 들깨 속의 개화일수는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다. 5월 1일 이후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8월 1일 파종기에서 품종간 5일로 가장 적은 개화일수 차이를 보였다. 2) 들깨 속은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개화반응이 다양하였다. 1월 1일 파종 및 5월 1일 이후 파종기에서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정상적인 개화 반응을 보였으나, 2월에서 4월까지 파종한 경우에는 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생식생장\$\longrightarrow$근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 영양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생식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 상위분지는 영양생장만 하고 하위분지는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등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가역 적으로 변화하였다. 3)들깨의 화성자극 이동방향과 분열조직에 있는 엽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 단일 처리된 부위만 개화반응을 보여 들깨에 있어 화성자극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도꼬마리 등 다른 식물과는 상이하였다. 4)단일처리 기간에 따른 개화일수 단축은 9월 상순 이전에 개화하는 품종은 8일 처리로 효과가 있었으나 9월 하순에 개화하는 품종은 14일 처리에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수도의 출수생태에 관한 연구 제1보 주요수도 품종의 일장반응 (Ecological Studies on Heading of Rice Plant I. The Response to Photoperiod of Major Rice Varieties)

  • 최경구;장영남;이성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1-163
    • /
    • 1983
  • 우리나라의 주요 수도 신품종 및 도입 품종을 공시하여 출수생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일장을 10, 12, 14 및 16시간의 4수준으로 하여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일수는 일장이 10, 12, 14 및 16시간으로 길어짐에 따라 지연되었는데 그 정도는 14 및 16시간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2. 일장에 따른 각 품종의 출수일수를 기초로 하여 일장반응형을 분류하면 7개의 group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I-IV group은 대부분 일본형 품종이고, V-Ⅶ group은 모두 통일형 품종이었다. 3. 일본형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짧고 감광성이 예민하였으며 통일형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이 길고 감광성이 순한 경향이었다. 4. 일본형의 육성품종과 도입품종간에는 감광성과 기본영양생장성의 유의차는 없었다. 5. 조ㆍ중ㆍ만생종의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의 정도는 조생종의 경우 기본영양생장성 정도에서 일본형이 짧고 통일형은 뚜렷이 길었으며 감광성 정도는 일본형 및 통일형 품종 공히 순한 경향이었다. 한편 중ㆍ만생종의 경우 기본영양생장성 정도는 조생종과 비슷하였으나 감광성 정도는 일본형이 예민하고 통일형 품종이 순하였다. 6. 기본영양생장성과 감광성의 고저에 따른 각 품종들의 출수생태형은 19개 생태형으로 구분되었다. 7. 생태형중 대부부의 일본형 품종은 I-V, I-Ⅵ, II-IV, II-V 및 II-Ⅵ에, 통일형 품종은 Ⅵ-II, IV-III, V-II, V-III, Ⅵ-I, Ⅵ-II 및 Ⅶ-I에 속하였다.

  • PDF

The Expression of a Cytosolic Fructose-1,6-Bisphosphatase, a Key Enzyme in Sucrose Biosynthesis, Gene was Diurnally Fluctuated and Increased in Cold Acclimated Leaves of Chinese Cabbage

  • Leen, Jeong-Yeo;Song, Ha-Young;Lim, Yong-Pyo;Hur, Yoon-Kan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123-131
    • /
    • 2006
  •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ssp. pekines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egetable crops in kore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Cytosolic fructose-1,6-bisphospha-tase (cytFBPase) is a key enzyme in sucrose biosyn-thesis, which controls the sucrose levels as well as the productivity at plants. The Chinese cabbage cytFBPase gene, BrFBPase, encodes the 340 amino acid polypep-tide, giving a theoretical molecular weight of 37.2 kD and a isolectric point of 5.4. BrFBPase showed high sequence identity with Brassica homologs and its functional domains, such as 12,6P$_2$ binding site or active site and F6P binding site, were highly conserved in diverse sources of organisms. Although the genome of Chinese cabbage seemed to be triplicated, BrFBPase appears to be a single copy gene. The expression of BrFBPase was examined at transcript and protein levels under various conditions. BrFBPase expression was observed only in photosynthetic source tissue, not in sink tissue. The expression was slightly higher during the day than at night, and it showed a diurnal cycle with circadian rhythmicity. Short-term exposure to low temperature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he BrFBPase, while long-term exposure increased the expression, supporting that sugar levels are high in late autumn when temperature are low.

완만한 만곡의 적색 포엽 포인세티아 "Noel" 육성 (Breeding of Smoothly Waving Red Bract Poinsettia "Noel")

  • 이은경;김원희;박필만;김성태;이동우;김영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7-140
    • /
    • 2009
  • 'Noel'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분지력이 왕성하고 밝은 적색인 'Gutbier V-10 Amy Red'를 모본으로, 착색엽의 결각이 강하고 포엽이 밝은 적색인 'Ichiban'을 부본으로 2004년에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5~2006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36'을 육성하였고 2007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Noel'로 명명하였다. 포엽의 형태는 타원형이며 완만한 만곡이 있고 적색이다. 잎몸은 난형이며 진한 녹색이고 결각이 깊으며 엽병이 길다. 줄기색은 녹색계이며 적심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지가 많이 발생한다. 초장은 중간정도이며 단일처리 후 약 7.5주일이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노엘(Noel)'로 명명하여 2008년 6월 품종보호 출원하였다.

밝은 황록색 포인세티아 'Green Dream' (Breeding of Light Yellow-Green Poinsettia 'Green Dream')

  • 이은경;김원희;김성태;이광식;이수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68-571
    • /
    • 2011
  • 'Green Dream'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6년에 진한 녹색잎에 초장이 짧고 아담한 연황색의 'Lemon Snow'를 모본으로,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분홍색인 'Freedom Rose'를 부본으로 인공 교배하여 양성된 실생계통이다. 2007년과 2008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64'를 육성하였고 2009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그린드림 (Green Dream)'으로 명명하였다. 포엽의 형태는 난형이며 포엽의 엽맥 사이에 중간 정도의 주름이 있고 포엽의 색상은 밝고 연한 황록색이다. 잎몸은 난형이며 진한 녹색이고 엽절이 적으며 엽병이 길다. 줄기 색은 녹색계이며 적심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지가 발생하고 줄기의 수는 중간이다. 초장은 크며 단일처리 후 약 7주일이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Histone Deacetylase 701 (HDT701) Induces Flowering in Rice by Modulating Expression of OsIDS1

  • Cho, Lae-Hyeon;Yoon, Jinmi;Wai, Antt Htet;An, Gynhe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7호
    • /
    • pp.665-675
    • /
    • 2018
  • Rice is a facultative short-day (SD) plant in which flowering is induced under SD conditions or by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nal genetic programs. Overexpression of Histone Deacetylase 701 (HDT701) accelerates flowering in hybrid rice. In this study, mutants defective in HDT701 flowered late under both SD and long-day conditions. Expression levels of florigens Heading date 3a (Hd3a) and Rice Flowering Locus T1 (RFT1), and their immediate upstream floral activator Early heading date 1 (Ehd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dt701 mutants, indicating that HDT701 functions upstream of Ehd1 in controlling flowering time. Transcript levels of OsINDETERMINATE SPIKELET 1 (OsIDS1), an upstream repressor of Ehd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tants while those of OsGI and Hd1 were reduced. Chromatin-immunoprecipitation assays revealed that HDT701 directly binds to the promoter region of OsIDS1. These results suggest that HDT701 induces flowering by suppressing OsIDS1.

광 및 CO2 변화 조건에서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의 전기적 신호 모니터링 (Monitoring of plant induced electrical signal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under changing light and CO2 conditions)

  • 박진희;김한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51-356
    • /
    • 2021
  • 환경 조건의 변화는 식물의 물과 양분 흡수 및 광합성 정도를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변화하는 환경 조건에서 식물의 생리적 반응은 식물 줄기에 전극을 삽입해 식물유도 전기신호(PIES)로 비파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2 증가와 광합성 광량자속밀도 PPFD 감소에 따른 식물의 반응으로 PIES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PIES는 증산과 광합성이 일어나는 낮에 증가하였고 식물 생육 기간 동안 모니터링한 CO2 농도는 PIES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CO2 농도 증가는 PIES를 약간 감소시켰으나 PIES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CO2 증가의 효과가 낮은 PPFD에 의해 제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PPFD 감소의 효과는 물과 양분 흡수가 광에 의해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즉시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CO2 증가와 PPFD 감소에 의한 식물의 단기적 반응을 평가하고자 한 것이며 프롤린 함량 및 엽록소 형광은 환경 변화에 따라 유의하게 변화하지는 않았다.

온도와 일장에 따른 국화의 식물계절과 출엽 예측 모델 개발 (Modelling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Phenology and Leaf Appearance in Chrysanthemum)

  • 서범석;박하승;이규종;최덕환;이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53-263
    • /
    • 2016
  • 단일식물인 국화의 생육은 온도, 일장, 일사량 등 기상 환경과 재배관리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기상환경과 재배관리를 고려한 국화의 생육예측모델은 국화 재배 시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화 생육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온도와 일장뿐만 아니라 에세폰 처리, 야간 전조처리리 등 재배관리 정보를 입력변수로 하여 국화 품종 백선의 출엽과 식물계절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국화의 생육시기를 유약기(Juvenile phase), 유약기 이후 발뢰기까지 기간, 발뢰기부터 개화기까지의 기간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계산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유약기는 출엽속도의 온도 반응 곡선과 유약기의 종료를 결정하는 기준 엽수를 이용하여 추정하도록 구성 하였다. 한편 모주와 이식 후 식물체에 대한 에세폰 처리가 유약기 종료시점의 엽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유약기 이후에는 온도와 일장에 관한 함수를 이용하여 발육속도를 계산하여 발뢰기와 개화기를 예측하도록 하였는데 야간전조 처리는 임계일장 이상의 장일로 가정하여 모델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최종 엽수는 잎의 출엽이 발뢰 직전까지 진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예측하였다. 위와 같이 구성된 모델의 계수는 온도반응 실험과 정식시기 실험 등을 이용하여 추정하였고 프로그램 언어인 Java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모델의 계수 추정에 이용한 자료(calibration 자료)뿐만 아니라 이와는 별개의 자료(validation 자료) 모두에 대하여 모델이 비교적 정확하게 발뢰기와 개화기를 예측할 뿐만 calibration에 비하여 validation의 정확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한편 생육시기에 따른 출엽수와 최종엽수를 모델이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으나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과소 또는 과대 예측을 하여는 경향을 보여, 온도 이외의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실험을 통해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숙 옥수수에 의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구성 I. 조숙 옥수수 품종의 만파적응성 (The Application of Early-maturing Corn to Cropping System of Forrage Crop I. The late-sowing adaptability of corn varieties requiring the short period to maturing)

  • 임근발;양종석;한흥전;최영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2
    • /
    • 1991
  • For the constitution of forage cropping system including the double-cropping of corn,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s the early and short maturing varieties of corn such as Comet 80, Comet 85 and Linda as a component forage crop of forage cropping system. Four corn varieties, Comet 80, Comet 85, Linda and Suwon 19 were planted delayedly by each of 45, 55 and 65 days from the recommended sowing date of suwon 19. Under these conditi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late-sowing adaptability of 4 corn varietie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ariety of suwon 19 did not reach the stage of silking in the occasion of late sowing by 50 days from the optimum sowing time for mono cropping of suwon 19. However early varieties such as Comet 80, Comet 85 and Linda silked under the condition of 65 days-delayed sowing from the recommended sowing time of Suwon 19 for mono-cropping. 2. Early varieties of Comet 80, Comet 85 and Linda were so grown by approximately 92% in plant height, 66% in ear height, 88% in stem diameter and 81% in leaf number respectively compared to Suwon 19 at each of three delayed sowing time that exhibited the dwarfish appearance of canopy. 3. Days from sowing to silking decreased as the sowing time was delayed and the average days from sowing to silking in the sowing treatments of 55 days-delayed of Suwon 19, Comet 80, Comet 85 and Linda were 61, 46, 47 and 51 days, respectively. 4. The size of variations of plant height and ear height influenced by delayed-sowing time was comparatively larger in the varieties of Suwon 19 and Linda than in those of Comet 80 and Comet 85. 5. As sowing time was delayed from the optimum sowing time of Suwon 19 for mono-cropping, ear content decreased from 0% of Suwon 19 at 55 day-delayed sowing treatment to 3540% of Comet 80 and Comet 85 at 65 days-delayed sowing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