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 day plant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19초

단일기간중 암기중간의 광처리 및 장일에 의한 간섭이 수도 출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and Long-day Interruption during Short-day Period on Heading of Rice Plant)

  • 허문회;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1-217
    • /
    • 1976
  • 감광성 수도품종 BPI-76을 공시하여 단일기간의 암기중 광간섭이 출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품종의 최소단일처리회수인 12일의 단일기간중 간에 실시한 1분정도의 광간섭에 의해서도 단일효과의 집적은 방해를 받았고 10분이상의 광처리를 하면 단일효과가 크게 억제되었다. 2. 12회의 단일기간중 암기중간에 1∼15분간의 광처리를 7일이상 그리고 30분간의 광간섭을 4일이상 계속 받으면 전공시개체가 출수를 하지않아 광간섭의 누적효과를 보여 주었다. 3. 단일기간의 암기중간에 5분 또는 30분간의 광처리를 1회 실시하여서는 2∼10일간 집적된 단일효과를 크게 소거시키지 못했으나 1일1회씩 3일간 계속 광간섭을 하면 2∼8일간 집적된 단일효과를 크게 소거시켰다. 4. 13일간의 단일기간중 4∼8일간의 단일처리후 1회 또는 3회의 광간섭을 받은경우에 출수유제현상이 심하게 나타났다. 5. 13일간의 단일기간중에 실시한 1일간의 장일처이는 2일간의 단일처리효과를 완전히 소거시켰으나 4∼8일간의 단일처리효과는 완전히 소거시키지 못했으며 2일간의 장일처리는 4일간의 단일처리효과를 그리고 2∼4일간의 장일처리는 6∼8일간의 단일처리효과를 크게 소거시켰다. 6. 13일간의 단일기간중 8일간의 단일처리후 장일처리를 받았을 때 출수억제현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7. 10회의 단일처리후 장일상태가 계속되면 분화된 유수는 퇴화되었고 15회의 단일처리를 한경우에도 그후의 장일에 의해서 유수의 발육속도가 늦어져 단일상태가 게속된 경우보다 출수가 지연되었다.

  • PDF

Effect of Growth Retardant BX-112 on Growth, Floral Initiation, and Endogenous GA Levels in Sorghum

  • Lee, In-Jung;Kim, Kil-Ung;Page W. Morg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1-76
    • /
    • 1998
  • To define the relations between endogenous GA levels and growth and flowering in short-day plant sorghum, growth retardant BX-112 was applied to two sorghum genotypes, wild-type and phytochrome B mutant (phyB-1), which grows faster and flowers earlier than the wild-type. BX-112 and $GA_3$ were applied as a soil drench, and plant height, culm length, and date to floral initiation were investigated. Endogenous GAs contents were measured with GC-MS-SIM. BX-112 treatments inhibited shoot growth in both genotypes and drastically reduced $GA_1$ and $GA_8$ levels. With increasing BX-112 concentrations, $GA_1$ concentrations declined linearly, but caused the accumulation of intermediates from $GA_12$ to $GA_20$. This result implies that $GA_1$ is the major active endogenous GA in shoot elongation in a short day plant sorghum. The inhibition of plant growth in both of wild type and phyB-1 by BX-112 was very similar, while BX-112 effects on floral initiation in two types of plants differed significantly. Floral initiation of phyB-1 was not affected by BX-1l2, but that of wild-type was delayed as BX-1l2 concentration increased. Because BX-112 treatment causes accumulation of biosynthetic intermediates between synthetic pathway from $GA_12$ to $GA_20$ and because phyB-1 is altered in GA metabolism in this same region of the early C13-hydroxylation pathway, BX-112 may fail to block flowering of phyB-1.

  • PDF

Effects of Photoperiod, Light Intens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n the Growth and Yield of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 Austin, Jirapa;Jeon, Youn A;Cha, Mi-Kyung;Park, Sookuk;Cho, Young-Yeol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3호
    • /
    • pp.405-413
    • /
    • 2016
  •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is a plant native to the Andean region that has become increasing popular as a food source due to its high nutritional content. This study determined the optimal photoperiod, light intens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the nutrient solution for growth and yield of quinoa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The photoperiod effects were first analyzed in a growth chamber using three different light cycles, 8/16, 14/10, and 16/8 hours (day/night). Further studies, performed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evaluated nutrient solutions with EC (salinity) levels of 1.0, 2.0 or $3.0dS{\cdot}m^{-1}$. These experiments were assayed with two light intensities (120 and $143{\mu}mol{\cdot}m^{-2}{\cdot}s^{-1}$) under a 12/12 and 14/10 hours (day/night) photoperiod. The plants grown under the 16/8 hours photoperiod did not flower, suggesting that a long-day photoperiod delays flowering and that quinoa is a short-day plant. Under a 12/12 h photoperiod, the best shoot yield (both fresh and dry weights) was observed at an EC of $2.0dS{\cdot}m^{-1}$ and a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of $120{\mu}mol{\cdot}m^{-2}{\cdot}s^{-1}$. With a 14/10 h photoperiod, the shoot yield (both fresh and dry weights), plant height, leaf area, and light use efficiency were higher when grown with an EC of $2.0dS{\cdot}m^{-1}$ and a PPFD of $143{\mu}mol{\cdot}m^{-2}{\cdot}s^{-1}$. Overall, the optimal conditions for producing quinoa as a leafy vegetable,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were a 16/8 h (day/night) photoperiod with an EC of $2.0dS{\cdot}m^{-1}$ and a PPFD of $143{\mu}mol{\cdot}m^{-2}{\cdot}s^{-1}$.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이 온실재배 스프레이 절화국의 건물생산과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 Day Period Before Short Day treatment on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Flower Quality of Greenhouse-Grown Cut Chrysanthemum cv, Reagan Improved)

  • 백철기;이정현;안규빈;한태호;정순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03
  • 본 실험은 정식 후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에 따른 온실재배 스프레이 절화국 Reagan Improved품종의 건물생산과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네덜란드 Wageningen 대학의 유리온실 실험포에서 수행하였다. 정식 13-14일전에 피트블록에 삽목한 묘를 단위면적당 64줄기로 2000년 9월 6, 13, 20일에 각각 정식하였고, 2000년 9월 27일 모든 처리구에 단일처리를 실시하였다. 정식에서 최종조사일까지 장일처리 기간 3주 처리구에서는 84일이었고, 2주 처리구에서는 77일, 1주 처리구에서는 70일, 단일처리 후에 최종수확일까지는 63일이 소요되었다. 개화시기는 모든 처리구에서 동일하였다. 3주 장일처리구에서의 주당 꽃송이수는 1주 장일처리구에 비해 2개 더 많았고, 꽃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각각 식물 개체당 4g과 0.4g더 무거웠지만, 각 처리구별 꽃의 품질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최종건물생산량 ($g{\cdot}m^{-2}$ )은 3주 장일처리구에서 높고, 1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단일처리 전 장일기간은 단일처리 후 개화시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꽃의 품질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초장과 생체중은 장일 조건이 길수록 높았게 나타났으며, 누적 건물중도 3주 장일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장일처리 기간은 꽃 자체의 품질에 영향은 적었지만, 개체 생체중 및 초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므로 단일처리전 장일처리 기간은 개체품질 및 연중재배 생산 시스템에서 균일한 품질을 생산하기 위해 장일처리 기간의 조절은 고품질의 국화생산에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착색이 빠른 포인세티아 "Early Bird" 육성 (Breeding of early colored poinsettia "Early Bird")

  • 이은경;김원희;박필만;김성태;이동우;김영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2-35
    • /
    • 2009
  • "Early Bird"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7년도에 육성한 포인세티아 신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4년에 착색엽의 결각이 강하고 포엽이 밝은 적색인 'chiban'을 모본으로,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적색 포엽의 'reedom Red'를 부본으로 교배를 실시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 선발되었다. 2005~2006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 하여 '원교 D5-33을 육성하였고 2007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arly Bird"로 명명하였다. 포엽의 형태는 도란형이며 포엽폭이 넓고 포엽색은 밝은 적색이다. 잎몸은 난형이며 진한 녹색이다. 줄기색은 녹색계이며 적심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은 수의 분지가 발생한다. 초장은 짧으며 단일처리 후 약 6.5주일이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2007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얼리버드(Early Bird)"로 명명하여 2008년 6월 품종보호 출원하였다.

수도 품종간의 필요수량 차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umptive Use of Irrigated Water in Paddy Rice)

  • 김시원;오완석;김선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5-44
    • /
    • 198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nsumptive use of irrigated water for calculation of duty water in paddy rice. Tall statured Japonica rice varieties, Nongbaek (early), Jinheung (medium) and Akibare (late), and short statured Tongil typed varieties, Josaeng Tongil(early), Suweon 264 (medium) and Suweon 258(late) were plant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Kon-Kuk University in 1979.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daily mean temperature was almost similar, the relative humidity was higher as much as 2.8%, the amount of rain fall was 100mm less and the pan evaporation was 70mm less compared with those of 30 years average, respectively. 2. The paddy soil was silty loam, which was suitable for the rice cultivation. 3. Varietal differences were find out for plant height, culm length, number of tillers, number of panicles, heading date, matured grain ratio, 1000-grain weight and rough rice yield. This difference might he the cause of varietal difference of the consumptive use of irrigated water during the rice growing period. 4. The evapotranspir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after transplanting and showed the peak from booting to heading stage of rice varieties. The average evapotranspiration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was 5.67-5. 80mm/day for tall statured Japonica varieties, and 5.99-6. 39mm/day for short statured Tongil typed varieties. 5. The ratio of evapotranspiration to pan-evaporation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was 1.49-1.50 for Japonica varieties, and 1.60-1.66 for Tongil typed varies. 6. Average amount of percolation in paddy field was 3. 62mm/day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of rice plant. 7. K-value in Blaney & Criddle formula was 0.94-0.98 for Japonica varieties and 1.02-1.08 for Tongil typed varieties, and coefficient consumptive water use (Kc-value) was 0.95-1.02 for Japonica varieties and 1.04-1.12 for Tongil typed varieties in this study. The modified coefficient for consumptive water use, which was calculated from data collected through the country including this study, was as follows;

  • PDF

Casein Kinases I and 2α Phosphorylate Oryza Sativa Pseudo-Response Regulator 37 (OsPRR37) in Photoperiodic Flowering in Rice

  • Kwon, Choon-Tak;Koo, Bon-Hyuk;Kim, Dami;Yoo, Soo-Cheul;Paek, Nam-Ch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호
    • /
    • pp.81-88
    • /
    • 2015
  • Flowering time (or heading date) is controlled by intrinsic genetic program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ues, such as photoperiod and temperature. Rice, a facultative short-day (SD) plant, flowers early in SD and late in long-day (LD) conditions. Casein kinases (CKs) generally act as positive regulators in many signaling pathways in plants. In rice, Heading date 6 (Hd6) and Hd16 encode $CK2{\alpha}$ and CKI, respectively, and mainly function to delay flowering time. Additionally, the major LD-dependent floral repressors Hd2/Oryza sativa Pseudo-Response Regulator 37 (OsPRR37;hereafter PRR37) and Ghd7 also confer strong photoperiod sensitivity. In floral induction, Hd16 acts upstream of Ghd7 and CKI interacts with and phosphorylates Ghd7. In addition, Hd6 and Hd16 also act upstream of Hd2. However, whether CKI and $CK2{\alpha}$ directly regulate the function of PRR37 remains unclear. Here, we use in vitro pull-down and in vivo bimolecular fluorescence complementation assays to show that CKI and $CK2{\alpha}$ interact with PRR37. We further use in vitro kinase assays to show that CKI and $CK2{\alpha}$ phosphorylate different regions of PRR37. Our results indicate that direct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f PRR37 mediates the genetic interactions between these two protein kinases and PRR37. The significance of CK-mediated phosphorylation for PRR37 and Ghd7 function is discussed.

벼 착근기 생육 환경에 따른 어린모의 생육변화 분석 (Changes in the Growth of Young Rice Seedlings in the Root Extension Stage under Different Growth Conditions)

  • 최명구;정재혁;이현석;양서영;이충근;황운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192-198
    • /
    • 2020
  • 착근은 이앙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생육상의 전환으로 착근의 효율에 따라 이앙 후 수량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이다. 착근 시 식물체 조건 및 환경에 따른 기초연구가 부족하여 이에 착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생육일수, 생육온도 및 단근정도에 따른 모의 생육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근 처리 시 초장변화는 단근처리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뿌리신장의 경우 남아 있는 뿌리길이가 적을수록 신장율이 높았으며 7일묘에 비해 14일묘에서 초장 및 뿌리 신장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2. 생육온도에 따른 초장 신장은 25℃ 및 28℃에서 신장율이 높았으나 18℃에서는 낮은 경향이었으며, 뿌리 신장은 7일묘는 22~28℃, 14일묘의 경우 22~25℃에서 높았다. 3. 7일묘는 뿌리생육량과 초장변화와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나 14일묘의 경우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질소 흡수량은 생육온도 25, 28, 22, 18℃순으로 낮아졌으며 7일묘의 경우 14일묘에 비해 생육온도에 따른 질소 흡수량 차이가 적은 경향이었다. 5. 단근처리에 따른 뿌리량별 질소 흡수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7일묘가 14일묘에 비해 질소흡수가 빨리 시작되는 경향이었다. 6. 뿌리활력은 7일묘의 경우 뿌리가 3 cm 남기고 단근 시 가장 높았으며, 14일묘의 경우 1.5 cm 남기고 단근 시 활력이 높은 경향이었다.

Effects of Electric Current on Flowering in Pharbitis and Floral Stimulus activity in the Phloem Exudate of Cotyledons

  • Jueson Mae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59-166
    • /
    • 1994
  • Direct current (DC) applied to cotyledons during a 16 h inductive dark period inhibited the flowering in the short-day plant, Pharbitis nil Choisy cv. Violet. The inhibitory effect of DC was more profound when the current flowed from roots to cotyledons, showing its polarity-dependent action. The second half on the inductive dark period was more sensitive to DC stimulus. The flowering was significantly depressed only when DC stimuli were applied to the translocation path of the floral stimulus from the induced cotyledon to the apex, suggesting that the transport of floral stimulus was damaged by the DC treatment. The vegetative apex culture bioassay system showed that a significant level of the floral stimulus activity existed in the phloem exudate from the cotyledons which would fail to form their own floral buds.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hypothesis that DC partially impede, at least temporarily,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loral stimulus from florally-induced cotyledon to the apex, rather than depressing in situ synthesis of the floral stimulus.

  • PDF

소맥에 있어서 온도 및 일장변화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of the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under the Different Temperature and Photoperiod Conditions in Winter Wheat)

  • 조창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33
    • /
    • 1979
  • 소맥에 있어서 온도 및 일장변화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품종간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장광 등 8개품종을 공시하여 온도 2$0^{\circ}C$, 14$^{\circ}C$, 24시간일장, 12시간일장을 가각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출수일수에 있어서 장광과 Parker는 단일에 의한 출수지연도가 커서 단일에 민감하고 Yecora 70, Bezostaya, 수원 169호는 단일에 의한 출수지연도는 다른 품종에 비하여 적어 둔감하였다. 2. 간장에 있어서 Bezostaya는 단일에 의하여 평균간장보다 훨씬 더 커지고 Yecora 70은 일장에 따른 간장의 변화가 적었다. 육성 003는 저온(14$^{\circ}C$)에서 장간화되며 장광, Yecora 70, Blueboy는 온도에 따른 간장의 차이가 적었다. 3. 단일에 의하여 수장이 길어지는 품종은 Parker, 장광, Sturdy 등이며 저온(14$^{\circ}C$)에 의하여 수장이 길어지는 품종은 Yecora 70, 수원 169호, 육성 003이고 장광은 고온(2$0^{\circ}C$)에서 수장이 짧았다. 4. 주당수수가 단일에 의하여 증가되는 품종은 Blueboy, Parker, 수원 169호, 장광 등이며 Parker, Yecora 70, Sturdy, 육성 003 등은 저온(14$^{\circ}C$ )에서 수수가 많아지나 장광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5. 단일에 의하여 장광은 1수립수가 크게 증가되었고 저온(14\circ C)에 의하여 Yecora 70만이 1수립수가 증가되었으나 다른 품종들은 감소되었다. 6. 간립종은 단일에서 전품종이 감소되나, 그중에서도 장광, 수원 169호, Parker가 심하게 감소되었으며 저온(14\circ C)에서는 고온(2$0^{\circ}C$)에 비하여 간립중이 높았는데 Parker와 Sturdy가 훨씬 간립중이 증가되었다. 7. 수량은 Blueboy, 수원 169호, Parker가 단일에 의한 증가율이 높고 저온에서는 Yecora 70, Parker, 육성 003, Sturdy의 수량증가가 많았다. 수량구성요소중 주당수수와 1수립수는 단일에서, 주당수수와 간립중은 저온에서 각각 증가되어 수량이 많았다.

  • PDF